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혼합을 방지하는게 목적이다. 상하혼합 가능하나 좌우혼합은 불가능하다.
일정한 유속으로 유입하는 양은 일정한 유속으로 유입량만큼 유출된다.
관형 반응조는 완전 혼합형 반응조 보다 부피가 적게 든다.->처리효율이 더 좋기 때문이다.
2) 회분식 반응조
반응물질을 채운 후 잘 혼합하여 반응이 종료된 후 혼합물을 배출하는 형식이다. 반응도중 물질의 유입과 유출이 없다.
BOD실험과 같이 정확한 반응을 필요한 곳에 쓰인다.
◆ 측정 원리
1. 반응조의 물리 수지식
2. 회분식 반응조의 물질 수지식
-유입과 유출이 ‘0’이므로 물질의 농도가 줄어드므로 농도변화량은 값이 된다.
-부피 안에서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량은 체적 부피 안에서의 반응속도와 농도의 곱과 같다.
3. 1차 반응,적분 유도 과정
◆ 실험 기구 및 시약
-메틸오렌지 용액, 비커, 석영 셀, 회분식 반응조, 바이알 병, 분광광도계
◆ 실험방법&시약 조재법
실험방법
1)메틸오렌지 용액, 비커, 회분식 반응조에 물을 일정량(40L) 주입
2)스위치를 키고 반응조를 가동
3)0.1M 10ml 메틸오렌지 지시약 주입
4)10초마다 반응조 내부용액을 바이알 병으로 채취(지시약 넣은 직후부터 5분간 채취)
5)채취한 용액을 분광광도계 510nm로 측정
6)측정값을 정리하여 검량선 작성
시약 조재법
0.1M 농도의 메틸오렌지 용액 만들기
-Xg(필요한 메틸 오렌지의 양)= 327.34g/mol(분자량) x 0.1mol/L(농도) x 0.1/1L(필요 용액의 부피) = 0.32734g 반올림하여 0.33g
메틸오렌지 0.33g에 10ml가 되도록 증류수를 붓는다
일정한 유속으로 유입하는 양은 일정한 유속으로 유입량만큼 유출된다.
관형 반응조는 완전 혼합형 반응조 보다 부피가 적게 든다.->처리효율이 더 좋기 때문이다.
2) 회분식 반응조
반응물질을 채운 후 잘 혼합하여 반응이 종료된 후 혼합물을 배출하는 형식이다. 반응도중 물질의 유입과 유출이 없다.
BOD실험과 같이 정확한 반응을 필요한 곳에 쓰인다.
◆ 측정 원리
1. 반응조의 물리 수지식
2. 회분식 반응조의 물질 수지식
-유입과 유출이 ‘0’이므로 물질의 농도가 줄어드므로 농도변화량은 값이 된다.
-부피 안에서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량은 체적 부피 안에서의 반응속도와 농도의 곱과 같다.
3. 1차 반응,적분 유도 과정
◆ 실험 기구 및 시약
-메틸오렌지 용액, 비커, 석영 셀, 회분식 반응조, 바이알 병, 분광광도계
◆ 실험방법&시약 조재법
실험방법
1)메틸오렌지 용액, 비커, 회분식 반응조에 물을 일정량(40L) 주입
2)스위치를 키고 반응조를 가동
3)0.1M 10ml 메틸오렌지 지시약 주입
4)10초마다 반응조 내부용액을 바이알 병으로 채취(지시약 넣은 직후부터 5분간 채취)
5)채취한 용액을 분광광도계 510nm로 측정
6)측정값을 정리하여 검량선 작성
시약 조재법
0.1M 농도의 메틸오렌지 용액 만들기
-Xg(필요한 메틸 오렌지의 양)= 327.34g/mol(분자량) x 0.1mol/L(농도) x 0.1/1L(필요 용액의 부피) = 0.32734g 반올림하여 0.33g
메틸오렌지 0.33g에 10ml가 되도록 증류수를 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