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북한연극,
본문내용
측면에서 보면 거의 모든 북한연극이 ‘<성황당>식 연극’으로 통일되어 있는 셈이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면 북한연극의 이해는 ‘<성황당>식 연극’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하여야 하고, 또한 거기에서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에서 전개되는 모든 연극이 ‘<성황당>식 연극’으로 창조되는 한 북한연극의 다양성은 싹특 길이 없게 된다는 점에서 적잖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도적 양식이 없이 다양한 연극양식이 얼크러져 있는 남한 연극에 비할 때 두드러지는 북한연극의 장점이, 역으로 북한 연극 발전의 족쇄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생기는 것도 그 때문이다.
참고문헌
<자료>
『문학예술사전』(상),(하).
『조선문학』. 『조선예술』.
<논문 및 단행본>
서연호,『한국연극전사』, 연극과 인간, 2006.
고설봉,『이야기 근대 연극사』, 창작마을, 2000.
박영정,『북한 연극/희곡의 분석과 전망』, 연극과 인간, 2007.
강 진, 『<성황당>식 혁명연극 리론』, 문예출판사, 1985.
서연호,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Ⅰ』, 고려원, 1990.
문화체육부, 『북한의 공연예술단체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문화체육부, 1997.
참고문헌
<자료>
『문학예술사전』(상),(하).
『조선문학』. 『조선예술』.
<논문 및 단행본>
서연호,『한국연극전사』, 연극과 인간, 2006.
고설봉,『이야기 근대 연극사』, 창작마을, 2000.
박영정,『북한 연극/희곡의 분석과 전망』, 연극과 인간, 2007.
강 진, 『<성황당>식 혁명연극 리론』, 문예출판사, 1985.
서연호,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Ⅰ』, 고려원, 1990.
문화체육부, 『북한의 공연예술단체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문화체육부, 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