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2. 관계 문헌의 개요 ───────────────────── 2
Ⅱ. 본론
1. 간호사정 ───────────────────────── 6
1) 주관적 자료 ───────────────────────── 6
(1) 개인정보
(2) 기본 욕구 사정
(3) 현재 건강력 사정
(4) 과거 건강력 사정
2) 객관적 자료 ──────────────────────── 10
(1) 신체 검진
(2) 검사 소견
(3) 의학적 치료계획
2. Problem List ─────────────────────── 15
3. 간호진단 ───────────────────────── 16
4. 간호과정 적용 ────────────────────── 17
Ⅲ.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2. 관계 문헌의 개요 ───────────────────── 2
Ⅱ. 본론
1. 간호사정 ───────────────────────── 6
1) 주관적 자료 ───────────────────────── 6
(1) 개인정보
(2) 기본 욕구 사정
(3) 현재 건강력 사정
(4) 과거 건강력 사정
2) 객관적 자료 ──────────────────────── 10
(1) 신체 검진
(2) 검사 소견
(3) 의학적 치료계획
2. Problem List ─────────────────────── 15
3. 간호진단 ───────────────────────── 16
4. 간호과정 적용 ────────────────────── 17
Ⅲ. 결론
본문내용
Common Bile Duct)의 암과 관련된 췌장염.④특수 검사 :
6/29 MRCP(Magnetic Resonance Cholangio Pancreatography, 자기공명췌담관조영술)
R/O autoimmune pancreatitis, CBD cancer with associated pancreatitis.
⑤처방된 식이 :
2011-06-28 치료상 금식(NPO)
2011-07-01 저지방 죽(영양상태 중위험군, 식이 : albumin 2.8-3.4)
3. 간호진단
① 췌장의 기능저하와 분비기능 장애와 관련된 통증
② 불충분한 섭취와 관련된 영양부족
4. 간호 과정 적용
간호진단 1) 췌장의 기능저하와 분비기능 장애와 관련된 통증
주관적 자료
① “왜 이렇게 콕콕 쑤시죠?”
② “진통제 좀 주세요.”
③ 통증 사정(NRS, 숫자통증등급)에서 2점(6/28 16:29)이라 말한다.
객관적 자료
① 입원 6/28 18:00 소화기내과
BP 140/90mmhg
P 106회/min
R 20회/min
BT 36.7℃
SpO2 98%
② 소화성 궤양용제 Ranitidine HCl Tab(12HR), Magnesium oxide(8HR) 사용(PO)
장기목표
대상자는 집으로 돌아갈 때 통증이 없는 상태로 통증에 대한 처치가 필요하지 않다.
일시
단기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2011-06-28 18:00
6월 28일 21:00까지 통증 사정(NRS, 숫자통증등급)에서 1점이하를 말한다.
통증사정방법과 통증시 불편감을 알리도록 교육한다.
① 대상자의 통증이 질병과정내의 상황이라는 것을 설명, 숫자통증등급에 대해 설명하고 불편감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교육했다.
(6/28 18:00)
② 필요시마다 학생간호사를 부르도록 교육했다.
(6/28 18:00)
복통이 주요한 임상증상. 급성 악화기의 통증의 특징은 타는 듯하거나 긁어내는 듯한 양상. 췌장의 섬유화가 진행되면 통증은 더 악화.
6월 28일 21:00 통증사정결과 1점을 말했다. 실제로 통증 경감을 위한 약물은 사용하지 않았고, 대상자는 현재의 자신의 상태에 대해 거의 통증을 느낄 수 없다고 말했고, 편안하게 누워 영화를 시청했다.
통증사정(NRS, 숫자통증등급)을 한다.
① 1HR마다 통증사정을 수행, 보고하였다.(2점)
(6/28 18:00)
19:00 (1점)
20:00 (0점)
통증경험은 개인마다 독특하기 때문에 정교한 통증 사정기술이 필요. 숫자통증등급(NRS)은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 외래에서나 전화로도 통증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장점.
통증 경감을 위한 전환, 이완요법을 이용한다.
① 통증이 아닌 다른 것에 주의를 집중해보도록 설명했다.
(6/28 19:05)
② 긴장을 감소시키고 불안완화를 위해 눈을 감은 상태로, 느리고 깊은 복식호흡을 권장했다.
(6/28 19:05)
③ 전환요법으로 PC를 이용해 영화를 시청했다.
(6/28 19:30)
다른 것에 몰두 하는 것은 통증으로부터 대상자의 관심을 전환. 이완술은 골격근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불안을 완화.
TV, 영화시청은 시각적 전환. 뇌간의 망상체계가 충분한 감각투입을 받으들이면 통증과 같은 감각은 무시되거나 선택적으로 차단.
간호진단 2) 불충분한 섭취와 관련된 영양부족
주관적 자료
① 체중감소 : 지난 6개월간 3kg
② “입맛이 없네요.”
