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능에 대한 전통적 관점 - 심리측정 이론
2) 지능에 대한 새로운 관점 -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지능 측정
2) 지능에 대한 새로운 관점 -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지능 측정
본문내용
것으로 평가.
한 가지 방법에만 의존하지 않는 두 종류의 검사법은 아동의 자질을 평가하는 데 좀 더 포괄적인 정보제공(Day et al., 1997)
.
3) 유전과 환경의 영향
: 유전은 지능점수의 발달적 양상에도 영향을 줌 - 이란성 쌍생아보다 일란성 쌍생아 간에 더 유사.
예) 일란성 쌍생아 중 한 명이 지능점수가 성장하면서 상승하면, 다른 쌍생아도 그렇게 됨. 이란성 쌍생아의 경우는 반드시 그렇지 않음.
예) 입양된 아동의 지능-청소년에 이르기까지 입양된 아동과 친부모간 지능점수의 상관계수는 입양된 부모와 의 상관계수보다 큼.
환경이 지능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 연구
① 가족환경에 대한 연구 지능점수가 높은 아동들은 대개 - 환경이 잘 조직되어 있고 장난감이 많은 가정 출신.
② 지능점수가 시대의 흐름과 함께 변화되고 있다는 연구
- 지난 25년 동안 WISC 점수가 10점 상승
유전으로는 급격한 변화 설명 불가능.
환경에 의한 결과로 간주-아동들에 많은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일 수도.
③ 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인 아동들에 대한 보상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 Head Start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가정의 유아들의 발달을 촉진하는 데 40년 이상을 기여해 옴.
배경 :
① 추정되는 것 이상으로 아동발달에 환경이 끼치는 영향이 크다는 주장 - 1960년대 초반 아동발달 연구가들.
② 정치적 변화 : 1964년 L.Johnson 대통령 ‘빈곤과의 전쟁’시작, 경제기회국이 추진 → 경제기회국장 Shriver아동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가 더 적절하다고 판단
→ 가난한 가정의 1학년 입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1964년 12월 의학, 사회복지, 교육학 및 심리학 전문가 위원들 14명과 회의-6주간에 걸쳐 유아들의 건강과 교육을 위한 총체적인 프로그램 구성
→ 1965년 5월 Johnson대통령이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의 시작을 발표, 그 해 여름에 50만 명의 유아들이 등록
→ 현재 가난한 가정 출신의 유아 수백만 명에게 프로그램을 제공.
4) 민족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효과
: 다양한 지능검사에 대한 결과는 각 민족마다 평균이 다름
- 아시아계 미국인이 제일 높은 평균, 유럽계 미국인, 히스패닉계 미국인,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순. → 이는 어느 정도 사회경제적 지위를 반영한 것이기도 함.
(1) 유전학의 역할
예) 옥수수 - 좋은 토양과 나쁜 토양 키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자라는 토양과 같은 환경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
(2) 검사 내용의 친숙성
: 민족 간 지능 점수의 차이는 검사 편견에 기인한 것이라는 주장 - 검사내용은 검사 개발자의 문화적 유산
을 반영, 주로 경제적으로 넉넉한 유럽계 미국인에게 친숙한 배경 및 문화반영.
→ 검사의 편견에 대한 문제는 문화적 편견이 제거된 지능검사(culture-fair intelligence tests)개발을 시도 Raven의 진행 행렬(Progressive Matrices) 검사
- 검사 결과 여전히 민족마다 차이 존재(Anastasi, 1988); 문항 내용에 대한 친숙성 자체가 집단 간 지능 점수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는 추론 가능
(3) 고정관념 위협
고정관념 위협(stereo-type threat) : 자기 예측 가설(self-fulfilling prophecy; 자신이 특정기술이 부족하다고 알려진 집단에 속해 있다고 의식하면, 그 분야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한 의식으로 실제 행동 시 제 실력을 맘껏 발휘하기 어려움)에 의하면 수행에 불안감을 느껴서 결과적으로 수행수준이 만족스럽지 않게 되는 것.
(4) 검사에 임하는 기술
: 검사 자체가 아동의 잠재력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
예)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출신의 아동들 - “잘 몰라요”라고 답하는 경우가 많으나 과외의 시간 허락되면 상당히 정확한 답을 하는 경향이 있음.
