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제목: 동,식물세포의 관찰 및 크기계측
실험목적
실험원리
1)원핵세포와 진핵세포
➊원핵세포
➋특징
➌내부구조와 기능
2)진핵세포
➊진핵세포
➋특징
➌동물세포의 내부구조와 기능
➍식물세포의 구조와 구성
3)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
4)세포의 고정과 염색
5)세포의 크기 측정
6)실험 기구 및 시약
7)실험방법
8)참고문헌
제목: 식물세포의 관찰
실험재료
실험방법
실험결과
Discussion
실험목적
실험원리
1)원핵세포와 진핵세포
➊원핵세포
➋특징
➌내부구조와 기능
2)진핵세포
➊진핵세포
➋특징
➌동물세포의 내부구조와 기능
➍식물세포의 구조와 구성
3)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
4)세포의 고정과 염색
5)세포의 크기 측정
6)실험 기구 및 시약
7)실험방법
8)참고문헌
제목: 식물세포의 관찰
실험재료
실험방법
실험결과
Discussion
본문내용
않도록 한다.)
⑧현미경을 이용하여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한다.
8)참고문헌
교과서보다 쉬운 세포 이야기- 쿠로타미 아케미- 푸른숲주니어
완자 생물2- 손희도 외 4명- 비유와 상징
생명과학- 강영희 외 7명- 지구문화사
생명과학의 이해- 홍영남- 라이프사이언스
네이버 백과사전
제목: 식물세포의 관찰
실험재료: 증류수, 아세트카민 용액, 에탄올, 커버글라스, 슬라이드 글라스, 종아타올, 현미경
실험방법
①양파를 커터칼을 사용하여 가로와 세로가 각각 5mm가 되도록 #모양으로 잘라 핀셋을 이용하여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올려놓는다.
②에탄올을 양파 세포위에 조금 떨어뜨리고 종이타올을 이용해서 에탄올을 빨아들인 후 고정시킨다.
③고정 시킨 양파 세포위에 물을 한 두방울 정도 떨어뜨린다.
④여과지나 종이타올을 대고 물을 빨아들인다.
⑤양파 세포위에 아세트카민용액을 떨어뜨린다.
⑥종이타올을 이용하여 아세트카민 용액을 제거한다.
⑦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커버글라스를 덮는다.
⑧제배율로 세포벽에 의하여 뚜렷하게 구획된 세포의 모양을 관찰한 다음 고배율로 내부구조를 관찰한다.
실험결과
원래는 동물의 세포와 식물의 세포를 모두 관찰해야 했지만 우리는 식물세포만을 관찰했다.
우선은 양파를 커터칼로 조그맣게 자른 다음 프레파라트 위에 올려놓았다.
양파세포위에 에탄올을 떨어뜨리고 고정시킨 후 종이타올로 닦아냈다.
그 후에 증류수 대신 수돗물을 이용해서 양파 세포를 한 두방을 적셨고 종이타올을 이용해서 빨아들였다.
그다음 아세트카민 용액을 양파세포에 적신 후 종이타올로 용액을 빨아들였고 마지막으로 커버글라스를 덮었다.
이 상태로 저배율부터 고배율로 서서히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는데 저배율을 사용해서 볼 때는 분명히 잘 보였는데 고배율로 바꾸고 나니깐 초점이 맞춰지지 않아서 하나씩 배율을 높일 때마다 많은 시간을 들이면서 양파세포를 관찰해야 했다.
결국 수업이 거의 끝마칠 때 쯤에서야 양파세포의 핵이 염색된 상태를 볼 수 있었다.
Discussion
나는 이 실험을 고3때에도 해보았던 실험이여서 실험을 하기 전 까도 자신이 있었다.
그러나 학생 수에 비해서 현미경의 수가 부족해서 나는 고장 난 현미경을 내 자리에 장식처럼 두고 옆에 있는 친구의 현미경을 빌리면서 봐야하는 불쌍한 신세가 되었다.
