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상이 무섭다
행복은 이렇게 온다
행복은 이렇게 온다
본문내용
아 함께 <개구리 왕자>에 나오는 개구리처럼, 언젠가 자신이 왕자임을 알아주는 공주가 나타나기를 고대하는 ‘왕자병’의 기세도 만만치 않다. 공주병과 왕자병은 모두 허영심을 조장할 뿐만 아니라 현실을 제대로 투시하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경계해야 할 현대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동화에서 오는 이러한 ‘부작용’을 전적으로 동화 자체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만은 없을 듯하다. 오히려 그것을 읽는 이의 마음자세에서 비롯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신데렐라의 행동방식이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 너무 순종적이라는 점을 비판할 수는 있겠지만, 그녀는 자신의 어려운 처지를 성실하게 감내하였고 무엇보다도 그 속에서 꿈을 잃지 않았다. 무도회에 가고 싶은, 왕자를 만나고 싶은, 나아가 현실의 속박에서 벗어나 ‘상승’하고 싶은 신데렐라의 열망이야 말로 그녀의 운명을 바꾸어 놓은 열쇠가 아니었을까. 우리가 어릴 적의 순수한 마음을 되살려 다시 이 이야기를 대한다면 그러한 희망의 메시지를 읽어낼 수 있을지 모른다. 결국 신데렐라 콤플렉스에 빠지는 여성들은 신데렐라에 대한 오해에서, 그 참모습은 보지 않고 자신이 보고 싶은 부분만 보려 한 편협함과 나태함에서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 후의 폐허 속에 남겨진 독일인들에게 민족적 자긍심을 불어넣고 재건의 희망을 심어주었던 《그림 동화집》은 오늘 날까지 어린이와 어른을 막론하고 모든 이의 가슴에 꿈을 심어주는 영원한 고전으로 남아있다. 절망 속에서 피어난 ‘독일의 희망’을 은은하게 담고 있는 《그림 동화집》을 다시 한 번 읽어 봄직하다.
그러나 동화에서 오는 이러한 ‘부작용’을 전적으로 동화 자체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만은 없을 듯하다. 오히려 그것을 읽는 이의 마음자세에서 비롯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신데렐라의 행동방식이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 너무 순종적이라는 점을 비판할 수는 있겠지만, 그녀는 자신의 어려운 처지를 성실하게 감내하였고 무엇보다도 그 속에서 꿈을 잃지 않았다. 무도회에 가고 싶은, 왕자를 만나고 싶은, 나아가 현실의 속박에서 벗어나 ‘상승’하고 싶은 신데렐라의 열망이야 말로 그녀의 운명을 바꾸어 놓은 열쇠가 아니었을까. 우리가 어릴 적의 순수한 마음을 되살려 다시 이 이야기를 대한다면 그러한 희망의 메시지를 읽어낼 수 있을지 모른다. 결국 신데렐라 콤플렉스에 빠지는 여성들은 신데렐라에 대한 오해에서, 그 참모습은 보지 않고 자신이 보고 싶은 부분만 보려 한 편협함과 나태함에서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 후의 폐허 속에 남겨진 독일인들에게 민족적 자긍심을 불어넣고 재건의 희망을 심어주었던 《그림 동화집》은 오늘 날까지 어린이와 어른을 막론하고 모든 이의 가슴에 꿈을 심어주는 영원한 고전으로 남아있다. 절망 속에서 피어난 ‘독일의 희망’을 은은하게 담고 있는 《그림 동화집》을 다시 한 번 읽어 봄직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