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참고문헌 --------------------------- P.3 ~ 4
1. ‘급성 사구체 신염’이란 ?
2. ‘급성 사구체 신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3. ‘급성 사구체 신염’의 증상
3. ‘급성 사구체 신염’의 치료 및 간호중재
4. ‘급성 사구체 신염’의 경과/예후
4.‘급성 사구체 신염’의 합병증
5. ‘급성 사구체 신염’의 예방
<2> 간호과정 -------------------------- P.5 ~ 14
1. 간호 사정
2. 임상 관찰 및 검사
3. 약물
4. 간호진단
⚫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1. ‘급성 사구체 신염’이란 ?
2. ‘급성 사구체 신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3. ‘급성 사구체 신염’의 증상
3. ‘급성 사구체 신염’의 치료 및 간호중재
4. ‘급성 사구체 신염’의 경과/예후
4.‘급성 사구체 신염’의 합병증
5. ‘급성 사구체 신염’의 예방
<2> 간호과정 -------------------------- P.5 ~ 14
1. 간호 사정
2. 임상 관찰 및 검사
3. 약물
4. 간호진단
⚫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뜨리기 위해 시행된다.
손을 컵 모양으로 오므려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두드리면,
흉벽을 통해 분비물을 일시적으로 진동시키므로 분비물이 묽어져 쉽게 떨어진다.
2. 기침 : 분비물을 뱉어내기 위하여 시행된다.
3. 진동 : 분비물을 묽게 하여 기관지 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시행된다.
4. 좌위 : 폐가 최대로 확장되도록 한다.
평가
날짜
검사 종류
결과
11/18
Chest Both Decubitus
Slightly decreased pleural effusion
11/18일 검사에서 보다 11/16일 흉막 삼출이 감소하였다.
가래의 양상은 계속 yellowish로 지속되었으나, 대상자가 점점 그 양이 줄었다고 말하였다.
환아의 어머니는 간호사의 교육을 이해하였으며, 흉부물리요법과 타진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환아에게 가래를 삼키기 어려울 경우, 삼키라고 하였다.
1)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1. “머리가 좀 아파요.”
2. “약간 어지러워요.”
<객관적 자료>
날짜
혈압
11/15
150/90 → 140/80 → 130/80
11/16
130/80
11/18
130/70 → 140/70 → 140/100
1. 활력징후의 이상 (BP)
날짜
체중
약 3주 전
38kg
11/14
41.5kg
11/15
42kg
11/16
41kg
2. 체중의 증가
날짜
복부둘레
11/14
69cm
11/15
67cm
11/16
67cm
3. 복부둘레의 증가
날짜
Urine 양
11/16
1080cc
4. Urine 배출량
<목표>
활력징후가
정상이 되며,
부종이 감소되고, 피부통합성이 유지되며,
환자는 저염식이와 수분제한에 대해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다.
간호계획
1. 혈압을 낮춘다.
2. 부종을 감소시킨다.
3. 환아와 환아의 보호자를 교육하고 이해하여 실행하도록 한다.
간호수행
1. 수시로 혈압을 측정한다.
2. 눈 주위와 말초부종을 확인한다.
3. 두통의 유무를 확인한다.
4. 복부둘레와 체중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체액과다와 부종을 사정한다.
5. 저염식이를 제공하며, 필요 시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5. 환아와 환아의 보호자에게 저염식이와 수분제한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한다.
6. 필요 시. 항고혈압제를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7.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한다.
평가
날짜
체중
11/17
40.08kg
11/18
40.10kg
11/19
39.2kg
날짜
복부둘레
11/17
66.5cm
11/18
65cm
11/19
65cm
날짜
Urine 양
11/18
2090cc
11/19
1585cc
혈압이 11/19부터 평균 120/80으로 정상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위와 같이 체중과 복부둘레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Urine의 양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1/19일 Renal sonography 결과 특별한 문제가 없어 퇴원을 하였다.
2)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와 관련된 고혈압과 부종
사구체 여과율(GRF)이란? 신장이 1분 동안 깨끗하게 걸러주는 혈액의 양, 정상 사구체 여과율은 분당 90~120ml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1. “아이가 자꾸 주사 맞고 있는 부위를 만지고 뜯으려 해요.”
2. “주사부위가 간지럽다고 보채요.
<목표>
주사부위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며,
IV를 적절히 유지한다.
간호계획
1. 피부상태를 사정하고 주사부위를 관찰한다.
2.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간호수행
1. 정맥 주사부위의 정맥염과 침윤증상 · 징후를 관찰한다.
2. 처방된 정맥용 용액을 관리한다.
