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의 개념과 수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측정의 개념과 수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측정
2. 측정 수준
3. 척도

본문내용

이면 약한 태도에도 긍정적일
것이다.
example 거트만 누적척도
항목 찬성 반대
① 우리 시에 장애인 시설이 들어오는 것에 대하여
② 우리 구에 장애인 시설이 들어오는 것에 대하여
③ 우리 동에 장애인 시설이 들어오는 것에 대하여
④ 우리 집 근처에 장애인 시설이 들어오는 것에 대하여
⑤ 우리 집 앞에 장애인 시설이 들어오는 것에 대하여
3) 보가더스척도
- 소수민족이나 사회계급 등 사회 제 집단의 거리, 즉 사회관계에 있어 인간 상호 간에 느끼는 이해와 친근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 사회적 거리척도라고도 한다.
- 문항에 따라 사회적으로 관계를 맺으려는 정도가 질문 문항에 따라 분명하게 차이가 나
기 때문에 이런 측정도구의 문항들 사이에 위계적 구조가 나타난다.
example 보가더스의 사회적 거리척도의 예
항목 찬성 반대
① 동남아시아 사람이 우리나라에 사는 것을 허용한다.
② 동남아시아 사람이 나의 지역사회에서 사는 것을 허용한다.
③ 동남아시아 사람이 나의 동네에서 사는 것을 허용한다.
④ 동남아시아 사람이 나의 옆집에서 사는 것을 허용한다.
⑤ 동남아시아 사람이 나의 자녀와 결혼하는 것을 허용한다.
4) 어의차(의미분화)척도
- 개념이 가진 심리적 의미를 분석해서 이 개념이 의미 공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제시하
게 하여 응답자의 태도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 겉으로 볼 때 의미분화 척도는 응답자에게 두 가지의 반대되는 형용사의 관점에서 어떤
것을 질문하는 형태이다.
example ○○복지관에 대한 귀하의 이미지를 표시해 주세요.
항목 점수 항목
친절하다. 7 -- 6 -- 5 -- 4 -- 3 -- 2 -- 1 불친절하다.
꼭 필요하다. 7 -- 6 -- 5 -- 4 -- 3 -- 2 -- 1 불필요하다.
열심이다. 7 -- 6 -- 5 -- 4 -- 3 -- 2 -- 1 대충한다.
적극적이다. 7 -- 6 -- 5 -- 4 -- 3 -- 2 -- 1 소극적이다.
친근하다. 7 -- 6 -- 5 -- 4 -- 3 -- 2 -- 1 어렵다.
표준화된 척도를 사용 시의 장점
- 시간과 금전을 절약
- 이전 연구에서 해당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했던 모든 방법을 제시
표준화된 척도를 찾는 방법
- 문헌조사, 척도집 활용
표준화된 척도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점
- 척도의 길이를 고려
- 척도가 조사대상자가 완성하기 너무 어렵지 않은지 고려
- 시간에 따른 변화를 측정코자 할 경우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의 작은 변화에 민감한 척
도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고려
유의점
- 조사자가 연구하는 대상, 연구환경이 척도집에 수록된 척도를 원래 사용한 연구의 대상,
연구환경과 다를 경우에, 원래의 척도는 조사자의 연구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참고 문헌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0.08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0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