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행정(Edacational Administration)
1. 교육행정과 경영의 개념
2. 교육행정의 성격
3. 교육행정의 영역
4. 교육행정의 기본원리
5. 교육행정의 기술(技術):
1. 교육행정과 경영의 개념
2. 교육행정의 성격
3. 교육행정의 영역
4. 교육행정의 기본원리
5. 교육행정의 기술(技術):
본문내용
정-자주성보장 규정
5)적도집권(適度集權=optimum centralization)의 원리: 집권주의(centralization)+분권주의(decentralization)의 조응
-중앙집권=행정의 능률향상. 동등기회. 정책의 일관성유지(장점)↔ 획일화, 특수성무시(단점)
-지방분권=지방의 특수성, 민의반영(장점)↔신속성보장이 어려움, 정책의 일관성부재
6)전문성의 원리: 교육행정가의 전문성 소유(교육의 특수성+행정이론과 기술)
교사의 전문성(자격증), 2014년도부터 교육의원 선거폐지
7)효율성의 원리: 효율성이란 능률성과 효과성 동시 표현
-능률성: 경제성의 원리로서 최소경비로 최대성과 담보
-효과성: 목표의 달성도
*임규진, 임연기
①법규면:법치행정, 기회균등,자주성,적도집권
②운영면
ㆍ타당성(validity): 교육행정이 목적에 부합. 괴리가 없는 경우
ㆍ민주성(democracy): 독단과 편견 배제. 광범한 cy의 참여보장(대중적 민의반영)
ㆍ능률성(efficiency): 경제성 효율성의 원리(장기적, 무형적, 사회적 능률중시 or 고려)
ㆍ적응성(adaptability): 변화에 대해 순응하는 원리(사회변화, 이념, 제도)
=사회변화에 순응, 질서 있게 통제정리(統整) 조화시키는 능력
ㆍ안정성(stability): 일관성의 원리(가치, 계속성. 강화. 발전성 고려)↔적응성의 원리
ㆍ균형성(balance): 원리의 내면에 담겨있는 사고 작용
5.교육행정의 기술(技術): 교육행정가가 직무를 수행하는 기술=직무능력
1)katz의 3가지 유형: 과업수행성과→ 과업수행기술>인성특성
ㆍ사무처리기술(technical):실무적 기술, 어떤 특수한 활동의 방법, 절차, 과정과 기법에 대한 충분한 숙지(전문적 기술, 분석능력)→조직상 하위계층 행정가에게 요구
ㆍ인화적 기술(human):타인에 대한 적절한 이해와 인식, 공감대를 형성하는 기술
→조직상 상사의 지시와 하위계층의 요구 수렴 역할
ㆍ구상적 기술(conceptual):통합적 또는 종합적 기술=전체 상황적 기술
2)katz의 3가지 유형의 시사점: 효과적인 행정행위를 위해 세 가지 모두 필요.
책임수준이 낮은 계층의 직무-사무적 기술의 영역습득이 중요, 책임수준이 높은 계층-통합적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 단 인간관계기술은 모든 수준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다는 의미 강조
*Wile & Bondi의 4가지 기술:
ㆍ사무적기술 ㆍ인간관계 기술 ㆍ수업기술 ㆍ정치적기술
5)적도집권(適度集權=optimum centralization)의 원리: 집권주의(centralization)+분권주의(decentralization)의 조응
-중앙집권=행정의 능률향상. 동등기회. 정책의 일관성유지(장점)↔ 획일화, 특수성무시(단점)
-지방분권=지방의 특수성, 민의반영(장점)↔신속성보장이 어려움, 정책의 일관성부재
6)전문성의 원리: 교육행정가의 전문성 소유(교육의 특수성+행정이론과 기술)
교사의 전문성(자격증), 2014년도부터 교육의원 선거폐지
7)효율성의 원리: 효율성이란 능률성과 효과성 동시 표현
-능률성: 경제성의 원리로서 최소경비로 최대성과 담보
-효과성: 목표의 달성도
*임규진, 임연기
①법규면:법치행정, 기회균등,자주성,적도집권
②운영면
ㆍ타당성(validity): 교육행정이 목적에 부합. 괴리가 없는 경우
ㆍ민주성(democracy): 독단과 편견 배제. 광범한 cy의 참여보장(대중적 민의반영)
ㆍ능률성(efficiency): 경제성 효율성의 원리(장기적, 무형적, 사회적 능률중시 or 고려)
ㆍ적응성(adaptability): 변화에 대해 순응하는 원리(사회변화, 이념, 제도)
=사회변화에 순응, 질서 있게 통제정리(統整) 조화시키는 능력
ㆍ안정성(stability): 일관성의 원리(가치, 계속성. 강화. 발전성 고려)↔적응성의 원리
ㆍ균형성(balance): 원리의 내면에 담겨있는 사고 작용
5.교육행정의 기술(技術): 교육행정가가 직무를 수행하는 기술=직무능력
1)katz의 3가지 유형: 과업수행성과→ 과업수행기술>인성특성
ㆍ사무처리기술(technical):실무적 기술, 어떤 특수한 활동의 방법, 절차, 과정과 기법에 대한 충분한 숙지(전문적 기술, 분석능력)→조직상 하위계층 행정가에게 요구
ㆍ인화적 기술(human):타인에 대한 적절한 이해와 인식, 공감대를 형성하는 기술
→조직상 상사의 지시와 하위계층의 요구 수렴 역할
ㆍ구상적 기술(conceptual):통합적 또는 종합적 기술=전체 상황적 기술
2)katz의 3가지 유형의 시사점: 효과적인 행정행위를 위해 세 가지 모두 필요.
책임수준이 낮은 계층의 직무-사무적 기술의 영역습득이 중요, 책임수준이 높은 계층-통합적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 단 인간관계기술은 모든 수준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다는 의미 강조
*Wile & Bondi의 4가지 기술:
ㆍ사무적기술 ㆍ인간관계 기술 ㆍ수업기술 ㆍ정치적기술
추천자료
[교육행정 (A+완성)] 우리나라의 교원연수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시
지방교육자치의 의의, 지방교육자치의 기본원리,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현황, 지방교육의 기능...
[교육행정] 교육행정 요약, 교육행정 핵심정리 노트
[행정학 위기론][행정학교육의 동향][행정학 교과목][행정학위기극복][행정학][행정학교육]행...
[교육재정][교육행정][지방재정][유치원교육][영재교육]교육재정의 중요성, 교육재정의 실태,...
[교육행정]교원능력평가제도의 쟁점및 개선과제
[지방행정][공과][경영수익사업][교육행정][주민투표제도][연구방향]지방행정의 성격, 지방행...
[지방행정][지방행정조직][교육행정][교과체계][인사행정]지방행정의 특성, 지방행정의 실태,...
[행정학교육][행정학교육의 교과과정][행정학교육의 학부제][행정학교육의 방향]행정학교육의...
교육과정과 자격증의 연계, 계발활동과 특기적성교육의 연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
[일본행정, 행정정보화, 행정체제, 행정지도, 행정개혁, 교육행정]일본행정과 행정정보화, 일...
[보육시설 운영관리] 교육행정과정화이론 - 개념정리(행정, 교육행정, 과정, 교육행정 과정이...
[교육학개론] 교육敎育행정의 조직의 이해(중앙교육 행정조직, 지방교육 행정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