③ “계속 죽만 먹어야 되나요?”
객관적 자료
① 혈중 활성 Lipase 증가, 176↑/13-60 (U/L)
② 혈청 Albumin 감소, 3.2↓/3.8-5.3 (g/dL)
장기목표
대상자는 집으로 돌아갈 때 표준체중(IBW, ideal body weight)을 유지하거나 획득한다.(66.6kg)
일시
단기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2011-07-01 18:00
7월 6일까지 대상자의 체중이 2kg 증가한다.
식욕과 관련된 요구도를 파악한다.
① 좋아하는 음식에 대해 물어봤다.
(07/01 18:00)
② 치료과정에서의 기호식이에 대한 제한점에 대해 이유를 설명했다.
(07/01 18:00)
③ 빠른 건강호전이 빠른 퇴원과 기호식이 섭취에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했다.
(07/01 18:00)
지방변경식은 식이 중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량을 제외한 치료식. 고지혈증, 흡수불량증의 치료식. 담낭질환, 췌장질환, 간질환의 급성기에서 지방변이 있어 지방의 양을 줄일 때 처방.
7월 6일
10:00 체중측정결과 53.4kg.
(55.20kg
에서 1kg↑) 목표체중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대상자는 7월 6일자로 퇴원, 가정에서도 표준체중에 도달하기 위해 꾸준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필요하다.
식욕증가를 위한 신체적활동을 증가시킨다.
① 무리가 가지 않는 정도의 경한 운동을 격려했다.
(07/01 19:00)
② 대상자가 침상밖으로 나와 활동하도록 휴게실까지 모셔다드렸다.
(07/01 21:00)
경한 운동으로
식욕을 증가.
식욕증가를 위한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① 편안한 자세로 식사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정리했다.
(07/04 08:00)
② 보호자에게 음식을 자주 조금씩 제공하도록 설명했다.
(07/04 08:00)
즐거운 환경에서
먹도록 격려한다.
식욕자극에 도움.
Ⅲ. 결론
주님은 2011-07-06 퇴원. 일반화학검사, 응급검사(혈청전해질검사)에서 cholesterol, albumin은 정상이나, billirubin, AST, ALT등은 아직 비정상소견이다. 주호소인 상복부의 통증은 완화되었으나 가정에서의 식습관 조절과 금주, 운동요법이 꾸준히 필요한 상태이다. 식이요법으로 저지방식이와 무리가 가지 않는 경한 운동이 질환관리에 도움이 된다. 만성질환인 만큼 지속적인 관찰과 요양이 필요하다.
간호진단인 만성통증과 영양부족 중, 만성통증에 대한 목표는 전환, 이완요법으로 달성하였으나, 영양부족에 대한 목표인 체중증가에서는 계획한 2kg의 체중증가에는 부족한 1kg의 체중이 증가했다. 하지만 체중이 증가하고 있고 통증과 관련된 증상이나 징후가 없다는 것에서 대상자는 질환관리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6/29 MRCP(Magnetic Resonance Cholangio Pancreatography, 자기공명췌담관조영술)
R/O autoimmune pancreatitis, CBD cancer with associated pancreatitis.
⑤처방된 식이 :
2011-06-28 치료상 금식(NPO)
2011-07-01 저지방 죽(영양상태 중위험군, 식이 : albumin 2.8-3.4)
3. 간호진단
① 췌장의 기능저하와 분비기능 장애와 관련된 통증
② 불충분한 섭취와 관련된 영양부족
4. 간호 과정 적용
간호진단 1) 췌장의 기능저하와 분비기능 장애와 관련된 통증
주관적 자료
① “왜 이렇게 콕콕 쑤시죠?”
② “진통제 좀 주세요.”
③ 통증 사정(NRS, 숫자통증등급)에서 2점(6/28 16:29)이라 말한다.
객관적 자료
① 입원 6/28 18:00 소화기내과
BP 140/90mmhg
P 106회/min
R 20회/min
BT 36.7℃
SpO2 98%
② 소화성 궤양용제 Ranitidine HCl Tab(12HR), Magnesium oxide(8HR) 사용(PO)
장기목표
대상자는 집으로 돌아갈 때 통증이 없는 상태로 통증에 대한 처치가 필요하지 않다.
일시
단기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2011-06-28 18:00
6월 28일 21:00까지 통증 사정(NRS, 숫자통증등급)에서 1점이하를 말한다.
통증사정방법과 통증시 불편감을 알리도록 교육한다.
① 대상자의 통증이 질병과정내의 상황이라는 것을 설명, 숫자통증등급에 대해 설명하고 불편감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교육했다.
(6/28 18:00)
② 필요시마다 학생간호사를 부르도록 교육했다.
(6/28 18:00)
복통이 주요한 임상증상. 급성 악화기의 통증의 특징은 타는 듯하거나 긁어내는 듯한 양상. 췌장의 섬유화가 진행되면 통증은 더 악화.
