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p.2
Ⅱ. 본론 ...................................................................................... p.3-28
1. 몬테소리의 발달이론 ................................................................ p.3-5
1) 몬테소리 태아학의 이론
2) 몬테소리 인간발달의 이론
2. 몬테소리 부모교육의 이론 ........................................................ p.5-7
1) 몬테소리 부모교육의 이해
2) 부모들의 사명감
3) 부모의 역할
4) 부모들을 위한 제언
3.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영향 ........................................................ p.7-19
1)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2)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3) 정신지체아의 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
4.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 p.20
5.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교육현황 .................................................. p.21-28
1) 교육운영 현황과 교사교육에 관한 인식
2) 교육방법 관련 연구 동향
Ⅲ. 결론 ...................................................................................... p.29
Ⅳ. 참고문헌 ............................................................................... p.30
Ⅱ. 본론 ...................................................................................... p.3-28
1. 몬테소리의 발달이론 ................................................................ p.3-5
1) 몬테소리 태아학의 이론
2) 몬테소리 인간발달의 이론
2. 몬테소리 부모교육의 이론 ........................................................ p.5-7
1) 몬테소리 부모교육의 이해
2) 부모들의 사명감
3) 부모의 역할
4) 부모들을 위한 제언
3.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영향 ........................................................ p.7-19
1)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2)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3) 정신지체아의 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
4.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 p.20
5.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교육현황 .................................................. p.21-28
1) 교육운영 현황과 교사교육에 관한 인식
2) 교육방법 관련 연구 동향
Ⅲ. 결론 ...................................................................................... p.29
Ⅳ. 참고문헌 ............................................................................... p.30
본문내용
다음이 특수아 10.9%, 교사9.3%, 기타 7.1%, 초등학생 3.2%, 치매노인과 부모가 각각 2.2%, 영아 1.6%, 유치원생과 초등학생 둘 다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0%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논의와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몬테소리 교육 방법 관련 연구의 주제가 좀 더 다양해질 필요가 있다. 몬테소리 교육 방법 연구 중. 교육 사상 및 이론에 대한 연구가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전반적인 몬테소리 교육 사상을 포괄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몬테소리 교육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교구, 환경, 교사, 부모. 교육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 고, 실제적이지 못하다. 몬테소리 교육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국내 외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한 실제적이고, 다양한 주제들을 찾아내는 것은 몬테소리 교육방법 연구에 있어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둘째, 교사 교육 및 양성 과정의 프로그램과 이론적 연구의 통합 연구가 필요하다. 교사 교육 관련. 연구는 적지만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내용은 이론적 연구에서 강조 되고 있는 교사의 역할, 태도, 성에 대해서 다루기보다는 실제적으로 어떻게 교구를 중시하는가에 대한 교육만 강조되고 있다. 교사의 역할, 태도, 인성이 실제 현장에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처럼 보이고, 교사들에게 당면한 과제가 실제적인 교수 방법을 익히는 것이므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 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몬테소리가 중요하게 여겼던 교사의 역할은 조력자, 관찰자, 안내자로서의 교사이므로 기계적으로 교구 제시만을 잘 하는 교사는 몬테소리 환경의 일부인 교사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 다. 그러므로 교사 교육 및 양성 과정의 프로그램과 몬테소리 교사론에 대한 통합 연구를 통하여 좀 더. 깊이 있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몬테소리 교육방법에 관련한 다양한 맥락 속에서의 연구방법과 자료수집 방법들이 증가 하여야 한다.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논문들의 많은 부분이 문헌고찰에만 머물고 있다. 이로 인해 교육현장과 학계가 따로 분리되어 물과 기름처럼 따로 성장하고 있다. 이미 100년을 지나온 몬테소리 교육방법이 더욱 더 발전해 나가 기 위해서는 몬테소리 연구가 실천적인 측면에서 좀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연구들의 대부분은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기 때에 실험, 조사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특히, 몬테소리 교육에서는 유아 개개인의 발달 상태를 잘 알고 그에 맞게 교구를 제시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유아의 발달적 변화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질적 접근을 통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몬테소리 교육방법에서 강조되고 있는 ‘관찰’은 질적 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Ⅲ. 결론
몬테소리가 제시한 이론이 태내기 때부터 21세까지의 삶을 아우를 수 있는 시기별 발달과업, 여러 종류의 민감기들이 있고, 부모교육을 위해서도 따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몬테소리 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문은 레포트에 첨부한 내용 이외에도 수학저성취 유아의 수학개념에 미치는 효과, 발달지체유아의 지각-운동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신지체아의 수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등 매우 다양했다. 다양한 영유아들의 다양한 영역들에 미치는 효과를 논문을 통해 조사해 볼만한 주제가 되었다는 것은 그 만큼 그 효과도 있거나 이슈가 될 만한 부분들이기 때문일 것이라 추측한다. 이러한 면은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얼마만큼 괜찮은 프로그램인지를 입증해주기도 할 것이다. 정신지체아동이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거기에 맞게 고안된 것이어서 일반 아동 외에도 지적능력 발달에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이 흥미롭다.
