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IV q 2~4h to keep urine output 200~300ml/h
Central line 삽입을 고려하고, heart failure 또는 overload를 주의깊게 관찰
Mg, K의 소변으로 loss를 고려하여, Mg 15mg/h, K+ 10~30mEq/h투여.
Renal failure시에는 투석을 실시한다.
Other adjuncts : calcitonin, mithramycin, diphosphonates, galium, steroids등
Calcitonin : bone resorption을 억제한다.
Miacalcic 4 IU/kg IM q 12hrs
반응은 수 시간내로 빠르지만 효과는 크지 않다.
Hydrocortisone : Vit-D를 촉진시키고, lymphoid neoplastic tissue의 성장을 억제한다.
Solucortef 200~300mg IV #2~3
Pamidronate : biphosphonates 중 하나로 bone resorption의 강력한 억제제이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4~5일 걸린다. 90mg IV over 24hrs
EDTA at 10~50mg/kg IV over 4 hours 부작용을 우려해서 치명적으로 위험할 때만 사용한다.
<마그네슘(Magnesium)>
: 총 마그네슘의 1%만이 혈장내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혈장 level은 총 마그네슘 stere를 반영하지 못한다.
◎ 저마그네슘증(hypoMagneseumia(<1.5 mEq/L)
- 원인 : Drug, diarrher, alcohol abuse, DM, AMI, diuretics, aminoglycosides, Malnourished
- 증상 : Irritable, tetany, seizures, Digitalis toxicity
- 투여 방법
Mild(1.0~1.5mEq/L)
Severe(<1.0 mEq/L)
1 mEq/kg for first 24hrs
(about MgSO4 1g)
5mEq/kg for next 3~5days
MgSO4 2.0g IV for 2 min(it needed)
MgSO4 6.0g + N/S 1000cc for 24 hrs
in renal failure :below half-dose is recommended
◎ 고마그네슘증(hyperMagneseumia(>2.2 mEq/L)
- 원인 : renal failure, excess maternal Mg supplement, or overdose of Mgcontaining medicine
- 증상 : weakness, hyporeflexia, paralysis, and EKG with AV block and QT prolrngation
- hyperMagneseumia의 증상, 징후
Level(mEq/L)
증상, 징후
2.0~3.0
오심
3.0~4.0
졸림
4.0~8.0
DTR소실
8.0~12.0
호흡 억제
12.0~15.0
저혈압, 방실 차단
※ Magnesium sulfate 1g = 8mEq or 4mmol of elemental magnesium
※ H/S에 혼합할 시 calcium이 magnesium과 counteraction을 하므로 적당하지 않다.
※ 치료 : Ca -chloride(10%)20mg/kg IV
<인(Phosphorus)>
◎ HypoPhosphatemia
- 원인 : Hyperalimentation과 관계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응급실에서는 드물지만, alkalosis(resporatory, metabolic; intracellular shift), alcoholics(poor nutrition), complication(hyperparathyroidism, malignancy with hypercalcemia(phosphaturia),
renal tubular defect, phosphate binding antacid 사용)의 원인이다.
- 증상 : 보통 1mg/dl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없다. DKA등의 치료시 12~24시간이 지난후 이의 증 상이 나오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행하는 쇠약(weakness), 떨림(tremor), 구강주 위와 손가락 끝의 이상감각(paraesthesia), DTR의 감소 또는 소실, 의식의 둔화, 식욕부진, 과호흡 등이 발생. 심실의 기능도 감소
- 치료 : 증상이 위험해 보이지 않고 level만 떨어져 있으면 우유 1L를 먹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는 amphogel등의 경구용 phosphorus를 투여한다. 심한 증상과 level<1 mg/dl이하인 경우는 IV투여가 적응이 된다. 하루 용량은 2.5mg/kg(150mg/60kg)이며 만성적으로 떨어져 있는 경 우는 5mg/kg를 투여한다. N/S이나 sugar fluid에 혼합해서 6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IV하고, 다시 level를 검사한다. 총 투여량은 7.5mg/kg(450mg/60kg)이하로 한다. Hypercalcemia가 동반이 되어있는 경우는 약간 줄여서 투여한다.
- 치료시 합병증 : hypercalcemia, metastatic calcification, hypotension, hyperkalemia
(K salt가 같이 투여되는 경우)
◎ HyperPhosphatemia
- 원인 : 신장 배출의 감소, extracellular shift, phosphorus 또는 Vit.d섭취 증가, hypoparathyroidism, hypocalcemia, hypomagnesemia와 동반된 경우
- 증상 : 신부전, hypocalcemia, 또는 hypomagnesemia등의 증상을 보인다.
- 치료 : 원인 교정, calcium phosphate섭취를 200mg/day이하로 감소. 신기능이 정상시 hydration(1~2L/4~6hr). acetazolamide(500mg/6hr), phosphorus cinder(aluminium carbonate 또는 hydroxide 30~45ml qid), calcium IV(주의깊게 사용, 신부전이 있으 면 calcium carbonate가 choice), hemodialysis
Central line 삽입을 고려하고, heart failure 또는 overload를 주의깊게 관찰
Mg, K의 소변으로 loss를 고려하여, Mg 15mg/h, K+ 10~30mEq/h투여.
