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고 있다. 2010년 현재 시·군·구 내 저소득 아동 300명 이상 거주하는 빈곤아동 밀집지역에 설치하여 전국 94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사업총괄)
사업지원단(프로그램개발, 교육, 기획, 연구개발, 평가, 홍보, 전산시스템 총괄지원)
시 도(지역선정/운영점검)드림스타트 운영위원회(지역사회 파트너십 공간활용)
드림스타트 전담팀(시·군·구/사업수행)
사업참여기관
프로그램 참여기관
지역 내 업무파트너십 유지
예) 보육시설, 지역아동센터 학교,
공공생활가정 등(서비스 수혜기관)
사업수행기관
협약을 통해 업무수행
사례관리팀 역할수행
예) 보육시설, 초등학교
사회복지관
보건소/정신보건센터 등
사업협력기관
후원, 홍보, 무상지원 등 지역
사회 조직 네트워크
예) 지역 의료기관, 기업 자원
봉사단체, 학원 등
드림스타트 사업 운영체계
(2) 연계 서비스
드림스타트 사업의 주요 연계서비스에는 건강서비스, 보육서비스, 복지서비스, 가족 및 통합지원서비스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건강서비스는 취약계층 아동의 신체, 정서적 건강발달 증진을 위한 서비스이며, 보육서비스는 예방, 맞춤, 통합형 아동서비스를 지향하며 수요자 중심의 지역보육, 교육 안전망을 구축한다. 또한 아동양육과 관련된 실제적인 정보 및 훈련 제공을 통한 부모의 역량강화를 제공한다.
복지서비스는 취약계층 아동과 가족의 생활안정, 삶의 질 개선, 빈곤 대물림 차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족 및 통합지원 서비스는 맞춤형 아동 및 가족방문으로 전문상담원이 1:1 가정방문 지원, 부모의 자긍심 강화 및 양육기술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건복지부(사업총괄)
사업지원단(프로그램개발, 교육, 기획, 연구개발, 평가, 홍보, 전산시스템 총괄지원)
시 도(지역선정/운영점검)드림스타트 운영위원회(지역사회 파트너십 공간활용)
드림스타트 전담팀(시·군·구/사업수행)
사업참여기관
프로그램 참여기관
지역 내 업무파트너십 유지
예) 보육시설, 지역아동센터 학교,
공공생활가정 등(서비스 수혜기관)
사업수행기관
협약을 통해 업무수행
사례관리팀 역할수행
예) 보육시설, 초등학교
사회복지관
보건소/정신보건센터 등
사업협력기관
후원, 홍보, 무상지원 등 지역
사회 조직 네트워크
예) 지역 의료기관, 기업 자원
봉사단체, 학원 등
드림스타트 사업 운영체계
(2) 연계 서비스
드림스타트 사업의 주요 연계서비스에는 건강서비스, 보육서비스, 복지서비스, 가족 및 통합지원서비스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건강서비스는 취약계층 아동의 신체, 정서적 건강발달 증진을 위한 서비스이며, 보육서비스는 예방, 맞춤, 통합형 아동서비스를 지향하며 수요자 중심의 지역보육, 교육 안전망을 구축한다. 또한 아동양육과 관련된 실제적인 정보 및 훈련 제공을 통한 부모의 역량강화를 제공한다.
복지서비스는 취약계층 아동과 가족의 생활안정, 삶의 질 개선, 빈곤 대물림 차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족 및 통합지원 서비스는 맞춤형 아동 및 가족방문으로 전문상담원이 1:1 가정방문 지원, 부모의 자긍심 강화 및 양육기술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