하지만 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석사학위 논문이 전체 비율의 41.1%를 차지한 것에 비해 박사학위 논문은 2.4%로. 박사학위 논문의 수가 석사학위 논문의 수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이는 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연구의 수량이 계속적으로 증가 하나 박사 논문을 통한 좀 더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는 의견을 본문 내용 중에서 볼 수 있었다.
우리들은 지금 영유아프로그램에 대해 배우는 학생으로써 만약 대학원으로 진학을 하게 된다면 각 논문에서 제시하는 제언들을 이루내기 위해 적절한 실질적 방안을 연구해보는 것으로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보육교사로 일하게 된다면, 비단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아니라 프뢰벨,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젝트 등 어떤 프로그램이든 각각 어린이집의 운영 가치관과 적합하도록 프로그램의 장단점, 기본 개념을 잘 이해하여 일관성있고 적절하게 잘 활용할 수 있는 자세가 좋은 보육교사가 되는 것이 우리들이 배운 바를 적절하게 실천 할 수 있는 방법들이 될 것이다.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꼼꼼하게 다양한 각도로 바라볼 수 있는 과제였다.
Ⅳ. 참고문헌
1) 조성자, 『몬테소리 과학적 교육학, 신정, 2006, pp42-48, 50-69. 118-127
2) 안필자,「몬테소리프로그램과 유아사회성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상대학교대학원, 2008
3) 이영미,「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연구 동향(1969~2008)」,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4) 이은정,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5) 정말숙,「몬테소리 감각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6) 황현숙,「몬테소리 교육운영 현황과 교사교육에 관한 인식조사」,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석사논문
7) 공성희, 몬테소리 우수사례 1, http://cafe.naver.com/sunnyglo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08, 2009년 3월 21일
이상과 같은 논의와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몬테소리 교육 방법 관련 연구의 주제가 좀 더 다양해질 필요가 있다. 몬테소리 교육 방법 연구 중. 교육 사상 및 이론에 대한 연구가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전반적인 몬테소리 교육 사상을 포괄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몬테소리 교육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교구, 환경, 교사, 부모. 교육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 고, 실제적이지 못하다. 몬테소리 교육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국내 외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한 실제적이고, 다양한 주제들을 찾아내는 것은 몬테소리 교육방법 연구에 있어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둘째, 교사 교육 및 양성 과정의 프로그램과 이론적 연구의 통합 연구가 필요하다. 교사 교육 관련. 연구는 적지만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내용은 이론적 연구에서 강조 되고 있는 교사의 역할, 태도, 성에 대해서 다루기보다는 실제적으로 어떻게 교구를 중시하는가에 대한 교육만 강조되고 있다. 교사의 역할, 태도, 인성이 실제 현장에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처럼 보이고, 교사들에게 당면한 과제가 실제적인 교수 방법을 익히는 것이므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 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몬테소리가 중요하게 여겼던 교사의 역할은 조력자, 관찰자, 안내자로서의 교사이므로 기계적으로 교구 제시만을 잘 하는 교사는 몬테소리 환경의 일부인 교사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 다. 그러므로 교사 교육 및 양성 과정의 프로그램과 몬테소리 교사론에 대한 통합 연구를 통하여 좀 더. 깊이 있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몬테소리 교육방법에 관련한 다양한 맥락 속에서의 연구방법과 자료수집 방법들이 증가 하여야 한다.