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유 알아보기
비가 많이 오는 날 우리들의 생활모습에 대해 이야기 한다.
-우산을 씁니다.
-야외활동을 하지 못합니다.
농사를 지을 때 비의 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한다.
-뿌리가 썩습니다.
-빗물에 쓸려 내려갑니다.
-농작물이 자라지 못합니다.
-말라죽습니다.
비의 양을 알면 좋은 점에 대해 이야기한다.
-비로 인한 피해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비가 너무 많이 오거나 적게 오면 우리 생활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10’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발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활동2 >
그릇의 모양에 따른 비의 양 비교하기
모양이 다른 그릇 세 개를 준비하여 물뿌리개로 빗물 받는 실험을 하게 한다.
-물의 높이는 각각 어떠한가요?
-물의 높이가 다른 이유는 무엇입니까?
비의 양을 측정하기에 알맞은 그릇의 모양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게 한다.
-어떤 모양의 그릇으로 비의 양을 재는 것이 좋을까요?
< 활동2 >
그릇의 모양에 따른 비의 양 비교하기
모양이 다른 그릇 세 개를 준비하여 물뿌리개로 빗물 받는 실험을 한다.
-물의 높이가 전부 다릅니다.
-그릇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비의 양을 측정하기에 알맞은 그릇의 모양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위, 아래의 너비가 같은 둥근 모양의 그릇을 사용합니다.
10’
▶물뿌리개, 모양이 다른 컵 세 개
※비가 오는 날 실험하면 좋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물뿌리개를 이용한다.
※각각의 그릇에 동일한 양의 물이 들어 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형태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분)
자료(▶) 및 유의점(※)
정리 및 반성
< 활동3 >
비의 양을 측정하는 도구 알아보기
우량계 사진을 보여주고 모양을 살펴보게 한다.
-우량계는 어떤 모양인가요?
-우량계의 일부분을 땅 위로 올게 오게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비의 양을 재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게 한다.
-우량계를 통해 비의 양을 재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
< 활동3 >
비의 양을 측정하는 도구 알아보기
우량계 사진을 보여주고 모양을 살펴본다.
-원통 모양으로 생겼습니다.
-위, 아래의 너비가 같습니다.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빗물이 튀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줍니다.
-흙이나 모래가 함께 들어가는 것을 막아줍니다.
비의 양을 재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비가 내리면 둥근 통의 깔때기 모양처럼 생긴 통로를 통해 빗물이 병에 모입니다.
-나중에 빗물을 저장하는 통을 꺼내, 병 속에 담긴 빗물의 양을 잰다.
8’
▶우량계 사진
※우량계 내부의 사진을 자세히 살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배운 것 확인하기>
간단한 문제로 학습내용을 다시 확인해 보게 한다.
간단한 문제로 학습내용을 다시 확인해 보게 한다.
4’
▶문제 ppt
<다음차시 예고하기>
다음 시간에는 비의 양을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모든 활동을 마치고 다음 수업을 준비한다.
1’
※판서계획
학습 문제 :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고 측정해 봅시다.
학습 순서 : <활동1>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 알아보기
<활동2> 그릇의 모양에 따른 비의 양 비교하기
<활동3> 비의 양을 측정하는 도구 알아보기
※ 본 차시 학습 평가
평 가 내 용
평 가 기 준
평 가 시 기
평 가 방 법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고 측정할 수 있는가?
상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고 측정해 볼 수 있다.
수업 중
관찰평가
중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지만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고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비가 많이 오는 날 우리들의 생활모습에 대해 이야기 한다.
-우산을 씁니다.
-야외활동을 하지 못합니다.
농사를 지을 때 비의 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한다.
-뿌리가 썩습니다.
-빗물에 쓸려 내려갑니다.
-농작물이 자라지 못합니다.
-말라죽습니다.
비의 양을 알면 좋은 점에 대해 이야기한다.