실험 과정의 간단하였고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그러나 현미경을 이용해서 관찰하는 데는 시간이 꽤나 걸렸다. 우선은 이론대로 저배율부터 보기 시작했다. 가장 낮은 배율로 보면서 초점을 맞췄고 한 단계 높은 배율로 보기 위해서 렌즈를 맞추고 보았는데 초점이 빗나가서 몇 분 가량을 낑낑대면서 초점을 맞췄다. 자세히 확대된 내 프레파라트를 보니깐 프레파라트 속에 기포가 많이 있었다. 커버글라스를 덮을 때 기포가 생기지 않게 비스듬히 덮어야 하는것을 잊어버린 채 손에 묻은 아세트카민 용액을 닦느냐고 커버글라스를 바로 덮어버려서 기포가 이렇게 많이 생긴 것 같았다.그 어지럽게 흩어진 기포들을 무시하고 계속 관찰을 했었는데 배율을 하나씩 올릴 때마다 자꾸 초점이 빗나가서 정말 많은 시간이 걸린 끝에 겨우 핵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렇게 관찰한 결과 붉은색의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사용한 핵은 붉게 염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도 염색이 되는 시간을 충분히 생각하고 염색을 하여서 적어도 염색만은 잘 된 것 같다.
실험을 하는 동안에 아세트카민 용액의 냄새가 정말 심했었는데 메틸렌블루의 용액의 냄새는 무향이라고 하니깐 어짜피 두 용액을 바꾸어서 사용해도 무방한데 왜 굳이 식물세포를 관찰할때는 아세트카민 용액을 쓰는지 궁금했었다.
알고보니 식물에는 아세트카민 용액을, 동물에는 메틸렌블루 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세포의 색 때문이었다. 동물세포의 경우는 붉은색의 세포가 많아서 아세트카민 용액보다는 푸른색으로 염색이 되는 메틸렌블루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실험관찰에 더욱 유리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란다.
그리고 실험을 하면서 왜 증류수로 씻어내는지 의아해 하면서 번거롭기만 하다고 생각해서 찾아보니깐 양파세포를 고르게 펴주기 위해서 하는 거라고 하니깐 과정 하나하나를 함부로 무시하거나 넘어가면 안되겠다고 생각했다.
또한, 고등학교 때보다 관찰하는 시간이 2배 이상 걸렸는데 물론 내가 현미경 작동에 미숙한 점도 있지만 현재 현미경의 수준이 고등학교 때보다 못한 것도 무시하지 못하겠다. 학교 측에서 장비구입에 좀 더 적극적 이여서 간단한 실험 하나를 하더라도 학생들이 좋은 환경에서 했으면 좋겠다.
⑧현미경을 이용하여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한다.
8)참고문헌
교과서보다 쉬운 세포 이야기- 쿠로타미 아케미- 푸른숲주니어
완자 생물2- 손희도 외 4명- 비유와 상징
생명과학- 강영희 외 7명- 지구문화사
생명과학의 이해- 홍영남- 라이프사이언스
네이버 백과사전
제목: 식물세포의 관찰
실험재료: 증류수, 아세트카민 용액, 에탄올, 커버글라스, 슬라이드 글라스, 종아타올, 현미경
실험방법
①양파를 커터칼을 사용하여 가로와 세로가 각각 5mm가 되도록 #모양으로 잘라 핀셋을 이용하여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올려놓는다.
②에탄올을 양파 세포위에 조금 떨어뜨리고 종이타올을 이용해서 에탄올을 빨아들인 후 고정시킨다.
③고정 시킨 양파 세포위에 물을 한 두방울 정도 떨어뜨린다.
④여과지나 종이타올을 대고 물을 빨아들인다.
⑤양파 세포위에 아세트카민용액을 떨어뜨린다.
⑥종이타올을 이용하여 아세트카민 용액을 제거한다.
⑦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커버글라스를 덮는다.
⑧제배율로 세포벽에 의하여 뚜렷하게 구획된 세포의 모양을 관찰한 다음 고배율로 내부구조를 관찰한다.
실험결과
원래는 동물의 세포와 식물의 세포를 모두 관찰해야 했지만 우리는 식물세포만을 관찰했다.
우선은 양파를 커터칼로 조그맣게 자른 다음 프레파라트 위에 올려놓았다.
양파세포위에 에탄올을 떨어뜨리고 고정시킨 후 종이타올로 닦아냈다.
그 후에 증류수 대신 수돗물을 이용해서 양파 세포를 한 두방을 적셨고 종이타올을 이용해서 빨아들였다.
그다음 아세트카민 용액을 양파세포에 적신 후 종이타올로 용액을 빨아들였고 마지막으로 커버글라스를 덮었다.
