목차
1. 도시별 유씨티 추진현황 1
가. 자치단체 추진 현황 1
(1) U-서울 1
(2) 부산 2
(3) U-대구 3
(4) U-인천 3
(5) U-광주 4
(6) U-대전 5
(7) U-경기 5
(8) U-강원 6
(9) U-충북 6
(10) U-충남 7
(11) U-전북 7
(12) U-전남 8
(13) U-경북 8
(14) U-경남 9
(15) U-제주 10
가. 자치단체 추진 현황 1
(1) U-서울 1
(2) 부산 2
(3) U-대구 3
(4) U-인천 3
(5) U-광주 4
(6) U-대전 5
(7) U-경기 5
(8) U-강원 6
(9) U-충북 6
(10) U-충남 7
(11) U-전북 7
(12) U-전남 8
(13) U-경북 8
(14) U-경남 9
(15) U-제주 10
본문내용
고속 액세스망 구성과 가상화 기술이며 이를 통한 기대효과는 전력망 수준의 높은 가용성과 전력망 관리체계로 대체되는 운영 경제성의 확보가 대표적이다. 전남 여수시는 U-City 구축 기반조성사업 모델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체험형 U-오동도 생태관광서비스를 구축한다. 여수시는 기존 운영중인 여수산업단지 중심의 환경 관리 서비스(수질원격 감시체계 관제시스템, 굴뚝 원격감시체계,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서비스), 2008년 U-City 시범사업으로 선정되어 구축중인 순천시의 U-순천만 생태환경관리시스템 구축 사업 등과 연계함으로써 오동도-여수산업단지-순천만으로 연계되는 친환경 U-네트워크를 구현한다.
(13) U-경북
지금까지 경북의 유비쿼터스사업은 2006년부터 U-경북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유비쿼터스 신기술연구센터와 유비쿼터스 임베디드센터, 구미 유비쿼터스 체험관을 구축하였다. 2008년 U-경북 주요 추진현황은 의료 취약계층 및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USN 기반 원격 건강 모니터링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9.1억원)과 대가야 박물관을 중심으로 U-역사문화관광 서비스와 U-체험문화관광, U-맞춤형관광, U-관광포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북 U-투어 가이드 서비스 구축사업(사업비:102억원)이 추진되었다.
또한 구미시가 산업단지내 와이브로기반 인프라 구축을 통해 입주 기관과 거주민의 업무환경을 개선하는 ubi-Glocal City 구축사업(사업비:166억원)을 추진하였다. 경상북도는 2009년도 행정안전부 U-City 구축기반조성 공모사업에「U-쾌한 문화공간 서비스」사업이 선정되어 2009년 12월까지 14.2억원의 사업비로 경주의 대릉원, 첨성대, 안압지, 세계문화 엑스포장 등에 세계문화유산 U-City구축기반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경주를 찾아오는 방문객에게 체험공간, 감성공간, 상쾌공간, 편리공간 등 보고, 듣고, 즐길 수 있는 오감형 공간과 안심공간, 녹색공간 등 시민과 관광객이 이용하는 역사문화공간 내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하여 경주 관광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2009년부터 약 200억원의 사업비 투자를 통해 2014년까지 포항경주와 울진영덕 그리고, 울릉독도권 삼각축을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기반한 해중공원, 해양목장, 피싱파크, 해양레포츠, 해양도시개발, 테마형 연계관광 사업 등을 포함하는 U-해양생태관광 서비스 구축사업과 경주시 지능형 버스정보 서비스 사업이 약 20억원의 예산을 가지고 추진될 예정이다.
경상북도의 U-City 추진 기본방향은 지역 현안해결을 위한 U-IT 활용과 신규, 기존 도시별 추진전략 차별화, 유비쿼터스 시범도시 조성 그리고 민간기업 참여 유도를 통한 U-신산업 창출 및 기존 산업 활성화이다. 경상북도는 지속적인 정보화인프라 확충과 U-IT 융합기술도입을 통해 도내 어디에서나 유비쿼터스 환경을 제공하여 정보화의 혜택을 모든 도민이 골고루 누리는 U-IT를 이용한 참(CHARM) 경북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14) U-경남
경상남도는 사람, 자본, 정보, 기술이 집적되는 신성장 거점지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도시 전반에 대한 첨단 공공생활 서비스를 다른 자치단체와 차별화시켜, U-City 구축을 위해 각 도시별 세부 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U-City 사업을 통해 경상남도는 도시경쟁력 강화, 시민 삶의 질 향상, 도시효율성 증대, U-City로의 전환, 고용유발효과, 생산유발효과 등을 기대하고 있다. 통영시가 추진하는 U-Travel City 사업은 RFID 리더를 기반으로 관광지 내의 문화재, 관광시설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관광정보를 제공한다.