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논문들의 많은 부분이 문헌고찰에만 머물고 있다. 이로 인해 교육현장과 학계가 따로 분리되어 물과 기름처럼 따로 성장하고 있다. 이미 100년을 지나온 몬테소리 교육방법이 더욱 더 발전해 나가 기 위해서는 몬테소리 연구가 실천적인 측면에서 좀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연구들의 대부분은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기 때에 실험, 조사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특히, 몬테소리 교육에서는 유아 개개인의 발달 상태를 잘 알고 그에 맞게 교구를 제시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유아의 발달적 변화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질적 접근을 통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몬테소리 교육방법에서 강조되고 있는 ‘관찰’은 질적 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Ⅲ. 결론
몬테소리가 제시한 이론이 태내기 때부터 21세까지의 삶을 아우를 수 있는 시기별 발달과업, 여러 종류의 민감기들이 있고, 부모교육을 위해서도 따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몬테소리 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문은 레포트에 첨부한 내용 이외에도 수학저성취 유아의 수학개념에 미치는 효과, 발달지체유아의 지각-운동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신지체아의 수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등 매우 다양했다. 다양한 영유아들의 다양한 영역들에 미치는 효과를 논문을 통해 조사해 볼만한 주제가 되었다는 것은 그 만큼 그 효과도 있거나 이슈가 될 만한 부분들이기 때문일 것이라 추측한다. 이러한 면은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얼마만큼 괜찮은 프로그램인지를 입증해주기도 할 것이다. 정신지체아동이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거기에 맞게 고안된 것이어서 일반 아동 외에도 지적능력 발달에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이 흥미롭다.
하지만 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석사학위 논문이 전체 비율의 41.1%를 차지한 것에 비해 박사학위 논문은 2.4%로. 박사학위 논문의 수가 석사학위 논문의 수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이는 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연구의 수량이 계속적으로 증가 하나 박사 논문을 통한 좀 더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는 의견을 본문 내용 중에서 볼 수 있었다.
우리들은 지금 영유아프로그램에 대해 배우는 학생으로써 만약 대학원으로 진학을 하게 된다면 각 논문에서 제시하는 제언들을 이루내기 위해 적절한 실질적 방안을 연구해보는 것으로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보육교사로 일하게 된다면, 비단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아니라 프뢰벨,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젝트 등 어떤 프로그램이든 각각 어린이집의 운영 가치관과 적합하도록 프로그램의 장단점, 기본 개념을 잘 이해하여 일관성있고 적절하게 잘 활용할 수 있는 자세가 좋은 보육교사가 되는 것이 우리들이 배운 바를 적절하게 실천 할 수 있는 방법들이 될 것이다.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꼼꼼하게 다양한 각도로 바라볼 수 있는 과제였다.
Ⅳ. 참고문헌
1) 조성자, 『몬테소리 과학적 교육학, 신정, 2006, pp42-48, 50-69. 118-127
2) 안필자,「몬테소리프로그램과 유아사회성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상대학교대학원, 2008
3) 이영미,「몬테소리 교육방법 관련 연구 동향(1969~2008)」,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4) 이은정,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5) 정말숙,「몬테소리 감각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6) 황현숙,「몬테소리 교육운영 현황과 교사교육에 관한 인식조사」,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석사논문
7) 공성희, 몬테소리 우수사례 1, http://cafe.naver.com/sunnyglo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08, 2009년 3월 21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