이 상태로 저배율부터 고배율로 서서히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는데 저배율을 사용해서 볼 때는 분명히 잘 보였는데 고배율로 바꾸고 나니깐 초점이 맞춰지지 않아서 하나씩 배율을 높일 때마다 많은 시간을 들이면서 양파세포를 관찰해야 했다.
결국 수업이 거의 끝마칠 때 쯤에서야 양파세포의 핵이 염색된 상태를 볼 수 있었다.
Discussion
나는 이 실험을 고3때에도 해보았던 실험이여서 실험을 하기 전 까도 자신이 있었다.
그러나 학생 수에 비해서 현미경의 수가 부족해서 나는 고장 난 현미경을 내 자리에 장식처럼 두고 옆에 있는 친구의 현미경을 빌리면서 봐야하는 불쌍한 신세가 되었다.
실험 과정의 간단하였고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그러나 현미경을 이용해서 관찰하는 데는 시간이 꽤나 걸렸다. 우선은 이론대로 저배율부터 보기 시작했다. 가장 낮은 배율로 보면서 초점을 맞췄고 한 단계 높은 배율로 보기 위해서 렌즈를 맞추고 보았는데 초점이 빗나가서 몇 분 가량을 낑낑대면서 초점을 맞췄다. 자세히 확대된 내 프레파라트를 보니깐 프레파라트 속에 기포가 많이 있었다. 커버글라스를 덮을 때 기포가 생기지 않게 비스듬히 덮어야 하는것을 잊어버린 채 손에 묻은 아세트카민 용액을 닦느냐고 커버글라스를 바로 덮어버려서 기포가 이렇게 많이 생긴 것 같았다.그 어지럽게 흩어진 기포들을 무시하고 계속 관찰을 했었는데 배율을 하나씩 올릴 때마다 자꾸 초점이 빗나가서 정말 많은 시간이 걸린 끝에 겨우 핵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렇게 관찰한 결과 붉은색의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사용한 핵은 붉게 염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도 염색이 되는 시간을 충분히 생각하고 염색을 하여서 적어도 염색만은 잘 된 것 같다.
실험을 하는 동안에 아세트카민 용액의 냄새가 정말 심했었는데 메틸렌블루의 용액의 냄새는 무향이라고 하니깐 어짜피 두 용액을 바꾸어서 사용해도 무방한데 왜 굳이 식물세포를 관찰할때는 아세트카민 용액을 쓰는지 궁금했었다.
알고보니 식물에는 아세트카민 용액을, 동물에는 메틸렌블루 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세포의 색 때문이었다. 동물세포의 경우는 붉은색의 세포가 많아서 아세트카민 용액보다는 푸른색으로 염색이 되는 메틸렌블루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실험관찰에 더욱 유리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란다.
그리고 실험을 하면서 왜 증류수로 씻어내는지 의아해 하면서 번거롭기만 하다고 생각해서 찾아보니깐 양파세포를 고르게 펴주기 위해서 하는 거라고 하니깐 과정 하나하나를 함부로 무시하거나 넘어가면 안되겠다고 생각했다.
또한, 고등학교 때보다 관찰하는 시간이 2배 이상 걸렸는데 물론 내가 현미경 작동에 미숙한 점도 있지만 현재 현미경의 수준이 고등학교 때보다 못한 것도 무시하지 못하겠다. 학교 측에서 장비구입에 좀 더 적극적 이여서 간단한 실험 하나를 하더라도 학생들이 좋은 환경에서 했으면 좋겠다.
추천자료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점
정자와 난자의 형성 (생식세포 형성 과정)
[생명복제][생명복제기술][생명윤리][윤리적 문제][황우석사태][줄기세포][배아복제]생명복제...
[세포분열, 체세포분열, 감수분열]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
식물의 기공관찰
[원핵생물][진핵생물][원핵생물의 개념][원핵생물의 세포][진핵생물의 전사][진핵생물의 세포...
[식물분류학실험]1.하등식물관찰
여러 가지 생물세포의 형태와 기능
분자생물학 - 세포간의 상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전달체계[signal transductio...
[생물실험보고서] 체세포분열(Mitosis)
생물학 실험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2015기초간호과학]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면역관련 4가지형태 과민반응 특징, 주요질환, 4...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에 대해 구체적 설명, 면역 과민반응 특징 주요질환, 4가지형태의 과민...
[식품食品미생물학] 미생물의 구조와 기능 - 미생물 세포의 특징,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원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