Renal failure시에는 투석을 실시한다.
Other adjuncts : calcitonin, mithramycin, diphosphonates, galium, steroids등
Calcitonin : bone resorption을 억제한다.
Miacalcic 4 IU/kg IM q 12hrs
반응은 수 시간내로 빠르지만 효과는 크지 않다.
Hydrocortisone : Vit-D를 촉진시키고, lymphoid neoplastic tissue의 성장을 억제한다.
Solucortef 200~300mg IV #2~3
Pamidronate : biphosphonates 중 하나로 bone resorption의 강력한 억제제이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4~5일 걸린다. 90mg IV over 24hrs
EDTA at 10~50mg/kg IV over 4 hours 부작용을 우려해서 치명적으로 위험할 때만 사용한다.
<마그네슘(Magnesium)>
: 총 마그네슘의 1%만이 혈장내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혈장 level은 총 마그네슘 stere를 반영하지 못한다.
◎ 저마그네슘증(hypoMagneseumia(<1.5 mEq/L)
- 원인 : Drug, diarrher, alcohol abuse, DM, AMI, diuretics, aminoglycosides, Malnourished
- 증상 : Irritable, tetany, seizures, Digitalis toxicity
- 투여 방법
Mild(1.0~1.5mEq/L)
Severe(<1.0 mEq/L)
1 mEq/kg for first 24hrs
(about MgSO4 1g)
5mEq/kg for next 3~5days
MgSO4 2.0g IV for 2 min(it needed)
MgSO4 6.0g + N/S 1000cc for 24 hrs
in renal failure :below half-dose is recommended
◎ 고마그네슘증(hyperMagneseumia(>2.2 mEq/L)
- 원인 : renal failure, excess maternal Mg supplement, or overdose of Mgcontaining medicine
- 증상 : weakness, hyporeflexia, paralysis, and EKG with AV block and QT prolrngation
- hyperMagneseumia의 증상, 징후
Level(mEq/L)
증상, 징후
2.0~3.0
오심
3.0~4.0
졸림
4.0~8.0
DTR소실
8.0~12.0
호흡 억제
12.0~15.0
저혈압, 방실 차단
※ Magnesium sulfate 1g = 8mEq or 4mmol of elemental magnesium
※ H/S에 혼합할 시 calcium이 magnesium과 counteraction을 하므로 적당하지 않다.
※ 치료 : Ca -chloride(10%)20mg/kg IV
<인(Phosphorus)>
◎ HypoPhosphatemia
- 원인 : Hyperalimentation과 관계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응급실에서는 드물지만, alkalosis(resporatory, metabolic; intracellular shift), alcoholics(poor nutrition), complication(hyperparathyroidism, malignancy with hypercalcemia(phosphaturia),
renal tubular defect, phosphate binding antacid 사용)의 원인이다.
- 증상 : 보통 1mg/dl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없다. DKA등의 치료시 12~24시간이 지난후 이의 증 상이 나오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행하는 쇠약(weakness), 떨림(tremor), 구강주 위와 손가락 끝의 이상감각(paraesthesia), DTR의 감소 또는 소실, 의식의 둔화, 식욕부진, 과호흡 등이 발생. 심실의 기능도 감소
- 치료 : 증상이 위험해 보이지 않고 level만 떨어져 있으면 우유 1L를 먹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는 amphogel등의 경구용 phosphorus를 투여한다. 심한 증상과 level<1 mg/dl이하인 경우는 IV투여가 적응이 된다. 하루 용량은 2.5mg/kg(150mg/60kg)이며 만성적으로 떨어져 있는 경 우는 5mg/kg를 투여한다. N/S이나 sugar fluid에 혼합해서 6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IV하고, 다시 level를 검사한다. 총 투여량은 7.5mg/kg(450mg/60kg)이하로 한다. Hypercalcemia가 동반이 되어있는 경우는 약간 줄여서 투여한다.
- 치료시 합병증 : hypercalcemia, metastatic calcification, hypotension, hyperkalemia
(K salt가 같이 투여되는 경우)
◎ HyperPhosphatemia
- 원인 : 신장 배출의 감소, extracellular shift, phosphorus 또는 Vit.d섭취 증가, hypoparathyroidism, hypocalcemia, hypomagnesemia와 동반된 경우
- 증상 : 신부전, hypocalcemia, 또는 hypomagnesemia등의 증상을 보인다.
- 치료 : 원인 교정, calcium phosphate섭취를 200mg/day이하로 감소. 신기능이 정상시 hydration(1~2L/4~6hr). acetazolamide(500mg/6hr), phosphorus cinder(aluminium carbonate 또는 hydroxide 30~45ml qid), calcium IV(주의깊게 사용, 신부전이 있으 면 calcium carbonate가 choice), hemodialys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