-비로 인한 피해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비가 너무 많이 오거나 적게 오면 우리 생활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10’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발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활동2 >
그릇의 모양에 따른 비의 양 비교하기
모양이 다른 그릇 세 개를 준비하여 물뿌리개로 빗물 받는 실험을 하게 한다.
-물의 높이는 각각 어떠한가요?
-물의 높이가 다른 이유는 무엇입니까?
비의 양을 측정하기에 알맞은 그릇의 모양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게 한다.
-어떤 모양의 그릇으로 비의 양을 재는 것이 좋을까요?
< 활동2 >
그릇의 모양에 따른 비의 양 비교하기
모양이 다른 그릇 세 개를 준비하여 물뿌리개로 빗물 받는 실험을 한다.
-물의 높이가 전부 다릅니다.
-그릇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비의 양을 측정하기에 알맞은 그릇의 모양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위, 아래의 너비가 같은 둥근 모양의 그릇을 사용합니다.
10’
▶물뿌리개, 모양이 다른 컵 세 개
※비가 오는 날 실험하면 좋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물뿌리개를 이용한다.
※각각의 그릇에 동일한 양의 물이 들어 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형태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분)
자료(▶) 및 유의점(※)
정리 및 반성
< 활동3 >
비의 양을 측정하는 도구 알아보기
우량계 사진을 보여주고 모양을 살펴보게 한다.
-우량계는 어떤 모양인가요?
-우량계의 일부분을 땅 위로 올게 오게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비의 양을 재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게 한다.
-우량계를 통해 비의 양을 재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
< 활동3 >
비의 양을 측정하는 도구 알아보기
우량계 사진을 보여주고 모양을 살펴본다.
-원통 모양으로 생겼습니다.
-위, 아래의 너비가 같습니다.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빗물이 튀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줍니다.
-흙이나 모래가 함께 들어가는 것을 막아줍니다.
비의 양을 재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비가 내리면 둥근 통의 깔때기 모양처럼 생긴 통로를 통해 빗물이 병에 모입니다.
-나중에 빗물을 저장하는 통을 꺼내, 병 속에 담긴 빗물의 양을 잰다.
8’
▶우량계 사진
※우량계 내부의 사진을 자세히 살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배운 것 확인하기>
간단한 문제로 학습내용을 다시 확인해 보게 한다.
간단한 문제로 학습내용을 다시 확인해 보게 한다.
4’
▶문제 ppt
<다음차시 예고하기>
다음 시간에는 비의 양을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모든 활동을 마치고 다음 수업을 준비한다.
1’
※판서계획
학습 문제 :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고 측정해 봅시다.
학습 순서 : <활동1>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 알아보기
<활동2> 그릇의 모양에 따른 비의 양 비교하기
<활동3> 비의 양을 측정하는 도구 알아보기
※ 본 차시 학습 평가
평 가 내 용
평 가 기 준
평 가 시 기
평 가 방 법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고 측정할 수 있는가?
상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고 측정해 볼 수 있다.
수업 중
관찰평가
중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지만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
비의 양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고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추천자료
수질오염과 우리의 생활
오늘날 우리의 식생활
우리조상들의 식생활 (사진재중)
숲이 우리 생활에 끼치는 영향
인터넷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우리들의 경제생활과 과정에서 선택의 의미와 중요성
스마트폰과 우리의 생활변화, 그리고 스마트폰 사업 참여자들의 수익구조에 대한 보고서
초등2) <(슬기로운 생활)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슬기로운 생활 74~75 쪽, (5/6)차시> 6....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하는 행동들 가운데 (1) 고전적 조건형성과 (2) 조작적 조건형성으로 설...
우리 식생활(외식, 가공식품)에서 OEM 방식에 관한 예를 알아보세요.
방송통신대학교-생활과건강: 우리사회에서 남용되고 있는 약물,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사례
<유아사회교육 활동계획안> 사회현상 (만 5세) - 주제 : 환경과 생활 / 소주제 : 자연과 우리...
[유아교과교육론] <교육(부분)활동(수업)계획안> (만4세/이야기 나누기/대그룹) - 활동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