6월 28일 21:00 통증사정결과 1점을 말했다. 실제로 통증 경감을 위한 약물은 사용하지 않았고, 대상자는 현재의 자신의 상태에 대해 거의 통증을 느낄 수 없다고 말했고, 편안하게 누워 영화를 시청했다.
통증사정(NRS, 숫자통증등급)을 한다.
① 1HR마다 통증사정을 수행, 보고하였다.(2점)
(6/28 18:00)
19:00 (1점)
20:00 (0점)
통증경험은 개인마다 독특하기 때문에 정교한 통증 사정기술이 필요. 숫자통증등급(NRS)은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 외래에서나 전화로도 통증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장점.
통증 경감을 위한 전환, 이완요법을 이용한다.
① 통증이 아닌 다른 것에 주의를 집중해보도록 설명했다.
(6/28 19:05)
② 긴장을 감소시키고 불안완화를 위해 눈을 감은 상태로, 느리고 깊은 복식호흡을 권장했다.
(6/28 19:05)
③ 전환요법으로 PC를 이용해 영화를 시청했다.
(6/28 19:30)
다른 것에 몰두 하는 것은 통증으로부터 대상자의 관심을 전환. 이완술은 골격근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불안을 완화.
TV, 영화시청은 시각적 전환. 뇌간의 망상체계가 충분한 감각투입을 받으들이면 통증과 같은 감각은 무시되거나 선택적으로 차단.
간호진단 2) 불충분한 섭취와 관련된 영양부족
주관적 자료
① 체중감소 : 지난 6개월간 3kg
② “입맛이 없네요.”
③ “계속 죽만 먹어야 되나요?”
객관적 자료
① 혈중 활성 Lipase 증가, 176↑/13-60 (U/L)
② 혈청 Albumin 감소, 3.2↓/3.8-5.3 (g/dL)
장기목표
대상자는 집으로 돌아갈 때 표준체중(IBW, ideal body weight)을 유지하거나 획득한다.(66.6kg)
일시
단기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2011-07-01 18:00
7월 6일까지 대상자의 체중이 2kg 증가한다.
식욕과 관련된 요구도를 파악한다.
① 좋아하는 음식에 대해 물어봤다.
(07/01 18:00)
② 치료과정에서의 기호식이에 대한 제한점에 대해 이유를 설명했다.
(07/01 18:00)
③ 빠른 건강호전이 빠른 퇴원과 기호식이 섭취에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했다.
(07/01 18:00)
지방변경식은 식이 중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량을 제외한 치료식. 고지혈증, 흡수불량증의 치료식. 담낭질환, 췌장질환, 간질환의 급성기에서 지방변이 있어 지방의 양을 줄일 때 처방.
7월 6일
10:00 체중측정결과 53.4kg.
(55.20kg
에서 1kg↑) 목표체중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대상자는 7월 6일자로 퇴원, 가정에서도 표준체중에 도달하기 위해 꾸준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필요하다.
식욕증가를 위한 신체적활동을 증가시킨다.
① 무리가 가지 않는 정도의 경한 운동을 격려했다.
(07/01 19:00)
② 대상자가 침상밖으로 나와 활동하도록 휴게실까지 모셔다드렸다.
(07/01 21:00)
경한 운동으로
식욕을 증가.
식욕증가를 위한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① 편안한 자세로 식사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정리했다.
(07/04 08:00)
② 보호자에게 음식을 자주 조금씩 제공하도록 설명했다.
(07/04 08:00)
즐거운 환경에서
먹도록 격려한다.
식욕자극에 도움.
Ⅲ. 결론
주님은 2011-07-06 퇴원. 일반화학검사, 응급검사(혈청전해질검사)에서 cholesterol, albumin은 정상이나, billirubin, AST, ALT등은 아직 비정상소견이다. 주호소인 상복부의 통증은 완화되었으나 가정에서의 식습관 조절과 금주, 운동요법이 꾸준히 필요한 상태이다. 식이요법으로 저지방식이와 무리가 가지 않는 경한 운동이 질환관리에 도움이 된다. 만성질환인 만큼 지속적인 관찰과 요양이 필요하다.
간호진단인 만성통증과 영양부족 중, 만성통증에 대한 목표는 전환, 이완요법으로 달성하였으나, 영양부족에 대한 목표인 체중증가에서는 계획한 2kg의 체중증가에는 부족한 1kg의 체중이 증가했다. 하지만 체중이 증가하고 있고 통증과 관련된 증상이나 징후가 없다는 것에서 대상자는 질환관리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추천자료
지방종 환자 (Benign lipomatous neoplasm of other sites) case study
동물 병원 실습
노화에 따른 소화기계의 변화
의학용어(간호실무용어) - 소화기계 (간담도)
알코올성 간경화(Liver cirrhosis-Alcohol)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입니다 - 주진단명: A...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응급,수술환자 간호 용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