창원시는 U-컨벤션 사업을 통하여 컨벤션센터에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였다. 마산시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소외계층의 건강관리 및 주민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총 25원을 투자하여 U-Health 사업을 추진하였다. 고성군은 U-경남 기반구축을 위한 유비쿼터스 존 조성 시범사업을 당항포 관광지에 구축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외에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양산사송 U-City 건설사업과 2006년부터 2010년까지 U교육문화의 도시! Dynamic Gimhae 4U 라는 슬로건으로 추진하는 김해 U-City 건설사업 등이 있다.
기타 2008년 U-IT를 활용한 U-포크 균일돈 성장관리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6.6억원)과 RFID/USN 기반 고품질 수산물 생장지원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7억원), 그리고 경남도청 및 통영 한려수도, 고성 당항포 관광지에 무선인터넷망을 구축한 U-Zone 사업, U-대봉감 이력추적시스템 구축사업이 추진되었다. 경상남도의 지역정보화계획의 5대 목표인 “CLICK"은 유비쿼터스 사회에 경상남도의 특성과 도민의 취향 및 상황에 맞는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경남의 지역정보화 블루오션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것이다. 2009년에는 U-대봉감 이력추적시스템 구축사업이 사업비 3억원의 예산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창원시 RFID공영자전거 운영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34억원)과 통영, 밀양, 마산에 BIS 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28억원)이 진행될 예정이다.
(15) U-제주
융합형 첨단 IT기반의 지역연고산업의 고도화와 다양한 첨단 시범사업의 추진을 통해 세계 정보통신 거점도시로서의 U-Jeju를 구현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12년을 목표로 섬 전체가 유비쿼터스로 생활할 수 있는 세계 유일한 유비쿼터스 섬을 목표로 다양한 첨단기술과 융합된 유비쿼터스 사업들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은 행정 등 8개 분야 총 68개 단위사업으로 분류되어 부문별로 추진되고 있다. 아래 그림은 U-Jeju의 서비스 개념도이다.
2008년부터 추진되는 U-Jeju 추진사업들로는 환경부문(세계자연유산 실감정보 및 생태 모니터링시스템), 관광 및 생활부문(U-Shopping, 내국인면세점, 기념품점의 지능형 전자상거래시스템, 음식물 쓰레기 통합관제서비스), 복지부문(미아방지를 위한 위치탐지 및 보호관찰 정보시스템, U-School Zone, 학교 주변 교통사고 예방시스템), 환경부문(낙뢰 피해방지를 위한 공공재 인프라 관리시스템) 등이 있다.
(13) U-경북
지금까지 경북의 유비쿼터스사업은 2006년부터 U-경북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유비쿼터스 신기술연구센터와 유비쿼터스 임베디드센터, 구미 유비쿼터스 체험관을 구축하였다. 2008년 U-경북 주요 추진현황은 의료 취약계층 및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USN 기반 원격 건강 모니터링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9.1억원)과 대가야 박물관을 중심으로 U-역사문화관광 서비스와 U-체험문화관광, U-맞춤형관광, U-관광포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북 U-투어 가이드 서비스 구축사업(사업비:102억원)이 추진되었다.
또한 구미시가 산업단지내 와이브로기반 인프라 구축을 통해 입주 기관과 거주민의 업무환경을 개선하는 ubi-Glocal City 구축사업(사업비:166억원)을 추진하였다. 경상북도는 2009년도 행정안전부 U-City 구축기반조성 공모사업에「U-쾌한 문화공간 서비스」사업이 선정되어 2009년 12월까지 14.2억원의 사업비로 경주의 대릉원, 첨성대, 안압지, 세계문화 엑스포장 등에 세계문화유산 U-City구축기반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경주를 찾아오는 방문객에게 체험공간, 감성공간, 상쾌공간, 편리공간 등 보고, 듣고, 즐길 수 있는 오감형 공간과 안심공간, 녹색공간 등 시민과 관광객이 이용하는 역사문화공간 내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하여 경주 관광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2009년부터 약 200억원의 사업비 투자를 통해 2014년까지 포항경주와 울진영덕 그리고, 울릉독도권 삼각축을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기반한 해중공원, 해양목장, 피싱파크, 해양레포츠, 해양도시개발, 테마형 연계관광 사업 등을 포함하는 U-해양생태관광 서비스 구축사업과 경주시 지능형 버스정보 서비스 사업이 약 20억원의 예산을 가지고 추진될 예정이다.
경상북도의 U-City 추진 기본방향은 지역 현안해결을 위한 U-IT 활용과 신규, 기존 도시별 추진전략 차별화, 유비쿼터스 시범도시 조성 그리고 민간기업 참여 유도를 통한 U-신산업 창출 및 기존 산업 활성화이다. 경상북도는 지속적인 정보화인프라 확충과 U-IT 융합기술도입을 통해 도내 어디에서나 유비쿼터스 환경을 제공하여 정보화의 혜택을 모든 도민이 골고루 누리는 U-IT를 이용한 참(CHARM) 경북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14) U-경남
경상남도는 사람, 자본, 정보, 기술이 집적되는 신성장 거점지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도시 전반에 대한 첨단 공공생활 서비스를 다른 자치단체와 차별화시켜, U-City 구축을 위해 각 도시별 세부 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U-City 사업을 통해 경상남도는 도시경쟁력 강화, 시민 삶의 질 향상, 도시효율성 증대, U-City로의 전환, 고용유발효과, 생산유발효과 등을 기대하고 있다. 통영시가 추진하는 U-Travel City 사업은 RFID 리더를 기반으로 관광지 내의 문화재, 관광시설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관광정보를 제공한다.
