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Ⅱ. 본론 1
1. 문헌고찰(peritonitis) 1
2. 간호과정 5
1) 간호사정 5
① 간호력 5
② 신체검진 8
③ 진단 검사 및 약물 10
2) 간호진단 도출 16
①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16
② 수술 중 마취로 인한 혼돈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17
③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18
Ⅲ. 결론 19
1. 실습 소감 19
2. 참고문헌 19
Ⅱ. 본론 1
1. 문헌고찰(peritonitis) 1
2. 간호과정 5
1) 간호사정 5
① 간호력 5
② 신체검진 8
③ 진단 검사 및 약물 10
2) 간호진단 도출 16
①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16
② 수술 중 마취로 인한 혼돈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17
③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18
Ⅲ. 결론 19
1. 실습 소감 19
2. 참고문헌 19
본문내용
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 단기적 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침대에 누워 있을 때는 항상 난간을 올리는 것이 관찰된다.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낙상 예방 방법을 3가지 이상 말한다.
간호계획
1.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주의를 준다.
2. 대상자의 침상에 ‘낙상주의’ 팻말을 부착한다.
3. 보호자에게 낙상예방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한다.
간호수행
1.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주의를 주었다.
낙상 환자 10명 중 약 1명은 대퇴부의 골절이나 머리 손상으로 입원이 필요한 심각한 손상이 동반되어 손상에 의한 치료 기간이 길어지고 경우에 따라서 사망까지 발생하므로 본인과 가족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심하며 경제적 손실 또한 크다.
2. 대상자의 침상에 ‘낙상주의’ 팻말을 부착하였다.
3. 보호자에게 낙상예방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다.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을 때에는 침대 난간 양쪽을 모두 올리고 수면 중에 일어나 화장실에 갈 때에는 반드시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를 받아서 침대에서 내려온다.
또 보호자 동행으로 부축을 받아 복도 벽에 있는 손잡이(가드레일)을 잡고 다닌다. 눕는 차, 휠체어 및 보호자 침대에 옮겨갈 때 반드시 바퀴에 잠금장치를 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바닥에 미끄러운 용액이나 물로 인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유의하고 만약 미끄러운 용액이나 물이 있을 때 즉시 깨끗하게 한다.
앉았다 일어섰을 때 자주 현기증을 경험한다면 갑자기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간호사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는다. 신발은 슬리퍼보다 운동화를 권했다.
이론적 근거
1. 낙상위험성에 대한 주의를 통해 낙상에 대해 조금더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예방법 교육시 높은 교육열을 기대 할 수 있다.
2. 침상에 ‘낙상주의’ 팻말을 부착함으로써 자주 눈에 익힘으로써 자주 예방에 신중을 기할 수 있다.
3. 보호자에게 낙상예방방법에 대한 교육함으로써 낙상예방 기본지식을 습득하여 낙상예방에 대한 학습능력을 상승시켜 상황에 맞는 대처능력을 높인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침대에 누워있을 때는 항상 침대 난간을 올리고 있는 모습이 관찰 되었고 낙상 예방 방법 4가지를 말하였다.
- 6/1 퇴원 예정인 대상자는 현재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간호진단 #3.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숨쉬기가 어려워. 꼭 깊게 숨쉬어야해?”
- “수술 한 곳이 아픈데 기침을 어떻게 하란 말이야?”
- “배가 이렇게 아픈데 왜 병동복도를 왔다갔다하라는 거야?”
▶ 객관적 자료
- 숨을 얕게 쉬는 것이 관찰됨
- BT : 37.8℃ (수술 중 모든 마취제의 미 배출로 인한 미열)
간호목표
▶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14일 이내에 수술 후 관리의 중요성을 5가지 이상 말한다.
▶ 단기적 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심호흡과 기침을 하는 모습이 100회 이상 관찰된다.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심호흡과 기침의 필요성을 말한다.
- 대상자는 6일 이내에 병동복도를 걷는 모습이 5번 이상 관찰된다.
간호계획
1. 심호흡과 기침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시연한다.
2. 조기이상의 필요성을 설명한고 격려한다.
간호수행
1. 심호흡과 기침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시연하였다.
코로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뱉는 모습을 보여주며 따라하도록 하고 폐에 남아있는 마취가스를 빼내기 위해 심호흡과 기침을 자주 하여야 한다.
2. 조기이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격려하였다.
수술 후 환자의 호흡이나 순환기능을 촉진하여 체력의 회복을 빨리하기 위하여, 수술직후부터 조금씩 체위변환을 행하여, 심호흡을 시켜서, 될 수 있는 한 빨리 환자 혼자서 기상이나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론적 근거
1. 심호흡과 기침을 통해 폐에 남아 있는 마취 가스를 빨리 빼내어 무기폐를 방지한다.
