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롭의 민담형태론에 적용하여 전래동화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롭의 민담형태론에 적용하여 전래동화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인이 죄를 자백.
Rs: 조력자의 행동영역.(장화와 홍련의 억울함을 풀어 주려 노력)
U: 허씨 부인과 장쇠가 벌을 받음.
전래동화2. <물길 없는 소천지>
<줄거리>
옛날 아주 먼 옛날 백두산 기슭의 어느 작은 마을에 ‘복수’라는 소년과 그의 어머니가 살았다.
그의 나이 열 살 때 어머니는 그 아이에게 아버지가 마을을 황폐하게 한 백두산의 흉악한 용과 싸우다가 심하게 다쳐 태어나는 아이가 사내아이면 삼신산에 보내어 도술과 무예를 배우게 하여 자신과 마을 사람들의 원수를 갚게 해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아버지의 유언을 들은 복수는 다음날 바로 삼신산에 가서 그곳에 있는 삼신상제에게 찾아가 삼년 동안 도를 닦고 또 다시 삼년 동안 무예를 닦고 마지막 삼년 동안 권술을 익혔다. 그렇게 구년이 흘러 19살에 삼신상제와 헤어지고, 먼저 어머니가 계시는 마을을 찾아간다. 복수는 마을에 계시는 어머니를 뵙고 나서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백두산에 있는 용에게 찾아갔다. 그리고 복수와 용이 싸우기 시작한다. 복수와 용이 싸우는 중에 복수는 용을 들어 절벽 밑으로 던져버리고 바위를 뽑아 용의 머리를 짓눌렀다. 이 바위는 지금의 소천지 서쪽에 우뚝 솟아있는 바위라고 한다.
그리고 나서 복수는 바위를 뽑아낸 자리에 물을 채웠는데 그것이 오늘의 ‘소천지’라고 한다. 이 소천지에는 들어오는 물줄기만 있고 나가는 물길이 없지만 바위 밑에 깔린 용이 물을 마시기 때문에 물은 언제나 불지도 줄지도 않는다고 한다.
<해석 및 분석>
도입상황: 옛날 아주 먼 옛날 백두산 기슭의 어느 작은 마을에 ‘복수’라는 소년과 그의 어머니가 살았다.(주인공의 소개)
기능:
8) 악한이 가족 중의 일원에게 해를 끼치거나 상해를 입힌다.
- 아버지가 용에게 죽임을 당한다.
9) 불운과 결여가 주인공에게 알려지고, 주인공이 요청이나 명령을 받아 출발을 허 락 받거나 파견된다.
- 복수 10살 때 어머니가 아버지가 죽게된 이야기를 해주고 복수를 삼신산으로 보낸다.
11) 주인공이 집을 떠난다.<↑>
- 복수가 삼신산에 간다.
15) 주인공이 그가 찾는 대상이 있는 곳으로 옮겨지거나, 인도되거나 안내된다.
- 삼신상제에게 9년을 배운 후 집에 갔다가, 용을 찾아 백두산에 간다.
16) 주인공과 악한이 직접 싸움한다.
- 복수와 용이 싸운다.
18) 악한이 패배한다.
- 복수가 용의 머리를 바위로 짓눌러 놓는다.
*민담을 구성하는 31개의 기능 이외에 중요한 몇 가지 요소 중 둘째 조건인 삼회 화된 보조요소.
삼회화 요소-삼년 동안 도를 닦고, 삼년 동안 무예를 닦고, 삼년 동안 권술을 배웠다.
<도식화>
AB↑G
HI
<주석>----------------------------------------------------------------------
블라디미르 프롭, 민담형태론, 대방출판사, 1987.
편집위원: 박홍근/박화목/김근리, 장화홍련, 삼성당, 1995.
글 이영, 만화 신송균, 백두산 전래동화, 대교출판, 1992.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9.27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