창원시는 U-컨벤션 사업을 통하여 컨벤션센터에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였다. 마산시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소외계층의 건강관리 및 주민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총 25원을 투자하여 U-Health 사업을 추진하였다. 고성군은 U-경남 기반구축을 위한 유비쿼터스 존 조성 시범사업을 당항포 관광지에 구축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외에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양산사송 U-City 건설사업과 2006년부터 2010년까지 U교육문화의 도시! Dynamic Gimhae 4U 라는 슬로건으로 추진하는 김해 U-City 건설사업 등이 있다.
기타 2008년 U-IT를 활용한 U-포크 균일돈 성장관리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6.6억원)과 RFID/USN 기반 고품질 수산물 생장지원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7억원), 그리고 경남도청 및 통영 한려수도, 고성 당항포 관광지에 무선인터넷망을 구축한 U-Zone 사업, U-대봉감 이력추적시스템 구축사업이 추진되었다. 경상남도의 지역정보화계획의 5대 목표인 “CLICK"은 유비쿼터스 사회에 경상남도의 특성과 도민의 취향 및 상황에 맞는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경남의 지역정보화 블루오션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것이다. 2009년에는 U-대봉감 이력추적시스템 구축사업이 사업비 3억원의 예산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창원시 RFID공영자전거 운영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34억원)과 통영, 밀양, 마산에 BIS 시스템 구축사업(사업비:28억원)이 진행될 예정이다.
(15) U-제주
융합형 첨단 IT기반의 지역연고산업의 고도화와 다양한 첨단 시범사업의 추진을 통해 세계 정보통신 거점도시로서의 U-Jeju를 구현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12년을 목표로 섬 전체가 유비쿼터스로 생활할 수 있는 세계 유일한 유비쿼터스 섬을 목표로 다양한 첨단기술과 융합된 유비쿼터스 사업들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은 행정 등 8개 분야 총 68개 단위사업으로 분류되어 부문별로 추진되고 있다. 아래 그림은 U-Jeju의 서비스 개념도이다.
2008년부터 추진되는 U-Jeju 추진사업들로는 환경부문(세계자연유산 실감정보 및 생태 모니터링시스템), 관광 및 생활부문(U-Shopping, 내국인면세점, 기념품점의 지능형 전자상거래시스템, 음식물 쓰레기 통합관제서비스), 복지부문(미아방지를 위한 위치탐지 및 보호관찰 정보시스템, U-School Zone, 학교 주변 교통사고 예방시스템), 환경부문(낙뢰 피해방지를 위한 공공재 인프라 관리시스템) 등이 있다.
추천자료
[FTA][자유무역협정]FTA(자유무역협정)의 추진배경, FTA(자유무역협정)의 현황과 한미FTA(자...
[경제성장]경제성장과 경제성장률, 경제개방과 경제성장의 관계,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과거 ...
[바이오산업]바이오산업의 개념, 바이오산업의 범위와 바이오산업의 현황, 바이오산업의 제휴...
[주민자치센터][주민자치][주민자치센터프로그램][주민참여][자치의식]주민자치센터의 의미와...
[공공부문정보시스템아웃소싱]공공부문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등장배경과 특성, 공공부문 정...
[이유럽][e유럽]이유럽(e유럽, eEurope)의 추진배경, 이유럽(e유럽, eEurope)의 의의와 이유...
스마트워크(Smart Work)의 모든 것 - 스마트워크의 등장 배경 및 장단점 특징 이해, 스마트워...
[PCT]PCT(특허협력조약)국제특허출원의 의의와 유형, PCT(특허협력조약)국제특허출원의 현황...
가상대학(원격대학, 사이버대학) 개념과 필요성, 가상대학(원격대학, 사이버대학) 현황과 추...
원격대학(가상대학, 사이버대학)의 개념과 유형, 원격대학(가상대학, 사이버대학)의 현황과 ...
브라질의 경제발전, 공업화 전략, 수입대체, 추진 단계, 향후 경제전망, 한국 경제 발전과 비...
[과학기술인력양성, 기술인력]과학기술인력양성의 배경과 필요성, 과학기술인력양성의 현황, ...
은행 고객만족경영(CSM)의 필요성, 은행 고객만족경영(CSM)의 현황, 은행 고객만족경영(CSM)...
호텔마케팅 - 해운대 그랜드 호텔(Haeundae Grand Hotel), 상품 개요, 현황분석, 시장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