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둔 자신의 이야기를 함으로써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되찾은 느낌이었다. 이렇게 쉽게 해결될 문제를 혼자 속으로 앓고 있었다고 생각하니 정말이지 안타까웠다. 민정이가 한 번 더 동생과 얘기를 할 때는 둘 사이의 오해와 갈등을 말끔히 해결해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처음으로 하는 상담이라 미흡하고, 상대방에 대해 어떻게 맞춰 줘야 할까, 평정심을 유지하고, 하고 싶은 얘기가 많았지만, 얘기를 들어주자는 처음 의지대로 행동하기가 힘들었지만 지금에 경험을 살려서 다음 상담에서는 더 제대로 된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 도한 이웃 엄마에게 딸과 친구처럼 많은 대화를 나누고, 딸의 고민만 들어주는것이 아니라, 어마의 작은 고민도 딸에게 말하게 된다면, 딸과 엄마는 좋은 친구처럼 지낼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사회구성주의적 가족상담접근중 해결중심가족상담
[상담기술]굿윌헌팅에 나타난 상담자의 자세
상담의 세 가지 접근(정신분석적 접근, 인간중심적 접근, 인지행동적 상담)을 비교분석하기(1...
상담의 개념과 목적 및 상담과정의 특징
[노인상담] 노인상담의 개념과 특성, 필요성, 영역, 목적, 종류, 과정, 기술
청소년 개별상담의 정의적 접근 중 인간중심 상담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 - 상담 기술 (상담의 공통적 기술, 상담면접...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약물남용 청소년과의 개별상담 - 개별상담의 중요성과 개별상담의 구조...
정신건강론 - 심리치료의 통합적 접근(통합 심리치료의 공통요인과 특수요인, 상담에서의 정...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상담과 면접의 기법 면접 &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사회복지 상담의...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상담 및 치료 사례에 대한 국내 학술지를 찾아보고 그 중 관심있는 ...
상담과정에서 가족상담자의 기본 자세중 하나인 공감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가족상담 계획 세우기(가족상담의 개입 계획과정 효과적인 가족상담 개입을 위한 지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