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5부체제의 성립과 운영
2. 중앙 행정 조직
(1) 관등제와 관직
1)초기 관등제와 관직
2) 4~7세기 관등제와 관직
(3)합좌제도
1) 제가회의
2)귀족회의
3. 지방행정제도
(1) 초기의 지방통치제
(3) 성단위 지방통치제
2. 중앙 행정 조직
(1) 관등제와 관직
1)초기 관등제와 관직
2) 4~7세기 관등제와 관직
(3)합좌제도
1) 제가회의
2)귀족회의
3. 지방행정제도
(1) 초기의 지방통치제
(3) 성단위 지방통치제
본문내용
》에 재(宰)와 태수(太守), 수(守)가 보이며 또한 <모두루 묘지>와 <중원고구려비>에서 수사(守事)를 볼 수 있다. 4, 5세기에는 아직 수사보다 상위의 지방관은 마련되지 않았고 수사는 다수의 성 , 곡을 통솔하고 있었다. 따라서 4, 5세기에는 지방관으로 볼 때 태수(太守)(守事 수사)―재(宰)의 2단계 지방통치조직을 갖추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3) 성단위 지방통치제
6세기 이후에는 지방행정조직이 새롭게 정비되어 도성제로는 3京制(경제)가 마련되었다. 수도인 평양성과 국내성(國內城), 한성(漢城)을 3京(경)이라 하였는데, 이들 도성의 행정구역은 上部(동부), 下部(서부), 前部(남부), 後部(북부), 中部(내부) 등 5부로 나뉘었다. 특히 수도의 행정구역은 內評(내평)으로 불리였으며, 내평 5부에는 욕살(褥薩)을 두어 통치하게 하였다.
지방은 외평(外評)이라 하여 역시 5부로 나누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구체적인 행정단위는 자료가 없어 알 수 없으나, 지방관을 중심으로 볼 때에는 褥薩(욕살)―處閭近支(처려근지)(道使 도사)―可邏達(가라달), 婁肖(누초)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지방행정의 통속관계를 보면, 5부의 욕살은 휘하에 처려근지가 다스리는 10여 성을 거느리고, 처려근지는 누초가 파견된 2~3개 소성을 통솔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상하 지방행정단위는 모두 독자적인 통치영역을 갖고 있어 명령 수수계통에 있어서만 하위 행정단위를 통솔하고, 행정 , 군사적으로는 직할지만을 관장한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지방관은 행정조직을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관할 지방군의 지휘관의 역할도 겸하였다.
(3) 성단위 지방통치제
6세기 이후에는 지방행정조직이 새롭게 정비되어 도성제로는 3京制(경제)가 마련되었다. 수도인 평양성과 국내성(國內城), 한성(漢城)을 3京(경)이라 하였는데, 이들 도성의 행정구역은 上部(동부), 下部(서부), 前部(남부), 後部(북부), 中部(내부) 등 5부로 나뉘었다. 특히 수도의 행정구역은 內評(내평)으로 불리였으며, 내평 5부에는 욕살(褥薩)을 두어 통치하게 하였다.
지방은 외평(外評)이라 하여 역시 5부로 나누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구체적인 행정단위는 자료가 없어 알 수 없으나, 지방관을 중심으로 볼 때에는 褥薩(욕살)―處閭近支(처려근지)(道使 도사)―可邏達(가라달), 婁肖(누초)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지방행정의 통속관계를 보면, 5부의 욕살은 휘하에 처려근지가 다스리는 10여 성을 거느리고, 처려근지는 누초가 파견된 2~3개 소성을 통솔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상하 지방행정단위는 모두 독자적인 통치영역을 갖고 있어 명령 수수계통에 있어서만 하위 행정단위를 통솔하고, 행정 , 군사적으로는 직할지만을 관장한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지방관은 행정조직을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관할 지방군의 지휘관의 역할도 겸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