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5
0.01
30.6
0.000326
2.10
0.015
45.7
0.000328
2.13
5리터 당 평균
30.5
0.000328
2.13
0.4
0.005
11.72
0.000427
3.61
0.01
21.0
0.000474
4.46
0.015
33.6
0.000446
3.94
5리터 당 평균
22.1
0.000449
4.00
0.6
0.005
8.91
0.000561
6.25
0.01
17.62
0.000568
6.39
0.015
26.3
0.00057
6.45
5리터 당 평균
17.61
0.000566
6.36
모양
Pan의 질량(kg)
힘 이론값(N)
힘 실험값(N)
오차율(%)
삼각뿔
(=120°)
0.2
1.96
0.98
49.7
0.4
3.92
3.51
10.23
0.6
5.88
5.14
12.44
원형
(=180°)
0.2
1.96
2.63
-34.2
0.4
3.92
3.69
5.62
0.6
5.88
9.11
-54.9
평판
(=90°)
0.2
1.96
2.13
-8.93
0.4
3.92
4.00
-2.25
0.6
5.88
6.36
-8.28
Table 2를 보면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평판의 경우에는 10% 미만으로 적게 나왔지만 나머지 두 경우는 때로 50%에 가까울 정도로 큰 오차를 보였다. 특히 원형의 경우가 가장 컸다. 오차원인을 생각해보면 이 실험의 이론식은 충격력을 무시하고 충격 후의 를 과 같은 값으로 생각했는데 평판의 경우는 가장 충격력을 적게 받는 반면, 원형의 경우는 각도에 따른 충격력과 마찰력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되었고 그로인해 이러한 오차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외의 오차원인으로는 유량 측정 시 시간측정과 체적측정을 사람이 눈대중으로 한 것, 중력에 의한 힘 손실을 무시한 것, 실험실에 다른 인원들의 행동에 진동, 충격으로 평행이 흔들리는점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실험 중 Level Gauge 에 맞춘 눈금이 조금씩 움직였었다.
위 그래프를 보면 삼각뿔의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두 개의 그래프는 비례관계를 나타내는데 2차곡선의 형태를 띄고 있다. 이는 이론식에서 살펴본 힘과 유량과의 관계에서 힘은 유량의 제곱에 비례하는 식을 증명한다.
5. 참고문헌
『유체역학』, 텍스트북스, Robert W. Fox 외 2명, 2011, p.873
http://wookyungparan.tistory.com/97 사이트의 유체실험장치 카테고리
0.01
30.6
0.000326
2.10
0.015
45.7
0.000328
2.13
5리터 당 평균
30.5
0.000328
2.13
0.4
0.005
11.72
0.000427
3.61
0.01
21.0
0.000474
4.46
0.015
33.6
0.000446
3.94
5리터 당 평균
22.1
0.000449
4.00
0.6
0.005
8.91
0.000561
6.25
0.01
17.62
0.000568
6.39
0.015
26.3
0.00057
6.45
5리터 당 평균
17.61
0.000566
6.36
모양
Pan의 질량(kg)
힘 이론값(N)
힘 실험값(N)
오차율(%)
삼각뿔
(=120°)
0.2
1.96
0.98
49.7
0.4
3.92
3.51
10.23
0.6
5.88
5.14
12.44
원형
(=180°)
0.2
1.96
2.63
-34.2
0.4
3.92
3.69
5.62
0.6
5.88
9.11
-54.9
평판
(=90°)
0.2
1.96
2.13
-8.93
0.4
3.92
4.00
-2.25
0.6
5.88
6.36
-8.28
Table 2를 보면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평판의 경우에는 10% 미만으로 적게 나왔지만 나머지 두 경우는 때로 50%에 가까울 정도로 큰 오차를 보였다. 특히 원형의 경우가 가장 컸다. 오차원인을 생각해보면 이 실험의 이론식은 충격력을 무시하고 충격 후의 를 과 같은 값으로 생각했는데 평판의 경우는 가장 충격력을 적게 받는 반면, 원형의 경우는 각도에 따른 충격력과 마찰력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되었고 그로인해 이러한 오차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외의 오차원인으로는 유량 측정 시 시간측정과 체적측정을 사람이 눈대중으로 한 것, 중력에 의한 힘 손실을 무시한 것, 실험실에 다른 인원들의 행동에 진동, 충격으로 평행이 흔들리는점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실험 중 Level Gauge 에 맞춘 눈금이 조금씩 움직였었다.
위 그래프를 보면 삼각뿔의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두 개의 그래프는 비례관계를 나타내는데 2차곡선의 형태를 띄고 있다. 이는 이론식에서 살펴본 힘과 유량과의 관계에서 힘은 유량의 제곱에 비례하는 식을 증명한다.
5. 참고문헌
『유체역학』, 텍스트북스, Robert W. Fox 외 2명, 2011, p.873
http://wookyungparan.tistory.com/97 사이트의 유체실험장치 카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