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_폐렴_cas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아과_폐렴_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폐렴(Pneumonia)
바이러스성 폐렴(Viral Pneumonia)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Primary atypical pneumonia)
세균성 폐렴(bacterial pneumonia)
간호

본문내용

에 작용하는 것, Ceftriaxone Sodium)
효능/효과 :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증, 이비인후과 감염증, 신장 및 요로감염증, 임질 등 생식기 감염증, 패혈증, 수술 전후 감염예방, 골 및 관절 감염증, 피부, 상처 및 연조직감염증,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면역기능저하 환자의 감염증
용법/용량 : 1.성인 및 12세 이상 소아 : 21일 1회 1-2g9역가)을 정주. 중증질환 또는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는 병원균에 의한 감염증에는 1일 1회 4g(역가)까지 증량가능.
2. 신생아(생후 14일 이내) : 20-50mg(역가)/kg을 1일 1회 투여하며 50mg(역가)/kg을 초과하지 않음 3. 영유아 및 소아 (생후 15일-12세): 20-80mg(역가)/kg을 1일 1회 투여
금기 : 본제에 쇽 기왕력자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과민증자.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과민증 또는 기왕력자. 리도카인 등의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자(근주에 한함). 황달이 있거나 저알부민혈증, 산증이 있는 신생아, 미숙아처럼 빌리루빈 결합에 장애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신생아, 칼슘 함유 용액 또는 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신생아
주의 : 본제 또는 세펨계 항생물질에 과민증 기왕력자, 약물 알러지 기왕력자, 중증 신산애, 경구섭취가 용이하지 않은 자 또는 비경구영양자, 고령자, 전신상태 불량자
5. Budecort soln (진해거담제, Budesonide)
효능/효과 : 기관지 천식(특히 스테로이드 요법의 다른 치료가 불충분하거나 적절치 않은 경우), 유아와 소아의 급성 후두 기관 기관지염(크룹)의 치료
용법/용량 :성인 1회 0.5 1mg (1 2병)을 1일 2회 투여 ; 소아 1회 0.25 0.5mg (1/2 1병)을 1일 2회 투여
금기 : 부데소니드나 이 약에 첨가된 다른 성분에 과민증인 환자
주의 : 폐결핵 환자, 진균 및 바이러스에 의한 기도감염 환자, 스테로이드 의존성 환자
6. Mucopect (진해거담제, Ambroxol HCl)
효능/효과 : 점액분비장애로인한 급,만성 호흡기질환 : 급,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부비강염, 건성비염(경구 : 서방형 캅셀제) 기관지천식의 급성발작, 조산아및 신생아의 호흡곤란증후군, 수술전,후폐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용법/용량 : 1일 체중 kg당 1.2-1.6mg을 정맥또는 근육주사한다. 5세이상 :1회 15mg 1일 2-3회, 2-4세 1회 7.5mg 1일 3회, 조산아 및 신생아의 호흡곤란치료는 1일 체중 kg당 10mg을 4회 분할하여 천천해 정맥주사.
금기 : 이 약 또는 이 약 성분에 과민증 환자
주의 : 중증 신장애 환자
▣ References
아동간호학 각론 : 정담 : 이화자 외
소아과학 : 대한교과서 : 홍창희 외
아동간호학(하) : 수문사 : 홍경자 외
킴스온라인 : http://www.kimsonline.co.kr/
사정
- 주관적 자료: “우리 애가 열이 너무 나요 ”
- 객관적 자료: 5월 12일 11AM : 39.2℃
12AM (tyrenol후 1시간 뒤) : 37.5℃
5월 13일 1:30 PM : 39.4℃
2:30 PM :(tyrenol후 1시간 뒤) : 38.5℃
구강점막의 건조
발열 시 자다가 보채고 울음
진단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목표 :
환아의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환아의 상태를 매일 사정한다.
환자를 사정함으로써 간호의 기반을 마련한다.
- 4시간마다 v/s을 체크하였다.
(BT는 2시간마다 체크함)
- I/O를 보호자에게 관찰하여 기록할 것을 설명하였다.
체온을 하강시키기 위한 요법을 적용한다.
- 체표면에서 수분이 기화되어 체열이 상실된다.
- 오한시 노출은 떨림을 증가시켜 신체의 열 생산을 촉진할 수 있다.
- 38℃이하의 미열이 있을 시, 미온수를 수건에 적셔 환아의 몸을 닦아줄 것을 교육하였다.
- 환아의 옷을 벗기거나 몸을 노출시킬 것을 교육하였다.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수분을 제공한다.
발한에 의한 수분 소실은 체내로부터 체액손실을 증가시키고 체액 부족 시 체온이 더 상승할 수 있다.
- 탈수 방지하기 위해 수분을 IV로 공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수분섭취를 많이 할 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하였다.
체온상승이 있을 때 필요시 약물 요법을 시행한다.
진단초기에 주사하면 고열이 급속히 떨어지고 모든 증상이 완화되며 관상동맥의 변화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 체온이 38℃이상일 때 간호사에게 notify하였다.
- 구강으로 tyrenol 투여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
평가
- 입원 후 이틀 째 까지(5월 12일)는 체온이 39.0℃ 이상인 경우가 잦았으나, 사흘 째 되는 날부터 정상체온 유지함.
▣ 간호 과정
사정
- 객관적 자료 : 청진시 천식음, 수포음과 잡음 들림
호흡이 빠르고 얕고, 리듬 불규칙적임
피곤해 보임
진해제, 거담제 투여중임
- 주관적 자료 : “기침, 가래는 좀 있어요.”
“잘 때 기침 연달아 해서 많이 힘들어해요.”
진단
객담의 증가와 비효율적인 기침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목표 :
환아는 객담을 효율적으로 배출한다.
분비물의 양상과 호흡양상을 자주 사정한다.
분비물과 호흡을 관찰해서 치료계획의 기초자료로 삼는다.
- 하얀색의 분비물이 코와 입을 통해 흘러나왔고
호흡 시 그르렁 거리는 것과 흉부견축을 관찰하였다.
처방된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진해거담제를 투여해 기도 분비물을 감소시킨다.
- Mucopect를 IV로 back shoot하는 것 관찰하였다.
- Budecort soln을 흡입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분비물 배액을 증진시키기 위해 흉부타진을 자주 실시한다.
흉부타진을 시행함으로써 분비물의 효과적인 배액을 촉진할 수 있다.
- 수시로 보호자가 뽁뽁이의 음압을 이용하여 흉부타진 해 주는 것 관찰하였다.
평가
- 입원 후 사흘 째(5월 13일) 까지 코와 입을 통해 분비물 관찰되었고, 수시로 흉부타진 하는 것 관찰.
- 청진시 그르렁 거리는 소리 줄어들고, 규칙적인 호흡양상 관찰
- 기침 정도와 횟수 줄어듬.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