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비스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글 서비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기업소개
Ⅲ. 구글의 서비스
Ⅳ. 구글의 7P 분석
Ⅴ. 구글의 성공요인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본문내용

담기 위해 구글은 끊임없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8) 정보의 필요성에는 국경이 없다.
구글의 인터페이스는 100개 이상의 언어로 볼 수 있고 검색결과는 35개 이상의 언어로 제공된다. 구글은 미국계 기업이지만 미국에 한정되지 않고 세계로 영역을 확대하며 전세계 모든이들에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익을 늘리고 있다.
9) 정장을 입지 않아도 업무를 훌륭히 수행할 수 있다.
앞서 구글의 성공요인을 인재경영이라고 밝혔듯이 구글은 직원 중심의 기업문화를 자랑한다. 구글의 사무실에는 벽이 없어 자유롭게 대화가 오가고 몇 시간씩 진행해야 될 회의도 점심시간에 대화로 해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직원 개개인의 동기요소를 자극해서 회사전체의 성공으로 이끄는 구글은 생산성의 증대와 함께 혁신적인 서비스를 만들어 낸다.
10) 위대하다는 것에 만족할 수 없다.
구글은 최고로 평가받는 지금도 현재의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 이용자가 처하게 될 문제상황을 예측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갖은 노력을 기울인다. 맞춤법 검사기능, 세 번씩 눌러야 했던 핸드폰 전화번호부 검색기능을 한 번으로 단축하는 등의 서비스는 모두 구글의 이러한 사고에서 시작되었다.
이처럼 구글은 인재경영과 이용자중심의 경영철학으로 직원들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내고 합리적인 동기부여를 통해 최상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었고 최고가 될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구글은 이용자가 편한, 이용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이용자가 믿을 수 있는 서비스를 바탕으로 지금의 성공을 이끌어 냈다. 그러한 결과가 있기까지는 이용자중심의 경영철학과 그런 서비스를 개발하는 직원들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한 인재경영이 뒤따르고 있었다.
그러나 전세계 모든 이들의 시작페이지인 구글도 한국에서는 유독 참패를 거듭하고 있다. 구글은 현재 158개 진출국 대부분의 시장 점유율을 50%이상 차지하고 있는 반면 한국, 중국, 일본 아시아 지역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일본과 중국은 3년이 지나고서 서서히 증가하더니 지금의 30%대까지 성장했다. 한국 시장에서도 구글은 그 동안 인터뷰를 통해 국내시장의 진입도 3년이면 충분할 것이라 자신해왔지만 3년이 지난 지금 구글의 국내PC 검색시장 점유율은 고작 2%에 불과하다. 구글의 성공신화도 여기에 그치게 되는 것일까?
사실 지난 3년 동안 구글은 한국 시장에서 이용자를 중심으로한 양질의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해왔지만 그때마다 번번히 국내업체들은 비슷한 서비스를 내놓으며 방어에 성공했다. 구글이 야심차게 준비했던 웹 오피스도 네이버가 비슷한 기능을 내놓으며 빛을 보지 못했고, 구글의 웹지도 또한 픽셀 당 0.5m인 다음지도보다 못한 픽셀 당 1m의 기능을 선보이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같은 시기 출시된 전문지식 플랫폼 ‘Knol’또한 네이버 지식in에 막혀 시장 안착이 쉽지 않다. 이처럼 비슷한 서비스의 출시는 사용자 충성도가 막대한 국내업체의 벽을 무너뜨리기에 쉽지 않다.
그렇다면 구글이 가야 할 방향은 어떤 것일까? 구글의 장점은 방대한 자료와 검색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 빠르고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검색결과이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이용자들의 요구를 더 면밀히 분석해야 할 것이다. 또한 네이버와 다음의 카페나 네이트의 클럽처럼 국내 이용자들은 함께 어울려 좋아하는 것을 공유하고 토론하길 원한다. 구글이 한국에서의 성공을 위해서는 이들을 위협할 만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단 기존의 커뮤니티와는 다른 구글만의 독창적인 시스템이 있어야 이용자들을 유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국내 대부분의 업체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문화 컨텐츠에 있어서도 구글은 다소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영화제목만 치면 상영시기, 극장정보, 관람등급, 평점 등 주요 영화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국내포털의 서비스에 비해 구글은 아직 많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구글의 한국시장 안착에 부정적인 면만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안드로이드의 성공적인 진입으로 구글의 이용 또한 증가하게 된 것은 상당히 호전적인 미래를 예측 가능케 한다. 국내시장에서는 2%에 불과한 이용률이 모바일에서는 20%로 무려 10배의 놀라운 결과를 보였다. 이는 모바일 환경 특성상 구글의 장점인 빠른 서비스를 사람들이 얼마나 선호하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구글은 이러한 모바일환경에서의 선전을 PC에서도 그대로 옮겨 사람들이 이용할 수 밖에 없는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출처
도서
강병준 (2007) “구글 VS 네이버 :검색대전쟁”
김희영 (2006) “대한민국 UCC 트랜드”
존 바텔 (2005) “구글 스토리”
버나드저라드 (2010) “구글은 일하는 방식이 다르다”
D.A 바이스 (2006) “구글 성공 신화의 비밀”
논문
강웅 (2005)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핵심 서비스 및 성공전략 연구", 건국대 정보통신 대학원
오정연 (2006) "E-비즈니스 성공 사례" 한국전산원
박지연 (2005)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관성이 사용 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국내 3대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정보과학 대학원
권기덕 (2006)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와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보도자료
구글 “이용자 사생활 보호 강화”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010270024
구글 안드로이드 앱, 10만개 돌파해 ’탄탄한 성장세’
http://news.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130934
SK텔레콤 사장 정만원, ‘3년 내 애플·구글 뛰어넘겠다’
http://isplus.joinsmsn.com/article/085/4577085.html?cloc=
구글 무인자동차 등장...시험운행 성공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3001&idxno=365061
홈페이지
구글홈페이지 http://www.google.co.kr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