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발 DM foot (diabetic foot)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diabetic foot 당뇨 발

1. 당뇨발
 1) 당뇨병성 족부궤양 발생빈도
 2) 병인
 3) 임상양상
 4) 분류
 5) 궤양과 감염
 6) 진단

2. 당뇨병성 족부궤양 치료의 일반원칙

3. 전 접촉 석고 붕대(Total contact cast)

4. 항생제의 사용

5. 창상치료 후의 주의점 및 예방

본문내용

보행시 발생하는 수직압력가 전단력을 계속받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 창상 치료가 오래 걸린다. 이때 전 접촉석고붕대를 시행하면 비이상적 과다 하중을 분산시켜 치료가 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평균 치유시간은 부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고 이를 시행하기 전에 창상에 굳은 살 등의 조직이 있을 경우에는 주변의 피부경계와 창상이 거의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전접촉 석고 붕대를 감을 때는 거즈자체가 압력의 차이를 받게 해주는 원인이 있기 때문에 거즈를 두 장 이상 쓰면 안되고 1주에 한번 또는 2주에 한번 바꿔준다.
4. 항생제의 사용
심부 감염이 발견되지 않는 한 아주 세밀한 창상치료가 주된 치료이고 항생제는 주 치료가 아니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5. 창상치료 후의 주의점 및 예방
당뇨병성 궤양이 창상치료나 또는 석고붕대를 이용해서 치료가 된 후 한달정도가 지나야 피부의 전층이 정상적 피부와 같게 되므로 이 기간 동안은 매우 조심해야 한다. 창상치료가 끝난 후에는 예방책을 수립해야 하는데 특별이 창상이 발생한 이우가 족저부에 이상 압력 때문이었다면 반드시 신발 안창과 신발 및 AFO 보조기 등을 처방하여 재발을 방지한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11.22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70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