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네트워크의 현재와 미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의 네트워크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내 상용망의 현재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국내 네트워크의 미래 ․ ․ ․ ․ ․ ․ ․ ․ ․ ․ ․ ․ ․ ․ ․ ․ ․ ․ ․ ․ ․ ․ ․ ․ 5



Ⅲ. 참고문헌 및 주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Ⅳ. 참고문헌 및 주소 ․ ․ ․ ․ ․ ․ ․ ․ ․ ․ ․ ․ ․ ․ ․ ․ ․ ․ ․ ․ ․ ․ ․ ․ ․ 8



Ⅴ. 참고문헌 및 주소 ․ ․ ․ ․ ․ ․ ․ ․ ․ ․ ․ ․ ․ ․ ․ ․ ․ ․ ․ ․ ․ ․ ․ ․ ․

본문내용

a 인터넷이 국내 도입된다. 이는 현재의 광랜보다 최대 10배 빠른 속도이다.
Giga 인터넷은 광대역 통합망(BcN) 이후 세계 일류의 방송통신 인프라의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선도하고, 고품질대용량·융합화 돼가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용키 위해 정부가 국정과제의 하나로 선정해 추진된다.
이번 'Giga 인터넷 추진계획'은 미래 네트워크 기술 발전 및 서비스 수요 전망을 반영해 BcN 보다 최대 10배 빠른 Giga급 인터넷 서비스를 일반 가정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09년부터 ’12년까지 시범망 구축, 시범서비스, 기술개발 및 여건조성 등의 분야를 사전에 검증하고 준비하는 내용 등을 담고있다.
앞으로 민·관 매칭펀드로 Giga급 시범망을 구축하고 실감형 3차원 IPTV, 멀티앵글 IPTV, HD 홈 CCTV 서비스, TV 멀티미디어 메신저 서비스 등 고품질·대용량의 미래 방송통신융합서비스로 구현될것이다.
Giga 인터넷 서비스 구축은 관련 산업의 성장뿐만 아니라 방통융합 분야의 글로벌 기술경쟁력 향상, 새로운 분야의 시장창출 기회 제공, 생활 환경 변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국내 인터넷 속도 향상 기술로 사용될 것이다.
IPv6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IPv6 장비 지원사업을 전개하는 등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 `IPv6' 를 적극적으로 확산할 것이다. 정부는 정부ㆍ공공기관과 국내 모든 상용 통신망의 인터넷 주소체계를 IPv6로 전환할 계획이다.
우선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직접 IPv6 장비를 공급해줌으로써 IPv6가 본격적으로 확산될 것이다.
정부는 또 대덕특구를 IPv6 클러스터로 삼아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활용해 연구망 이용기관의 네트워크에 IPv6를 적용하고, VoIPv6와 같은 IPv6 응용서비스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내 IPv6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교환하고 IPv6 서비스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이미 구축한 IPv6 연동망(6NGIX, 6KANet) 및 IPv6 포털을 KREONET은 물론, 향후 정부기관 및 지자체의 IPv6망과도 연동함으로써 국내 IPv6 트래픽 교환의 거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지원 인력풀을 통해 IPv6 기술지원에 나서는 한편, IPv6 보급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 활동도 펼칠것이다.
고선명(HD) 네트워크
차세대 비디오전송솔루션인 고선명(HD) 네트워크가 보급화 될것이다.
이 기술은 라인 상의 어도비 플래시, 마이크로소프트 실버라이트 사용자와 아이폰 사용자들이 피크타임에도 고화질(HD) 비디오를 감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아카마이 HD 네트워크는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양방향 온라인 서비스를 HDTV급으로 제공하면서 라이브 및 온디맨드 HD 스트리밍을 지원한다.
최초의 스트리밍 플랫폼인 아카마이 HD 네트워크는 플래시, 실버라이트 및 아이폰 등 다수의 재생 장치 및 환경에 연결해 통합적인 HD 네트워크를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또 5만대 이상의 서버로 구축된 아카아미의 엣지 플랫폼과 전세계 70개국 이상에 분포된 900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사업자가 보다 많은 HD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될 것이다.
홈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는 「데이터 홈 네트워크」로부터 시작하여, 「엔터테인먼트 홈 네트워크」, 「홈 오토메이션 네트워크」,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등으로 발전할 것이다.
홈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전문가들은 크게 「데이터 홈 네트워크」, 「엔터테인먼트 홈 네트워크」, 「홈 오토메이션 네트워크」 등 3 가지로 구분되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구축된 홈 네트워크의 90% 이상은 「데이터 홈 네트워크」 방식이다.
「데이터 홈 네트워크」는 '2대 이상의 PC간에 인터넷접속/파일/주변기기 공유를 위해 구축되는 홈 네트워크'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비록 불법이기는 하지만, 집에서 초고속인터넷 접속을 공유하기 위해 용산에서 인터넷 공유기를 구입해 2대 이상의 PC로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이 많다. 따라서 세계 최고의 초고속인터넷 강국이자, 온라인 게임의 천국이라는 우리나라는 이미 상당한 수의 홈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는 셈이다. PC 업체들이 인터넷 공유기를 PC 구입 시 번들로 끼워 팔기 시작했다는 뉴스를 최근 접했는데, 이는 이제 막 우리나라에서도 「데이터 홈 네트워크」가 일반화(communization)되고 있는 신호 인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데이터 홈 네트워크」를 「엔터테인먼트 홈 네트워크」와 연결하려는 시도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데이터 홈 네트워크」를 통해 가장 큰 수혜를 입고 있는 PC 업체와 멀티미디어 가전 업체들이 상호 간의 영역을 네트워킹으로 서로 연결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 Apple 사의 iTunes.com 서비스를 들 수 있다. Apple은 iTunes.com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자사의 Airport Express 802.11g Base Station 장비를 이용해 집 안의 홈 오디오와 PC와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홈 오디오 네트워크 구축을 독려하고 있다. 또한, Telco/MSO 들은 방송/영화와 같은 비디오 콘텐츠를 「엔터테인먼트 홈 네트워크」에 접목시키기 위해 묘안을 짜내고 있습니다. KT의 홈엔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엔터테인먼트 홈 네트워크」에 기반을 두면서 「데이터 홈 네트워크」와 「홈 오토메이션 네트워크」를 접목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참고문헌
http://nalzacom.tistory.com/10?srchid=BR1http%3A%2F%2Fnalzacom.tistory.com%2F10
http://www.oranews.co.kr/news/view.asp?idx=44391&msection=1&ssection=46&page=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40102010531686003
http://chanho32.egloos.com/2112732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09300176

키워드

네트워크,   통신,   국내,   미래,   전자,   정보통신,   정보,   시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10.04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0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