(5) 결론 : 검사 점수의 해석
: 검사란 특정 문화 맥락에 대한 적응도를 평가하는 것. 대개의 지능검사는 학교라는 맥락에서의성공정도를 평가, 이는 중류계층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
3. 특수아동 및 그들의 요구
1) 영재아(gifted) 및 창의적인 아동
: 지능이 130 이상 되는 아동들을 지칭
전통적으로 영재성은 지능 점수로 정의, 대개 학업성취와 관련이 큼.
현대적 정의는 좀 더 넓은 의미로 정의-음악, 미술, 글쓰기 및 춤과 같은 분야에서 특별한 능력을 보이는 아동도 영재아로 간주
특별한 재능이 갖는 특징(Rathunde & Csikszentmihalyi, 1993).
- 특정영역에 대하여 비상한 관심을 갖고 이를 완전 정복하고자 하는 의욕이 큼
- 특정분야에 대한 재능개발은 어린 시절 헌신적이며 재능 있는 교사와 함께 시작
- 자녀의 재능을 개발시키기 위해 부모는 상당히 헌신적
⇒ 재능은 반드시 개발되어야 함. 부모의 지원과 격려가 없거나 적절한 자극과 도전하는 교사가 없으면 아동의 재능은 사그라짐. 영재아는 자신의 능력에 도전하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자신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공유하는 또래 필요.
고정 관념 - 영재아는 정서적으로 미숙하고 또래와 잘 지내지 못 한다 실제로 영재아는 또래보다 성숙한 경향이 있으며 정서적 문제도 더 적음.
(1) 창의성
예) 18세기 유럽의 유명한 작곡가 Mozart와 Salieri
l지능은 지식의 특정 표준을 제공하거나 정답을 찾는 데에 사용하는 지적 능력인 합류적 사고(convergentthinking)가 강한 반면, 창의성은 한 가지 정답에 관한 것이 아니라 새롭고 특이한 사고 특징을 나타내는 발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와 관계가 있음(Callahan, 2000).
참고문헌
아동발달론, 김영옥백혜리최미숙황윤세(2009). 공동체)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Page 187~197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한 가지 방법에만 의존하지 않는 두 종류의 검사법은 아동의 자질을 평가하는 데 좀 더 포괄적인 정보제공(Day et al., 1997)
.
3) 유전과 환경의 영향
: 유전은 지능점수의 발달적 양상에도 영향을 줌 - 이란성 쌍생아보다 일란성 쌍생아 간에 더 유사.
예) 일란성 쌍생아 중 한 명이 지능점수가 성장하면서 상승하면, 다른 쌍생아도 그렇게 됨. 이란성 쌍생아의 경우는 반드시 그렇지 않음.
예) 입양된 아동의 지능-청소년에 이르기까지 입양된 아동과 친부모간 지능점수의 상관계수는 입양된 부모와 의 상관계수보다 큼.
환경이 지능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 연구
① 가족환경에 대한 연구 지능점수가 높은 아동들은 대개 - 환경이 잘 조직되어 있고 장난감이 많은 가정 출신.
② 지능점수가 시대의 흐름과 함께 변화되고 있다는 연구
- 지난 25년 동안 WISC 점수가 10점 상승
유전으로는 급격한 변화 설명 불가능.
환경에 의한 결과로 간주-아동들에 많은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일 수도.
③ 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인 아동들에 대한 보상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 Head Start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가정의 유아들의 발달을 촉진하는 데 40년 이상을 기여해 옴.
배경 :
① 추정되는 것 이상으로 아동발달에 환경이 끼치는 영향이 크다는 주장 - 1960년대 초반 아동발달 연구가들.
② 정치적 변화 : 1964년 L.Johnson 대통령 ‘빈곤과의 전쟁’시작, 경제기회국이 추진 → 경제기회국장 Shriver아동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가 더 적절하다고 판단
→ 가난한 가정의 1학년 입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1964년 12월 의학, 사회복지, 교육학 및 심리학 전문가 위원들 14명과 회의-6주간에 걸쳐 유아들의 건강과 교육을 위한 총체적인 프로그램 구성
→ 1965년 5월 Johnson대통령이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의 시작을 발표, 그 해 여름에 50만 명의 유아들이 등록
→ 현재 가난한 가정 출신의 유아 수백만 명에게 프로그램을 제공.
4) 민족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효과
: 다양한 지능검사에 대한 결과는 각 민족마다 평균이 다름
- 아시아계 미국인이 제일 높은 평균, 유럽계 미국인, 히스패닉계 미국인,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순. → 이는 어느 정도 사회경제적 지위를 반영한 것이기도 함.
