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메르스
2.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3. 신종인플루엔자
4. 인플루엔자
-참고문헌
2.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3. 신종인플루엔자
4. 인플루엔자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전파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증상과 인두통, 기침,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이며 드물게 복통, 구토, 경련 등이 발생
5) 감염경로
호흡기 비말(droplet) : 급성 인플루엔자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
공기감염 : 폐쇄 공간 내의 밀집된 집단 내 발생
접촉감염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이나 환경을 만진 후 눈이나 코, 입 등을 만지는 경우
동물에서 인간으로의 감염 : 흔하지 않으나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에 직접 닿거나 간접적으로 인간이 접촉했을 때 감염될 수 있음
6) 진단
임상적 진단 : 지역사회에 인플루엔자가 유행하는 동안 내원한 환자가 특징적인 임상 소견(발열과 함께 기침 또는 인두통 등 호흡기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 의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약 50%만이 인플루엔자의 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실험실 진단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분리, 바이러스 핵산 검출, 바이러스 항원 검출,
혈청학 검사 등
- 후두 도말물, 비인두 세척물 또는 객담 등을 채취: 바이러스 배양 또는 유전자증폭검사로 확진
(하루 이상 소요)
- 신속항원검사: 인후 도찰 검체를 이용하여 10~15분 이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7) 치료
① 대증요법
합병증이 없는 단순 인플루엔자 환자
안정 및 수분 섭취
해열진통제 등을 사용 - acetaminophen
② 항바이러스제 치료.
M2 억제제
NA 억제제
바이러스 증식에 필수적인 세포막 단백인 M2 단백 이온통로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바이러스 탈외피(uncoating)를 방해하여 항바이러스 효과
M2 단백이 있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만 효과가 있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NA (neuraminidase)를 억제하며 virion의 배출을 차단하여 바이러스의 전파를 억제하는 효과
A형 인플루엔자와 B형 인플루엔자 모두에 효과가 있음.
M2 억제제와 NA 억제제는 모두 증상 시작 48시간 이내에 투약하는 경우에 인플루엔자의 이환 기간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
오셀타미비어(oseltamivir, 타미플루)나 자나미비어(zanamivir, 리렌자)
- 증상시작 48시간 이내에 조기 투약하면 효과적, 특히 고위험군에서 중증 합병증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음
참고문헌
MERS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http://www.mers.go.kr/mers/html/jsp/main.jsp
SARS
http://www.cdc.go.kr/CDC/health/CdcKrHealth01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47-MNU0746-MNU0751&fid=765&cid=14353
신종Influenza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016&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Influenza
1.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CDC/health/CdcKrHealth01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47-MNU0746-MNU0750&fid=763&cid=17997
2.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584&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3.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26&cid=51004&categoryId=51004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증상과 인두통, 기침,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이며 드물게 복통, 구토, 경련 등이 발생
5) 감염경로
호흡기 비말(droplet) : 급성 인플루엔자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
공기감염 : 폐쇄 공간 내의 밀집된 집단 내 발생
접촉감염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이나 환경을 만진 후 눈이나 코, 입 등을 만지는 경우
동물에서 인간으로의 감염 : 흔하지 않으나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에 직접 닿거나 간접적으로 인간이 접촉했을 때 감염될 수 있음
6) 진단
임상적 진단 : 지역사회에 인플루엔자가 유행하는 동안 내원한 환자가 특징적인 임상 소견(발열과 함께 기침 또는 인두통 등 호흡기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 의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약 50%만이 인플루엔자의 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실험실 진단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분리, 바이러스 핵산 검출, 바이러스 항원 검출,
혈청학 검사 등
- 후두 도말물, 비인두 세척물 또는 객담 등을 채취: 바이러스 배양 또는 유전자증폭검사로 확진
(하루 이상 소요)
- 신속항원검사: 인후 도찰 검체를 이용하여 10~15분 이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7) 치료
① 대증요법
합병증이 없는 단순 인플루엔자 환자
안정 및 수분 섭취
해열진통제 등을 사용 - acetaminophen
② 항바이러스제 치료.
M2 억제제
NA 억제제
바이러스 증식에 필수적인 세포막 단백인 M2 단백 이온통로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바이러스 탈외피(uncoating)를 방해하여 항바이러스 효과
M2 단백이 있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만 효과가 있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NA (neuraminidase)를 억제하며 virion의 배출을 차단하여 바이러스의 전파를 억제하는 효과
A형 인플루엔자와 B형 인플루엔자 모두에 효과가 있음.
M2 억제제와 NA 억제제는 모두 증상 시작 48시간 이내에 투약하는 경우에 인플루엔자의 이환 기간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
오셀타미비어(oseltamivir, 타미플루)나 자나미비어(zanamivir, 리렌자)
- 증상시작 48시간 이내에 조기 투약하면 효과적, 특히 고위험군에서 중증 합병증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음
참고문헌
MERS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http://www.mers.go.kr/mers/html/jsp/main.jsp
SARS
http://www.cdc.go.kr/CDC/health/CdcKrHealth01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47-MNU0746-MNU0751&fid=765&cid=14353
신종Influenza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016&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Influenza
1.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CDC/health/CdcKrHealth01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47-MNU0746-MNU0750&fid=763&cid=17997
2.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584&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3.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26&cid=51004&categoryId=51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