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음악] 컴퓨터음악학습의 가치와 활용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컴퓨터음악] 컴퓨터음악학습의 가치와 활용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컴퓨터 음악이란?
2. 컴퓨터음악의 탄생
1) 구체음악 (Musique Concrete)
2) 전자 음악
3) 컴퓨터 음악
3. 컴퓨터 음악에 필요한 장비
1) 컴퓨터
2) 스피커
3) 오디오 인터페이스
4. 미디 인터페이스와 컴퓨터음악
5.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의 종류
1) 시퀀서(Sequence) 프로그램
2) 노테이션(Notation) 프로그램
3) 음색편집(Editor) 프로그램
4) 디지털 오디오(Digital Audio) 프로그램
6. MIDI 학습의 교육적 가치
7. 컴퓨터 음악(MIDI) 학습의 문제점
8. 음악교육에서 컴퓨터음악의 활용
1) 가창수업에서의 컴퓨터음악
2) 기악수업에서의 컴퓨터음악
3) 창작수업에서의 컴퓨터음악
4) 감상수업에서의 컴퓨터음악

참고자료

본문내용

를 직접 제작하거나 제작되어 있는 기존의 미디파일의 반주파트를 Cubase로 불러들여 음색을 지정하고 재생시켜서 리코더나 멜로디언 등의 독주, 중주, 합주시 반주로 활용하면 좋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박자에 맞춰 연주하는 것은 기악수업에 흥미를 갖고 참여하게 되어 박자의 빠르기를 저절로 익히게 되고 교사가 없이도 학생 스스로 반주에 맞추어 연습할 수 있어 빠르기 유지 연습에 효과적이며 리듬과 화성에 대한 감각 형성을 이끌어 낼 수 있으므로 학교음악 수업에서의 컴퓨터음악의 활용도는 꽤 높다고 할 수 있겠다.
3) 창작수업에서의 컴퓨터음악
모의수업에서처럼 Cubase를 이용해 노래의 선율과 예시화음만 입력한 미디파일을 준비해 모둠별로 파일을 열어 곡에 어울리는 화음을(Ⅰ, Ⅳ, Ⅴ7) 입력한 후 소리를 들어보고 코드 선택이 적절하였는지 확인하면서 수정하는 단계를 여러 번 거쳐 곡을 완성 시키도록 하는데 이러한 수업은 학생들 자신이 원하는 음악소리를 표현하고자 하는 음악적 아이디어와 구성력만 있으면 다양한 음색(어쿠스틱악기, 전자악기, 주변의 소리, 타악기 소리)과 여러 가지 소리편집 기능들 (이조, 특수한 음향효과, 음색변화, 빠르기 변화 등)을 이용하여 음악을 작곡편곡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업은 기초설문조사 결과에서 나타나는“학교음악의 창작(가락짓기)영역은 지루한 분야이다.”라는 학생들의 선입견을 줄이고 모의수업에서의 학생들의 평가에서처럼“내가 만든 음악이 연주되어 지는 것이 즐겁고 재미있었다. 창작에 대해 어렵다는 생각을 조금은 덜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개념전환이 된다. 이처럼 학교음악수업에 컴퓨터 음악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있어 음악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을 줄이고 음악자체로서 즐기며 자연스럽게 음악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경험이 되는 중요한 수업활동도구이며 이러한 기능을 살려 학교수업에 컴퓨터음악의 활용이 많아져야 하겠다.
4) 감상수업에서의 컴퓨터음악
감상수업에서 음악을 듣는 것만이 아닌 음악의 흐름을 따라가며 음표 위의 커서가 움직이는 미디 악보와 영상음악을 사용하는 것으로 감상악곡에 대해 흥미와 이해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인터넷의 웹사이트에서 수업에 쓸 감상곡을 미디 음악파일로 다운로드 받아 악보와 함께 음악을 듣도록 하거나, 미디파일 수집이 어려운 경우는 Encore, NWC, Finale등의 사보용 음악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교사가 직접 감상악곡의 주제 악보를 작성해 놓는다. 학생은 모니터 상의 악보를 보면서 감상 할 수 있다. 음악 감상수업은 전곡 감상뿐만이 아닌 감상 목표에 따라 특정 부분만을 반복적이고 집중적으로 듣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악곡의 부분 감상을 위해 악곡의 해당 부분을 발췌하고 편집하여 녹음하는 작업이 요구되는데 이때는 사운드 포지(Sound Forge), 골드웨이브(Gold Wave), 쿨 에디트(Cool edit)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편집할 수 있다.
