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과 유형
II. 건강가정서비스 전달체계-건강가정지원센터
III. 건강가정서비스 전달체계의 조직
II. 건강가정서비스 전달체계-건강가정지원센터
III. 건강가정서비스 전달체계의 조직
본문내용
년 현
재). 건강가정서비스 전달체계는 복지여성정책실 중 가족여성담당관이 핵심
3) 시군구 기초자치단체의 전담조직
: 시군구의 시청, 군청, 구청에서 건강가정사업을 수행하는 전담 부서
시·군 : 광역자치단체 중 9도 아래 있는 시 또는 군
예) 경기도 성남시, 전라남도 강진군 등
구 : 특별시와 광역시 아래에 있는 구
예)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구광역시 수성구
: 예를 들어 인천광역시 남구의 경우 주민생활지원국 산하 가정복지과
(2010년 현재)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1)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 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 분리(2009년 1월)
: 현재 전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총괄(2010년 현재)
출처: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2010년 현재)
1) 사업기획팀
: 신규사업개발 및 발굴, 지역공동협력사업, 공통프로그램, 문화사업, 패밀리데이,
홍보, 소식지발간 등
: 건강가정사업 및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의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
2) 교육평가팀
: 지역센터 지원, 평가사업, 실적관리, 실무 및 역량강화 교육, 사회복지시설 정보
시스템, 통합홈페이지 운영 등
3) 지원사업팀
: 아이돌보미지원사업, 장애아가족양육지원사업
4)운영지원팀
: 인사, 직원교육, 조직 및 제규정관리, 예산 및 결산, 관공서 관련 업무, 문서시
설대표전화 관리
2) 광역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출처: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2010년 현재)
3)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 지역내 주민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건강가정사업을 수행하는 터미널
* 충청남도 천안시 건강가정지원센터
출처: 충청남도 천안시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건강가정기본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상담팀,
교육팀, 문화팀을 기본적으로 두어야 함
: 그 외 필요에 따라 조직편성
참고문헌
건강가정론 조희금, 김경신 외 3명 저 | 신정 |
가족복지론 이영실, 윤대중 외 3명 저 | 양서원 |
건강가정론 윤경자, 김정옥 외 3명 저 | 공동체 |
다문화가족복지론 최현미, 이혜경 외 3명 저 | 양서원 |
사회복지학개론 원리와 실제 강욱모(교수), 김성천 외 3명 저 | 학지사 |
가정학원론 유영주(교수) 저 | 신광출판사 |
건강가정론 이기숙(교수), 도미향 외 3명 저 | 신정 |
건강가정론 김익균(교수) 저 | 파워북 |
건강가정론 김윤재, 김은희 외 1명 저 | 동문사 |
재). 건강가정서비스 전달체계는 복지여성정책실 중 가족여성담당관이 핵심
3) 시군구 기초자치단체의 전담조직
: 시군구의 시청, 군청, 구청에서 건강가정사업을 수행하는 전담 부서
시·군 : 광역자치단체 중 9도 아래 있는 시 또는 군
예) 경기도 성남시, 전라남도 강진군 등
구 : 특별시와 광역시 아래에 있는 구
예)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구광역시 수성구
: 예를 들어 인천광역시 남구의 경우 주민생활지원국 산하 가정복지과
(2010년 현재)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1)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 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 분리(2009년 1월)
: 현재 전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총괄(2010년 현재)
출처: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2010년 현재)
1) 사업기획팀
: 신규사업개발 및 발굴, 지역공동협력사업, 공통프로그램, 문화사업, 패밀리데이,
홍보, 소식지발간 등
: 건강가정사업 및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의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
2) 교육평가팀
: 지역센터 지원, 평가사업, 실적관리, 실무 및 역량강화 교육, 사회복지시설 정보
시스템, 통합홈페이지 운영 등
3) 지원사업팀
: 아이돌보미지원사업, 장애아가족양육지원사업
4)운영지원팀
: 인사, 직원교육, 조직 및 제규정관리, 예산 및 결산, 관공서 관련 업무, 문서시
설대표전화 관리
2) 광역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출처: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2010년 현재)
3)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
: 지역내 주민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건강가정사업을 수행하는 터미널
* 충청남도 천안시 건강가정지원센터
출처: 충청남도 천안시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
: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건강가정기본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상담팀,
교육팀, 문화팀을 기본적으로 두어야 함
: 그 외 필요에 따라 조직편성
참고문헌
건강가정론 조희금, 김경신 외 3명 저 | 신정 |
가족복지론 이영실, 윤대중 외 3명 저 | 양서원 |
건강가정론 윤경자, 김정옥 외 3명 저 | 공동체 |
다문화가족복지론 최현미, 이혜경 외 3명 저 | 양서원 |
사회복지학개론 원리와 실제 강욱모(교수), 김성천 외 3명 저 | 학지사 |
가정학원론 유영주(교수) 저 | 신광출판사 |
건강가정론 이기숙(교수), 도미향 외 3명 저 | 신정 |
건강가정론 김익균(교수) 저 | 파워북 |
건강가정론 김윤재, 김은희 외 1명 저 | 동문사 |
추천자료
통합적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 모색
가족복지 시설 조사
사회복지서비스 설문지조사,가족복지서비스조사사례,
가족지원서비스의 개념과 현행 서비스 내용분석
건강가정사가 담당해야하는 역할은 무엇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식이 요구되는지...
다문화가정이 한국 사회에서 건강한 하나의 가족 형태로 자리잡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할 수 ...
건강가정센터의 개념과 역할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토대로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을 구성 - 사례관리를 통한 ...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전달체계에 대해 알아 보고 우리나라의 가족복지 정책에 대해 자신의 생...
가족복지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쓰시오. (가족복지 발전 방안)
(비영리기관운영관리 공통) 가정복지관련 비영리기관의 프로그램에 이용자로 참여하고 기관의...
성북구 건강 가정 지원 센터
건강가정론)건강가정기본법의 각 조문들을 찾아 읽고 그 가운데 특히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