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가 저항인 경우에는 저항에 의해 전압만 떨어진다. 저항과 달리 축전기는 메모리 소자이다. 이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전기를 충전하였다가 다시 방전할 때 위상차가 생기는 것이다. 축전기의 특성에 의해 앞선 전류가 생성된다.
7. 결론
이번 실험에서는 다른 전기실험과 비교해 보았을 때 비교적 오차가 크게 측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적게는 3.03% 많게는 45.8% 까지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는 우리가 실험에서 사용하는 부하저항의 오차 또한 존재하고 축전기 또한 100%정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상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략 63%되는 지점을 사람의 눈으로 보며 어림잡아 판단하게 되고 그로인해 발생한 오차가 컸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더 정밀한 저항과 축전기를 사용하고 눈으로 어림잡아 측정하기 보다는 계산을 통하여 시상수 지점을 찾아야한다. 그러면 묵시적으로 인해 생기는 오차와 부품의 정확성에 의해 생기는 오차를 줄여 더욱 정밀한 실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함으로써 축전기의 충전, 방전되는 때의 전압을 쉽게 관찰 할 수 있어 축전기의 특성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7. 결론
이번 실험에서는 다른 전기실험과 비교해 보았을 때 비교적 오차가 크게 측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적게는 3.03% 많게는 45.8% 까지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는 우리가 실험에서 사용하는 부하저항의 오차 또한 존재하고 축전기 또한 100%정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상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략 63%되는 지점을 사람의 눈으로 보며 어림잡아 판단하게 되고 그로인해 발생한 오차가 컸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더 정밀한 저항과 축전기를 사용하고 눈으로 어림잡아 측정하기 보다는 계산을 통하여 시상수 지점을 찾아야한다. 그러면 묵시적으로 인해 생기는 오차와 부품의 정확성에 의해 생기는 오차를 줄여 더욱 정밀한 실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함으로써 축전기의 충전, 방전되는 때의 전압을 쉽게 관찰 할 수 있어 축전기의 특성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학물리실험 예비보고서 - HARE 장치에 의한 액체의 밀도
중화열측정실험_물리화학분야
일반물리학실험 4장 힘과 가속도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레포트 - 포물선운동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레포트 - 역학적에너지의 보존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레포트 - 2차원충돌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레포트 - 열의 일당량 측정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레포트 -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
물리학및실험2
일반물리실험 - 구심력측정
일반물리학실험 - 역학적 에너지 보존
일반물리학一般物理學실험 레포트-34장 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과 회절결과
물리실험 결과 레포트 보고서 - 구심력과 원운동 A+ 연세대
일반물리학실험 길이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