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호흡기 응급상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호흡부전 (Respiratory failure)
 1) 진단평가
 2) 치료관리
 3) 간호

2.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1) 소생술 과정

3. 기도폐쇄 (Airway obstruction)
 1) 영아
 2) 아동

본문내용

투여는 지속적으로 유지
- 약물의 양은 8시간마다 한번씩 점검되어야 한다.
3. 기도폐쇄 (Airway obstruction)
- 아동이 이물질을 흡인하였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고 증거 확보
- 의식이 없거나 호흡이 없는 아동의 기도는 처치를 시행하여 정상적으로 개방하였더라도 항상 폐쇄되어있다는 사실을 고려
- 질식이 발생했을 때는 가능한 세게 기침을 계속 하도록 하고 효과가 없을 경우 의학적 처 치를 실시
1) 영아
- 등치기와 흉부압박
(1)머리를 몸통보다 낮추고 얼굴을 밑으로 향하게 하여 구조자의 팔 위에 놓아 지지
(2)구조자의 손바닥 끝으로 영아의 견갑골 사이를 힘주어 5회 정도 내리친다.
(3)구조자가 머리를 몸통보다 낮춘 자세로 지지하면서 영아를 돌려서 구조자의 넓적다리에 앙와위로 눕힌 후 흉부압박법과 같은 방법으로 아동의 가슴 밀어내기를 빠르게 5회 시행
- 등치기와 흉부압박은 이물질이 제거되거나 아동의 의식이 되돌아올 때 까지는 계속되어야 한다.
2) 아동
- 하임리히 수기: 횡경막 하부의 복부를 압박하는 방법으로 1세 이상 아동에게 권장
공기를 밀어내어 인위적인 기침을 유발하여 이물질을 기도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
- 의식이 있는 질식아동은 늑골 바로 밑에서 주먹 쥔 손으로 상복부를 향해 위쪽으로 압박 을 가하는 것
- 내부 장기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구조자의 손이 흉골의 검상돌기나 하부 늑골 가장자리 를 건드려서는 안된다.
- 이물질이 배출될 때까지 빠르게 밀어내기를 5회 반복해서 시행한다.
- 아동은 기도폐쇄가 완화된 후에 구토하게 될 것이므로 흡인을 예방할 수 있는 자세를 취 해주어야 한다.
- 호흡이 회복된 후에 아동은 의학적인 처치를 받아야 하며 합병증에 대한 사정을 받아야 한다.
- 만약 아동이 응급중재 후 스스로 호흡하게 된다면 회복자세를 취해주어야 한다.
머리와 어깨를 움직여 몸을 옆으로 누이고 다리는 구부려 무릎이 앞으로 지지되게 하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만약 외상의 의심되면 함부로 몸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인공호흡 및 심폐소생술이 필요 할 때는 회복자세를 삼가도록 한다.
* 참고문헌
김영혜 외(2012),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전국 응급 구조과 교수 협의회, 기본외상소생술, 군자출판사
*참고사이트
대한 응급 구조사 협회 충남지회 http://www.emtlife.or.kr/
목차
1. 호흡부전
2. 심폐소생술
3. 기도폐쇄
*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30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