3. IV site 에 문제가 있는지 Arm Board를 풀고 확인한다.
4. Arm Board를 풀고 Angio catheter가 눌리지 않도록 솜을 적용한다.
5. IV를 제거 후 24시간 동안 제거 부위에 물이 닿지 않도록 교육한다.
평가
IV catheter 제거 부위(좌측 손등) 확인 결과 정맥염이나 침윤의 증상은 없으나,
좋지 않은 냄새가 나고, 약간의 부은 느낌이 있었다.
3) 정맥주사 유지로 인한 피부통합성 장애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우리 병실에 또래친구가 없어서 같이 놀 친구가 없다고 심심해해요.”
“심심한지 자꾸 보채네요.”
<목표>
환아가 병원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또래친구들과 함께 지낼수 있도록 격려한다.
간호계획
1. 환아와 라포를 형성한다.
2. 환아의 또래 친구를 만들어준다.
간호수행
1. 환아가 좋아하는 파워레인저를 주제로 대화를 나눈다.
2. 환아의 IV 플라스터 위에 귀여운 곰을 그려준다.
3. 아동이 언어로 그들의 생각과 느낌, 감정을 통제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촉진한다.
감정을 표현을 촉진시켜 정서적지지, 스트레스 해소, 긴장의 완화를 제공한다.
3. 다른 병실의 또래 환아를 소개한다.
4. 환아와 놀이를 할 때 다른 병실의 환아를 참여시킨다.
평가
환아가 입원 초기보다 침대에 있는 시간이 줄어들었으며,
병동 내 또래 환아와 어울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3) 병원 내 또래친구 부족과 관련된
결론 및 제언
Case 환아는 3주 전 편도염으로 인한 상기도 감염의 과거력이 있다.
또한 3주 전부터 체중이 3kg 정도 증가하였고, 전신적으로 부종이 발생하여 입원을 하였다.
주 증상으로는 기침, 약간의 구토, 가래 등이 있다. 진단명은 급성 사구체 신염이다.
진단검사에서 Mycoplasma 균이 검출되어 급성 상기도 감염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BUN, Creatinine의 수치를 통해 신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검사에서 ASO의 수치를 통해 ‘급성 사구체 신염’의 확진을 내릴 수 있다.
급성 사구체 신염으로 인한 증상으로는 부종과 고혈압이 나타났고,
그 밖에 기도의 분비물로 인한 가래 등을 들을 수 있다.
때문에 간호중재로 부종과 고혈압에 대한 것과 호흡기 분비물에 대한 간호도 시행하였다.
★ 참고문헌
아동지침서 - 김은희 · 박수아 지음
보건복지부 사이트
아동간호학 현문사 - Donna L. Wong 지음
손을 컵 모양으로 오므려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두드리면,
흉벽을 통해 분비물을 일시적으로 진동시키므로 분비물이 묽어져 쉽게 떨어진다.
2. 기침 : 분비물을 뱉어내기 위하여 시행된다.
3. 진동 : 분비물을 묽게 하여 기관지 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시행된다.
4. 좌위 : 폐가 최대로 확장되도록 한다.
평가
날짜
검사 종류
결과
11/18
Chest Both Decubitus
Slightly decreased pleural effusion
11/18일 검사에서 보다 11/16일 흉막 삼출이 감소하였다.
가래의 양상은 계속 yellowish로 지속되었으나, 대상자가 점점 그 양이 줄었다고 말하였다.
환아의 어머니는 간호사의 교육을 이해하였으며, 흉부물리요법과 타진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환아에게 가래를 삼키기 어려울 경우, 삼키라고 하였다.
1)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1. “머리가 좀 아파요.”
2. “약간 어지러워요.”
<객관적 자료>
날짜
혈압
11/15
150/90 → 140/80 → 130/80
11/16
130/80
11/18
130/70 → 140/70 → 140/100
1. 활력징후의 이상 (BP)
날짜
체중
약 3주 전
38kg
11/14
41.5kg
11/15
42kg
11/16
41kg
2. 체중의 증가
날짜
복부둘레
11/14
69cm
11/15
67cm
11/16
67cm
3. 복부둘레의 증가
날짜
Urine 양
11/16
1080cc
4. Urine 배출량
<목표>
활력징후가
정상이 되며,
부종이 감소되고, 피부통합성이 유지되며,
환자는 저염식이와 수분제한에 대해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다.
간호계획
1. 혈압을 낮춘다.
2. 부종을 감소시킨다.
3. 환아와 환아의 보호자를 교육하고 이해하여 실행하도록 한다.
간호수행
1. 수시로 혈압을 측정한다.
2. 눈 주위와 말초부종을 확인한다.
3. 두통의 유무를 확인한다.
4. 복부둘레와 체중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체액과다와 부종을 사정한다.
5. 저염식이를 제공하며, 필요 시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5. 환아와 환아의 보호자에게 저염식이와 수분제한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한다.
6. 필요 시. 항고혈압제를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7.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한다.