2. 조기이상을 통해 수술 후 환자의 호흡이나 순환기능을 촉진하여 체력의 회복을 빠르게 한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1분에 20회 이상 심호흡 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심호흡과 기침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 통증이 완화된 3일 째부터 하루에 2번 이상, 6일 내에 6번 이상 운동하는 것이 관찰 되었으나, 수술 후 관리의 중요성 4가지를 설명하였다.
Ⅲ. 결론
1. 실습 소감
정신병원을 2주 동안 실습을 다녀왔지만 대학병원은 처음이라 많이 긴장한 상태로 처음 실습에 임했다. 솔직히 처음 며칠간은 간호사 선생님들도 업무가 바쁘다보니 간호학생을 하나하나 챙길 틈이 없는 것은 당연하나 말이 간호학생이지 그냥 심부름꾼 같은 느낌도 들었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 보니 ‘입원하신 환자분들도 비싸게 돈 주고 몸이 아파서 입원해 계시는 것인데 우리 같은 아직 전문적이지 않은 학생이 가서 중요한 간호를 한다는 것 자체도 말이 안 되긴 한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2주 동안 한 활동은 vital check, 침상 만들기, 병동물품정리, 약 받아오기 등 이었다. 처음에 잠시 동안은 이런 것이 귀찮고 내가 실습 나와서 할 일은 이 것 뿐인가라는 생각에 힘이 빠지고 의욕이 없기도 했으나 하찮게 보일지라도 이것 또한 중요한 간호의 업무 중 하나라는 생각이 번쩍! 들면서 하나의 일을 하더라도 의미를 두고 열심히 하려 노력했다. 나이가 많은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수술 받으시고 힘들어 하시는 것을 보고 부모님과 조부모님의 건강에 대한 걱정을 했고 나이가 어린 학생과 어린이들도 많이 입원하는 것을 보고 나의 건강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처음엔 2주가 언제 지나가나......했는데 벌써 2주가 지났다는 것이 놀랍다. 환자와 rappo형성을 하려 노력했는데 이렇게 또 헤어지려니 마음이 아프기도 하다. 그러나 내가 조금 더 공부를 많이 하여 전문성을 가진 간호사가 되었을 때 아프신 분들에게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런 헤어짐에 대한 서운함을 발판삼아 간호사가 되는 길에 조금 더 힘을 내어 열심히 공부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2.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전시자외
- 네이버 지식백과(terms.naver.com)
- 드러그인포(www.druginfo.co.kr)
- 서울아산병원(www.amc.seoul.kr)
▶ 단기적 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침대에 누워 있을 때는 항상 난간을 올리는 것이 관찰된다.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낙상 예방 방법을 3가지 이상 말한다.
간호계획
1.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주의를 준다.
2. 대상자의 침상에 ‘낙상주의’ 팻말을 부착한다.
3. 보호자에게 낙상예방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한다.
간호수행
1.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주의를 주었다.
낙상 환자 10명 중 약 1명은 대퇴부의 골절이나 머리 손상으로 입원이 필요한 심각한 손상이 동반되어 손상에 의한 치료 기간이 길어지고 경우에 따라서 사망까지 발생하므로 본인과 가족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심하며 경제적 손실 또한 크다.
2. 대상자의 침상에 ‘낙상주의’ 팻말을 부착하였다.
3. 보호자에게 낙상예방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다.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을 때에는 침대 난간 양쪽을 모두 올리고 수면 중에 일어나 화장실에 갈 때에는 반드시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를 받아서 침대에서 내려온다.
또 보호자 동행으로 부축을 받아 복도 벽에 있는 손잡이(가드레일)을 잡고 다닌다. 눕는 차, 휠체어 및 보호자 침대에 옮겨갈 때 반드시 바퀴에 잠금장치를 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바닥에 미끄러운 용액이나 물로 인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유의하고 만약 미끄러운 용액이나 물이 있을 때 즉시 깨끗하게 한다.
앉았다 일어섰을 때 자주 현기증을 경험한다면 갑자기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간호사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는다. 신발은 슬리퍼보다 운동화를 권했다.
이론적 근거
1. 낙상위험성에 대한 주의를 통해 낙상에 대해 조금더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예방법 교육시 높은 교육열을 기대 할 수 있다.
2. 침상에 ‘낙상주의’ 팻말을 부착함으로써 자주 눈에 익힘으로써 자주 예방에 신중을 기할 수 있다.
