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작적 조건화와 학습

본문내용

장 기본적인 사항은 아이들 개개인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강화물을
찾아내는 일일 것이다.
일단 적절한 강화물이 선택되었다면 학습자가 바람직한 행동을 보였을 때 즉각적으로 제시한다. 강화물을 제시하는 시점과 바람직한 행동이 발생한 시점 간의 시간상 간격이 멀어질수록 학습자는 자신의 행동과 강화물 간의 수반성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
는다.
학습의 초기 단계에는 연속적으로 강화물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강화란 점차 그 횟수와 시간의 간격이 늘어나고 궁극적으로 더 이상 강화물
이 제시되지 않아도 학습자 스스로 행동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것이
다.
강화물의 사용 횟수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항상 기억하자. 모든 학생의 작문에 칭찬을 듬뿍 주거나 학생들이 말한 모든 일에 긍정적 강화물을 제공하는 교사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어린 아동에게는 효과적이나 보다 성숙한 학생의 경우에는 이러한 것들
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지나치게 의도적이거나 지나치게 과장된 강화는 오히려 역효
과를 유발할 수 있다.
바라는 행동의 증가를 원한다면 방해 요인을 제거하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바라는 행동의 증가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필요가 있다 . 즉, 벌이 아닌 강화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텔레비전을 시청하느라 공부할 시간이 없는 아이에게는 공부하는 행동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강화를 줌으로써 텔레비전 시청 대신에 공부를 하도록 해야 하며, 소란스러운 학생 또한
공부에 집중하는 행동에 대한 강화로써 소란스러운 행동의 기회를 제거해야 한다.
행동의 감소라는 벌의 정의를 기초로 생각하면 벌은 효과적이지만, 문제는 벌을 사용한 궁극적인 목적이 그 행동의 감소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교사나 부모가 벌을 사용한
궁극적인 이유는 공부하는 행동의 증가이기 때문이다. 방해 요인의 제거가 자동적으로 바
라는 행동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자.
참고문헌
아동발달론, 김영옥백혜리최미숙황윤세(2009). 공동체)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Page 187~197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09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2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