(1) 유전학의 역할
예) 옥수수 - 좋은 토양과 나쁜 토양 키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자라는 토양과 같은 환경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
(2) 검사 내용의 친숙성
: 민족 간 지능 점수의 차이는 검사 편견에 기인한 것이라는 주장 - 검사내용은 검사 개발자의 문화적 유산
을 반영, 주로 경제적으로 넉넉한 유럽계 미국인에게 친숙한 배경 및 문화반영.
→ 검사의 편견에 대한 문제는 문화적 편견이 제거된 지능검사(culture-fair intelligence tests)개발을 시도 Raven의 진행 행렬(Progressive Matrices) 검사
- 검사 결과 여전히 민족마다 차이 존재(Anastasi, 1988); 문항 내용에 대한 친숙성 자체가 집단 간 지능 점수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는 추론 가능
(3) 고정관념 위협
고정관념 위협(stereo-type threat) : 자기 예측 가설(self-fulfilling prophecy; 자신이 특정기술이 부족하다고 알려진 집단에 속해 있다고 의식하면, 그 분야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한 의식으로 실제 행동 시 제 실력을 맘껏 발휘하기 어려움)에 의하면 수행에 불안감을 느껴서 결과적으로 수행수준이 만족스럽지 않게 되는 것.
(4) 검사에 임하는 기술
: 검사 자체가 아동의 잠재력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
예)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출신의 아동들 - “잘 몰라요”라고 답하는 경우가 많으나 과외의 시간 허락되면 상당히 정확한 답을 하는 경향이 있음.
(5) 결론 : 검사 점수의 해석
: 검사란 특정 문화 맥락에 대한 적응도를 평가하는 것. 대개의 지능검사는 학교라는 맥락에서의성공정도를 평가, 이는 중류계층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
3. 특수아동 및 그들의 요구
1) 영재아(gifted) 및 창의적인 아동
: 지능이 130 이상 되는 아동들을 지칭
전통적으로 영재성은 지능 점수로 정의, 대개 학업성취와 관련이 큼.
현대적 정의는 좀 더 넓은 의미로 정의-음악, 미술, 글쓰기 및 춤과 같은 분야에서 특별한 능력을 보이는 아동도 영재아로 간주
특별한 재능이 갖는 특징(Rathunde & Csikszentmihalyi, 1993).
- 특정영역에 대하여 비상한 관심을 갖고 이를 완전 정복하고자 하는 의욕이 큼
- 특정분야에 대한 재능개발은 어린 시절 헌신적이며 재능 있는 교사와 함께 시작
- 자녀의 재능을 개발시키기 위해 부모는 상당히 헌신적
⇒ 재능은 반드시 개발되어야 함. 부모의 지원과 격려가 없거나 적절한 자극과 도전하는 교사가 없으면 아동의 재능은 사그라짐. 영재아는 자신의 능력에 도전하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자신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공유하는 또래 필요.
고정 관념 - 영재아는 정서적으로 미숙하고 또래와 잘 지내지 못 한다 실제로 영재아는 또래보다 성숙한 경향이 있으며 정서적 문제도 더 적음.
(1) 창의성
예) 18세기 유럽의 유명한 작곡가 Mozart와 Salieri
l지능은 지식의 특정 표준을 제공하거나 정답을 찾는 데에 사용하는 지적 능력인 합류적 사고(convergentthinking)가 강한 반면, 창의성은 한 가지 정답에 관한 것이 아니라 새롭고 특이한 사고 특징을 나타내는 발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와 관계가 있음(Callahan, 2000).
참고문헌
아동발달론, 김영옥백혜리최미숙황윤세(2009). 공동체)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Page 187~197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추천자료
[아동발달 A형(A+완성형)]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의 비교 및 두 이론의 시사점 및...
교실수업 연구의 동향 (수업연구)
(A+) 아동발달이론 중 하나의 이론을 택하여 논하시오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A+) 아동발달이론 중 하나의 이론을 택하여 논하시오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노화][노화와 유전][노화와 치매][노화와 텔로미어][노화와 성욕구]노화의 원인, 노화의 이...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와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
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비교분석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론에 대해서 설명하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3가지 이론의 종합 ...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교사 효능감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국내 문헌 연구 주제별 분석,국내외 문헌 관련 변...
[루돌프 슈타이너 (Rudolf Steiner)] 슈타이너의 생애와 슈타이너의 인지학, 유아교육, 현대...
피아제(Piaget)와 비고스키(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이론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