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실험배경
-실험목적
2.실험방법
-실험물질
-실험장치
-실험순서
3.실험결과
4.고찰
5.결론
6.참고문헌
-실험배경
-실험목적
2.실험방법
-실험물질
-실험장치
-실험순서
3.실험결과
4.고찰
5.결론
6.참고문헌
본문내용
많지 않았다. 맨 처음에 한 것은 크로멜선과 알루멜선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
토치를통해 가열하여 두 선을 결합하는 것이었다. 조교님이 손쉽게 해내는 것을 보고
쉽겠구나 그렇게 생각을 했었는데 막상 내 차례가 되어 내가 손수 해보게 되니 쉽게 붙지
않아 애를 먹은 기억이 있다. 결과적으로 크로멜과 알루멜선을 결합하였고 이것을 서머미터
라는 기구에 꽂아 실험 준비를 다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K-Type 열전대 인 것이다.
황의 녹는점을 알아내기 위한 실험을 하기에 앞서 얼음의 녹는점을 먼저 측정하였다. 하지만 이론값과 다른 값이 측정되었는데 그 오차가 일어난 이유를 생각해보았는데 그 이유는
얼음이 아닌 얼음물 이였기에 오차가난 것으로 생각이 든다. 얼음의 실제 녹는점을 측정한 후 본 실험 황의 녹는점(융점)을 측정하게 되었다.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가열기를 준비하였고 예열 200℃로 하여 가열을 하였다. 그 가열기에 황을 올린 후 서머미터를 넣어 손수 측정하였고 30초에 한 번씩 온도를 측정하였다. 황이 녹는 시점을 찾았더니 68.1℃에서
녹기 시작하는 것을 보았고 계속 가열하였더니 일정해지는 구간에 닿게 되었다. 실험 중에
온도가 올라가다가 내려간 적이 있는데 오차이유를 생각해보면 사람인지라 손이 흔들리기도 했고 비커 옆에 황가루를 밑으로 끌어내리다가 내려가기도 했다.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많은 자료를 검색하면서 알게 된 것도 많았다. 우리가 만든 열전대와
일반적으로 만들어져 나오는 열전대는 오차가 조금 나는 편이였다. 이유를 생각해보았는데
만드는 과정에 있어 불순물들과의 접촉과 토치의 온도조절실패 등등으로 생각이 된다.
1학년 때도 실험과목을 수강한 적이 있고 리포트도 작성을 해보았지만 이렇게 열심히 한 적은 드물었던 것 같다. 많은 것을 배워가는 거 같다. K-Type 열전대를 공부하는 동시에
다른 종류의 열전대도 검색해보게 되었고 지식이 더욱더 풍부해진 것 같다.
간단해보이고 , 쉬운 실험 이였지만 꼭 필요한 실험이였던 것 같다.
5.결론
K-Type 열전대를 이론적인 지식을 토대로 하여 제작하여보고 기본 원리를 파악하게 되었다. 또 황의 녹는점(융점)을 실험을 통해 이론값이 아닌 실제 값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쓰이는 열전대와 내가 직접 만든 열전대는 오차를 가지고 있었다.
6.참고문헌
네이버 지식인,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형원중, <가스안전 - 열전대>
토치를통해 가열하여 두 선을 결합하는 것이었다. 조교님이 손쉽게 해내는 것을 보고
쉽겠구나 그렇게 생각을 했었는데 막상 내 차례가 되어 내가 손수 해보게 되니 쉽게 붙지
않아 애를 먹은 기억이 있다. 결과적으로 크로멜과 알루멜선을 결합하였고 이것을 서머미터
라는 기구에 꽂아 실험 준비를 다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K-Type 열전대 인 것이다.
황의 녹는점을 알아내기 위한 실험을 하기에 앞서 얼음의 녹는점을 먼저 측정하였다. 하지만 이론값과 다른 값이 측정되었는데 그 오차가 일어난 이유를 생각해보았는데 그 이유는
얼음이 아닌 얼음물 이였기에 오차가난 것으로 생각이 든다. 얼음의 실제 녹는점을 측정한 후 본 실험 황의 녹는점(융점)을 측정하게 되었다.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가열기를 준비하였고 예열 200℃로 하여 가열을 하였다. 그 가열기에 황을 올린 후 서머미터를 넣어 손수 측정하였고 30초에 한 번씩 온도를 측정하였다. 황이 녹는 시점을 찾았더니 68.1℃에서
녹기 시작하는 것을 보았고 계속 가열하였더니 일정해지는 구간에 닿게 되었다. 실험 중에
온도가 올라가다가 내려간 적이 있는데 오차이유를 생각해보면 사람인지라 손이 흔들리기도 했고 비커 옆에 황가루를 밑으로 끌어내리다가 내려가기도 했다.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많은 자료를 검색하면서 알게 된 것도 많았다. 우리가 만든 열전대와
일반적으로 만들어져 나오는 열전대는 오차가 조금 나는 편이였다. 이유를 생각해보았는데
만드는 과정에 있어 불순물들과의 접촉과 토치의 온도조절실패 등등으로 생각이 된다.
1학년 때도 실험과목을 수강한 적이 있고 리포트도 작성을 해보았지만 이렇게 열심히 한 적은 드물었던 것 같다. 많은 것을 배워가는 거 같다. K-Type 열전대를 공부하는 동시에
다른 종류의 열전대도 검색해보게 되었고 지식이 더욱더 풍부해진 것 같다.
간단해보이고 , 쉬운 실험 이였지만 꼭 필요한 실험이였던 것 같다.
5.결론
K-Type 열전대를 이론적인 지식을 토대로 하여 제작하여보고 기본 원리를 파악하게 되었다. 또 황의 녹는점(융점)을 실험을 통해 이론값이 아닌 실제 값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쓰이는 열전대와 내가 직접 만든 열전대는 오차를 가지고 있었다.
6.참고문헌
네이버 지식인,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형원중, <가스안전 - 열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