웹사이트에서 필요한 음악파일을 mp3로 다운 받거나, wav29)파일을 mp3로 변환시키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 오디오 CD의 음악파일로 변환시킨 다음 음악 편집 소프트웨어로 감상할 곡을 주제별, 성부별, 동기별로 감상 학습목표에 따라 악곡을 부분별로 나누어 편집하여 악곡의 특징이나 음악적 개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체계화된 감상 수업을 준비 하도록 한다.
시퀀싱 프로그램인 Cubase, Cake wark나 재생 소프트웨어인 winamp, Mediaplayer 등을 통해 감상곡을 Play하면 초단위로 연주시간이 표시되어 악곡의 중간 부분이나 주제부분등을 쉽게 찾아 들어 볼 수가 있으므로 특정 부분의 감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교사는 곡 중간의 특정 부분을 들려주고 어느 부분인지 어떤 주제인지 어떤 악기가 주제와 대선율을 이루고 있는지 등의 형식적 단락과 관련된 질문을 하면서 악곡 형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고 이러한 수업방법에 의해 학생들은 기존 악보만 가지고 하는 수업에 비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음악형식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미디 음악파일은 녹음이나 재생 연주 시 간단한 마우스 조작에 의한 메뉴 기능을 사용해 음색이나 빠르기, 셈여림, 각 파트별 음량 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감상 곡을 여러 가지 음색으로 들어보고 각각의 음악적요소가 곡의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는 수업을 하여도 좋다. 학생 스스로 감상곡의 음악적 요소를 자유롭게 변형해보면서 감상해보는 활동은 감상수업을 창의적 활동과 연계시켜 수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감상 수업에서는 단순히 들려오는 소리를 소극적으로 듣는 활동에 그치지 말고, 음악을 집중하여 듣고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요소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감상 활동은 학생들에게 음악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활동이므로 다양한 소리를 듣고, 탐구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통해 음악적 감수성을 기르고 음악을 즐기며 들을 수 있는 태도를 닦아야 할 것이다. 음악의 문화와 역사, 다양한 음악 양식, 중요한 작곡가와 연주자에 대한 이해, 음악적 요소와 표현 방법, 음악을 듣고 분석하여 음악적 용어로 설명하기, 자신이 선호하는 음악에 대한 의견을 말하기, 음악가의 역할 이해하기 등의 총체적인 음악 활동을 경험하여야 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컴퓨터음악을 활용한 학교음악수업은 가창(시창, 청음), 기악, 감상, 창작, 이론의 모든 영역을 다양하게 접해 보면서 학생 자신의 내면에 잠재해 있던 음악적 재능을 끌어내어 개발하고 발전시켜 성취감과 자신감을 맛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발맞추어 현 학교음악수업에서의 컴퓨터음악프로그램들의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학교수업에서의 컴퓨터음악의 도입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교수-학습 도구로서 자리매김 될 것이다.
참고자료
박철홍, 컴퓨터 음악의 이해, 세종출판사, 1998.
석문주, 음악적 성장을 위한 교수ㆍ학습 지도, 도서출판사, 1996.
유정민, 고등학교 음악 창작수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12.
황성호, 전자음악의 이해, 현대음악출판사, 2002.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11.20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6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