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여성과 남성
제2절 성고정관념과 성역할 사회화
제3절 여성과 직업
참고문헌
제2절 성고정관념과 성역할 사회화
제3절 여성과 직업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르면 1975년에서 1993년 사이에 남성의 취업은 77.4%에서 75.8%로 감소한데 반해 같은 기간 동안 여성의 취업은 40.4%에서 47.2%로 증가했습니다.(한국여성개발원. 1995)
⑵ 여성 취업의 특수성 : 여성취업의 팽창은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한국 여성의 취업은 임신, 출산 시기에 극적인 감소를 보이고 그 앞뒤시기에 정점을 이루는 M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여성의 기본 의무로 규정지어진 아이 출산과 양육이 사회 참여라는 또 다른 선택과 상충되면서 갈등을 빚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둘째, 여성의 취업증가와 상관없이 여성의 임금은 남성보다 상당히 낮다는 점입니다. 여성의 평균 임금은 남성 평균임금의 56.8%에 머무르며 이러한 격차는 특히 비전문직의 경우에서 더욱 심하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끝으로 취업여성이 가진 가사에 대한 부담입니다. 맞벌이 부부의 가정에서 가사일에 대한 책임은 한결같이 부인이 보다 많이 지게 되며, 아내의 취업 여부는 남편이 가사 일에 소비하는 시간의 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고합니다. (Pleck. 1985)
2. 취업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⑴ 여성 취업의 단점 : 인간의 에너지는 한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개인이 감당해야 할 일들이 늘어나면 그것은 스트레스나 역할 갈등, 역할 과부하 등의 부작용을 가져옵니다. 이 가설을 결핍가설이라고 하며, 여성들은 사회활동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으며, 전통적인 가정의 온화하고 성스러운 영역에 대한 역할도 해야하는 고통을 겪게 됩니다.
초의수(1994)는 취업여성이 취업남성에 비해 낮은 심리적 지위와 역할 갈등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그에 따르면, 한 개인은 크게 두 가지의 과정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또는 법률적 지위를 갖게 되는데 하나는 직업을 가짐으로써 독립적 지위를 갖게 되는 경우고 다른 하나는 배우자의 사회적 지위에 의해 파생적 지위를 얻게 되는 경우입니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후자에 속하는데 취업여성들은 이중의 서열 시스템 속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⑵ 여성 취업의 장점 : 한 개인에게 부과된 많은 역할들은 개인의 자존심주체성사회적 지위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인간의 에너지 자원을 오히려 증가시킨다고 설명합니다. 우리 나라의 연구 중에서도 이러한 역할증대 입장을 지지하며, 취업이란 여성들에게 유익한 효과를 가져다준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취업비취업 주부들을 비교한 장재정(1987)은 비취업주부에 비해 취업주부들은 강박적 사고에 덜 시달리고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남유리(1989)는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가 그들의 인생에서 느끼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에 대해 비교한 결과, 비취업 주부들은 취업주부와 비교하여 60개 중 47개의 항목에 대해 보다 높은 정도의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습니다. 이는 특히 경제적인 부분에 대해 두드러짐을 밝혔습니다.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김득란.유효순.이영애.홍순정, 「인간과심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홍순정, 「지능과 창의성」, 양서원, 1999.
⑵ 여성 취업의 특수성 : 여성취업의 팽창은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한국 여성의 취업은 임신, 출산 시기에 극적인 감소를 보이고 그 앞뒤시기에 정점을 이루는 M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여성의 기본 의무로 규정지어진 아이 출산과 양육이 사회 참여라는 또 다른 선택과 상충되면서 갈등을 빚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둘째, 여성의 취업증가와 상관없이 여성의 임금은 남성보다 상당히 낮다는 점입니다. 여성의 평균 임금은 남성 평균임금의 56.8%에 머무르며 이러한 격차는 특히 비전문직의 경우에서 더욱 심하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끝으로 취업여성이 가진 가사에 대한 부담입니다. 맞벌이 부부의 가정에서 가사일에 대한 책임은 한결같이 부인이 보다 많이 지게 되며, 아내의 취업 여부는 남편이 가사 일에 소비하는 시간의 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고합니다. (Pleck. 1985)
2. 취업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⑴ 여성 취업의 단점 : 인간의 에너지는 한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개인이 감당해야 할 일들이 늘어나면 그것은 스트레스나 역할 갈등, 역할 과부하 등의 부작용을 가져옵니다. 이 가설을 결핍가설이라고 하며, 여성들은 사회활동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으며, 전통적인 가정의 온화하고 성스러운 영역에 대한 역할도 해야하는 고통을 겪게 됩니다.
초의수(1994)는 취업여성이 취업남성에 비해 낮은 심리적 지위와 역할 갈등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그에 따르면, 한 개인은 크게 두 가지의 과정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또는 법률적 지위를 갖게 되는데 하나는 직업을 가짐으로써 독립적 지위를 갖게 되는 경우고 다른 하나는 배우자의 사회적 지위에 의해 파생적 지위를 얻게 되는 경우입니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후자에 속하는데 취업여성들은 이중의 서열 시스템 속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⑵ 여성 취업의 장점 : 한 개인에게 부과된 많은 역할들은 개인의 자존심주체성사회적 지위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인간의 에너지 자원을 오히려 증가시킨다고 설명합니다. 우리 나라의 연구 중에서도 이러한 역할증대 입장을 지지하며, 취업이란 여성들에게 유익한 효과를 가져다준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취업비취업 주부들을 비교한 장재정(1987)은 비취업주부에 비해 취업주부들은 강박적 사고에 덜 시달리고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남유리(1989)는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가 그들의 인생에서 느끼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에 대해 비교한 결과, 비취업 주부들은 취업주부와 비교하여 60개 중 47개의 항목에 대해 보다 높은 정도의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습니다. 이는 특히 경제적인 부분에 대해 두드러짐을 밝혔습니다.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김득란.유효순.이영애.홍순정, 「인간과심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홍순정, 「지능과 창의성」, 양서원,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