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활동 보조 제도 허와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 활동 보조 제도 허와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개념 및 배경
목적 및 의의

본론

신청자격
제외대상 및 대상자 선정 절차
활동보조인
외국의 활동보조서비스
문제사례 및 장단점

결론

개선방안
우리들의 생각

본문내용

개념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란 자립생활 개념에서 가장 핵심적인 서비스이며, 특히 중증 신체장애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 이다. 활동보조서비스는 거의 대부분 활동보조인에 의해서 제공되며, 장애인의 신변처리를 총칭한다.자원봉사와는 달리 활동보조서비스는 임금을 주고 활동보조인을 고용함으로써, 장애인이 선택권과 결정권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배경
① 1962년대에 미국에서 장애인의 소비자주권과 자기결정권의 기본적인 원칙을 내세우고
있는 자립생활 개념이 싹트기 시작
② 1962년에 버클리대학에 입학한 중증장애인 로버츠 에드워드를 주축으로 1973년에 버클
대학에 최초로 설립과 함께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제시 ( 장애패러다임 “재활” -> “자활
생활” )
1. 장애인의 욕구와 그 욕구를 어떻게 충족할지는 가장 잘아는 사람을 바로 장애인 자신
=> “도움”을 “관리”해야 하는 지위
2. 장애인은 시설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생활해야 한다.
3. 장애인은 “장애” 그 자체보다도 사회적 편견의 희생자이다.
③ 유럽과 일본 등의 선진국에 도입돼 제도화 하기 시작
④ 한국은 1998년 “한∙일 자립생활 실천세미나 ”로 통한 자립의 출발점
⑤ 2001년 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 정립동료상담학교”에서 활동보조 시작
=> 동료상담서포터 ( 지지하는 모임 ) 로 시작
⑥ 2002년 서울시가 5개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원하며서 공적인 지원이 시작
  • 가격1,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9.28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769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