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단군신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조선 단군신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또 그 재위 년수도 1,000여 년 이상인데 이것도 각 자료마다 다르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단군신화는 객관성이 결여된 하나의 설화에 불과하다’고 하며 단군조선의 실체를 부정하였다.
나) 역사로 보는 시각
단군조선의 실체를 인정하려는 연구는 신채호·최남선 등 민족주의 사학자들에 의하여 주도되었다. 신채호는 <조선상고사 朝鮮上古史>에서 단군조선을 조선 최초의 국가로 파악하였으며, 최남선은 <삼국유사해제三國遺事解題>에서 <위서>와 <고기>의 인용 내용을 그대로 사실로 인정하였다. 또, 일연의 역사인식이 사료에 근거하고 있는 점, 즉 <삼국유사>에 약 150여종의 자료를 인용하고 있는데 현존하는 사료와 비교할 때 사료를 자의대로 개량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일연이 유독 단군에 관한 기사만을 개변하였겠는가? 라고 하여 일본인의 신화조작설을 비판하고 단군조선의 실체를 인정하였다.
3. 단군신화가 현대의 우리에게 주는 의미
외국의 여러 나라들을 보면 인접한 국가들끼리 그 내용이 유사할 수 있으나 각자의 고유한 건국신화를 갖고 있기 마련이다. 마찬가지로, 고조선의 건국시조로서 단군에 대한 인식은 고조선 사회의 해체 이후 부여와 고구려를 중심으로 면면히 이어져 온 우리 민족의 사상적 근간이었다. 단군신화는 고려 후기 원의 지배하에서 우리의 민족의식을 선양하기도 하였고, 일제시대에도 우리 민족의 뿌리를 지켜준 신화이다. 즉, 나라의 형편이 어려울 때마다 단군신화는 우리들로 하여금 민족과 국가에 자부심과 긍지를 갖게 하고 우리의 뿌리를 명확히 인식하게 함으로써 어려움을 슬기롭게 해쳐나갈 수 있게 해주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 글로벌 시대에서 세계는 점점 더 가까워져 그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그렇게 지구촌화 되는 만큼 점점 더 사람들은 자신들의 일 외에는 관심도 없으며, 개인주의와 이기주의에 물들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는 월명사의 <제망매가>에서 ‘한 가지에서 태어나다’라는 말처럼 우리가 하나라는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세계 경제 위기의 경우처럼 나라가 어려울 때 우리 민족을 단결시켜 위기를 함께 힘을 합쳐, 슬기롭게 해쳐 나갈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여 준다.
참고자료
<한국고대민족사의 탐구> 신천식 저
<이야기 한국고대사> 최범서 저
<단군신화의 신연구> 김재원 저
<단군, 만들어진 신화> 송호정 저
무씨사당화상석 (원문출처 : http://ulnara.or.kr)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04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0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