3. 보호자에게 낙상예방방법에 대한 교육함으로써 낙상예방 기본지식을 습득하여 낙상예방에 대한 학습능력을 상승시켜 상황에 맞는 대처능력을 높인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침대에 누워있을 때는 항상 침대 난간을 올리고 있는 모습이 관찰 되었고 낙상 예방 방법 4가지를 말하였다.
- 6/1 퇴원 예정인 대상자는 현재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간호진단 #3.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숨쉬기가 어려워. 꼭 깊게 숨쉬어야해?”
- “수술 한 곳이 아픈데 기침을 어떻게 하란 말이야?”
- “배가 이렇게 아픈데 왜 병동복도를 왔다갔다하라는 거야?”
▶ 객관적 자료
- 숨을 얕게 쉬는 것이 관찰됨
- BT : 37.8℃ (수술 중 모든 마취제의 미 배출로 인한 미열)
간호목표
▶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14일 이내에 수술 후 관리의 중요성을 5가지 이상 말한다.
▶ 단기적 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심호흡과 기침을 하는 모습이 100회 이상 관찰된다.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심호흡과 기침의 필요성을 말한다.
- 대상자는 6일 이내에 병동복도를 걷는 모습이 5번 이상 관찰된다.
간호계획
1. 심호흡과 기침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시연한다.
2. 조기이상의 필요성을 설명한고 격려한다.
간호수행
1. 심호흡과 기침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시연하였다.
코로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뱉는 모습을 보여주며 따라하도록 하고 폐에 남아있는 마취가스를 빼내기 위해 심호흡과 기침을 자주 하여야 한다.
2. 조기이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격려하였다.
수술 후 환자의 호흡이나 순환기능을 촉진하여 체력의 회복을 빨리하기 위하여, 수술직후부터 조금씩 체위변환을 행하여, 심호흡을 시켜서, 될 수 있는 한 빨리 환자 혼자서 기상이나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론적 근거
1. 심호흡과 기침을 통해 폐에 남아 있는 마취 가스를 빨리 빼내어 무기폐를 방지한다.
2. 조기이상을 통해 수술 후 환자의 호흡이나 순환기능을 촉진하여 체력의 회복을 빠르게 한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1분에 20회 이상 심호흡 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심호흡과 기침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 통증이 완화된 3일 째부터 하루에 2번 이상, 6일 내에 6번 이상 운동하는 것이 관찰 되었으나, 수술 후 관리의 중요성 4가지를 설명하였다.
Ⅲ. 결론
1. 실습 소감
정신병원을 2주 동안 실습을 다녀왔지만 대학병원은 처음이라 많이 긴장한 상태로 처음 실습에 임했다. 솔직히 처음 며칠간은 간호사 선생님들도 업무가 바쁘다보니 간호학생을 하나하나 챙길 틈이 없는 것은 당연하나 말이 간호학생이지 그냥 심부름꾼 같은 느낌도 들었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 보니 ‘입원하신 환자분들도 비싸게 돈 주고 몸이 아파서 입원해 계시는 것인데 우리 같은 아직 전문적이지 않은 학생이 가서 중요한 간호를 한다는 것 자체도 말이 안 되긴 한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2주 동안 한 활동은 vital check, 침상 만들기, 병동물품정리, 약 받아오기 등 이었다. 처음에 잠시 동안은 이런 것이 귀찮고 내가 실습 나와서 할 일은 이 것 뿐인가라는 생각에 힘이 빠지고 의욕이 없기도 했으나 하찮게 보일지라도 이것 또한 중요한 간호의 업무 중 하나라는 생각이 번쩍! 들면서 하나의 일을 하더라도 의미를 두고 열심히 하려 노력했다. 나이가 많은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수술 받으시고 힘들어 하시는 것을 보고 부모님과 조부모님의 건강에 대한 걱정을 했고 나이가 어린 학생과 어린이들도 많이 입원하는 것을 보고 나의 건강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처음엔 2주가 언제 지나가나......했는데 벌써 2주가 지났다는 것이 놀랍다. 환자와 rappo형성을 하려 노력했는데 이렇게 또 헤어지려니 마음이 아프기도 하다. 그러나 내가 조금 더 공부를 많이 하여 전문성을 가진 간호사가 되었을 때 아프신 분들에게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런 헤어짐에 대한 서운함을 발판삼아 간호사가 되는 길에 조금 더 힘을 내어 열심히 공부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2.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전시자외
- 네이버 지식백과(terms.naver.com)
- 드러그인포(www.druginfo.co.kr)
- 서울아산병원(www.amc.seoul.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