평가
날짜
체중
11/17
40.08kg
11/18
40.10kg
11/19
39.2kg
날짜
복부둘레
11/17
66.5cm
11/18
65cm
11/19
65cm
날짜
Urine 양
11/18
2090cc
11/19
1585cc
혈압이 11/19부터 평균 120/80으로 정상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위와 같이 체중과 복부둘레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Urine의 양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1/19일 Renal sonography 결과 특별한 문제가 없어 퇴원을 하였다.
2)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와 관련된 고혈압과 부종
사구체 여과율(GRF)이란? 신장이 1분 동안 깨끗하게 걸러주는 혈액의 양, 정상 사구체 여과율은 분당 90~120ml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1. “아이가 자꾸 주사 맞고 있는 부위를 만지고 뜯으려 해요.”
2. “주사부위가 간지럽다고 보채요.
<목표>
주사부위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며,
IV를 적절히 유지한다.
간호계획
1. 피부상태를 사정하고 주사부위를 관찰한다.
2.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간호수행
1. 정맥 주사부위의 정맥염과 침윤증상 · 징후를 관찰한다.
2. 처방된 정맥용 용액을 관리한다.
3. IV site 에 문제가 있는지 Arm Board를 풀고 확인한다.
4. Arm Board를 풀고 Angio catheter가 눌리지 않도록 솜을 적용한다.
5. IV를 제거 후 24시간 동안 제거 부위에 물이 닿지 않도록 교육한다.
평가
IV catheter 제거 부위(좌측 손등) 확인 결과 정맥염이나 침윤의 증상은 없으나,
좋지 않은 냄새가 나고, 약간의 부은 느낌이 있었다.
3) 정맥주사 유지로 인한 피부통합성 장애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우리 병실에 또래친구가 없어서 같이 놀 친구가 없다고 심심해해요.”
“심심한지 자꾸 보채네요.”
<목표>
환아가 병원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또래친구들과 함께 지낼수 있도록 격려한다.
간호계획
1. 환아와 라포를 형성한다.
2. 환아의 또래 친구를 만들어준다.
간호수행
1. 환아가 좋아하는 파워레인저를 주제로 대화를 나눈다.
2. 환아의 IV 플라스터 위에 귀여운 곰을 그려준다.
3. 아동이 언어로 그들의 생각과 느낌, 감정을 통제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촉진한다.
감정을 표현을 촉진시켜 정서적지지, 스트레스 해소, 긴장의 완화를 제공한다.
3. 다른 병실의 또래 환아를 소개한다.
4. 환아와 놀이를 할 때 다른 병실의 환아를 참여시킨다.
평가
환아가 입원 초기보다 침대에 있는 시간이 줄어들었으며,
병동 내 또래 환아와 어울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3) 병원 내 또래친구 부족과 관련된
결론 및 제언
Case 환아는 3주 전 편도염으로 인한 상기도 감염의 과거력이 있다.
또한 3주 전부터 체중이 3kg 정도 증가하였고, 전신적으로 부종이 발생하여 입원을 하였다.
주 증상으로는 기침, 약간의 구토, 가래 등이 있다. 진단명은 급성 사구체 신염이다.
진단검사에서 Mycoplasma 균이 검출되어 급성 상기도 감염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BUN, Creatinine의 수치를 통해 신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검사에서 ASO의 수치를 통해 ‘급성 사구체 신염’의 확진을 내릴 수 있다.
급성 사구체 신염으로 인한 증상으로는 부종과 고혈압이 나타났고,
그 밖에 기도의 분비물로 인한 가래 등을 들을 수 있다.
때문에 간호중재로 부종과 고혈압에 대한 것과 호흡기 분비물에 대한 간호도 시행하였다.
★ 참고문헌
아동지침서 - 김은희 · 박수아 지음
보건복지부 사이트
아동간호학 현문사 - Donna L. Wong 지음
추천자료
성인간호실습레포트!!!!!!!!!!!!간호사정부터~간호평가까지!!!!!!!!!!!!!!!!!!!!!!
[신장질환] 신질환검사, 신장병의 증상, 신장질환(신장병)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식이요법의 ...
[신장질환] 사구체신염과 신증후군(네프로시스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사요법(식이...
, 치매사례연구, 노인간호학실습, 발표자료
[신장질환] 신장질환의 종류와 원인 및 증상 - 신증후군, 사구체신염(급성사구체신염, 만성사...
[신장질환] 신장질환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방법 - 신염(급성사구체신염, 만성사구체신염, 네...
간호실습)가와사키소아과소아과실습간호학과CASE병원실습
간호실습) 부인과 자궁근종부인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수족구병 소아과소아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 심근경색 흉부외과흉부외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MI
간호실습) 중환자실실습ICU실습간호진단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 엔아이씨유NICU실습신경계중환자실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 부인과 자궁선근종부인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 정신과실습정신과정신과case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