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환경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2.1 IGCC (석탄가스화 복합 발전)

2.2 CWM (석탄, 물 혼합연료)

2.3 석탄 액화 기술

2.4 FBC (유동층 연소)

2.5 열분해

2.6 대기오염물질

2.7 탈황공정

2.8 탈황 촉매

2.9 다이옥신

2.10 지구 온실효과

2.11 기후변화 협약

2.13 석탄에너지와 탄산가스

2.14 CO2의 에너지흡수

2.15 탄소세,에너지세

2.16 국내 CO2 배출현황 및 전망

2.17 오존층의 감소

2.18 환경경영체제(EMS)

2.19 기후변화의 원인

2.20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

2.21 온실가스 저감 방법

2.22 지구 온난화 결과

2.23 탄소톤이란

2.24 VOCs 와 수질오염

본문내용

179
0.196
0.145
0.19
1,3-Dichlorobenzene
172
0.307
0.123
0.36
1,4-Dichlorobenzene
173.4
0.902
0.083
0.16
1,1-Dichloroethane
57.3
30.10
5.100
0.58
1,2-Dichloroethane
83.5
10.93
8.700
0.11
1,1-Dichloroethylene
31.6
79.73
0.400
13.32
Dichloromethane
40.5
58.40
19.400
0.26
Ethylbenzene
136.2
1.27
0.152
0.80
Hexanal
131
-
-
-
Isopropylbenzene
152.4
0.611
0.050
0.13
Tetrachloroethylene
121.1
2.48
0.140
2.30
Toluene
110.8
3.80
0.515
0.67
1,1,1-Trichloroethane
74
16.53
0.720
2.8
1,1,2-Trichloroethane
113.5
4.04
4.420
0.12
1,1,2-Trichloroethylene
86.7
9.87
1.100
1.18
1,1,1-Trichloro-2,2,2-trifluoroethane
46
-
-
-
1,1,2-Trichloro-1,2,2-trifluoroethane
47.6
-
-
-
1,2,3-Trimethylbenzene
176.1
0.202
0.075
0.32
1,2,4-Trimethylbenzene
169.4
0.271
0.057
0.59
1,3,5-Trimethylbenzene
164.7
0.328
0.097
0.60
Vynylchloride
-13.9
-
2.700
2.35
o-Xylene
144.4
0.882
0.175
0.50
m-Xylene
139.1
1.10
0.162
0.70
p-Xylene
138.4
1.17
0.185
0.71
표. 수중에서 자주 검출되는 VOCs의 물리화학적 성질
■ VOCs의 수질오염 현황
- 하천, 호소 등에 대한 VOCs의 오염도 조사 자료는 매우 적거나 거의 없는 실정이다.
- McDonald(1988)는 Mexico Gulf의 북서부에 위치한 Brazos강 및 Loire강에서 각각 30 ng/l∼18ug/l 및 100∼200ng/l 로 조사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 Gomez-Belinchon et al.(1991) 에 의하면 스페인의 Besos강 및 Llobregat강에서 다양한 종류의 alkylated benzenes가 각각 110㎍/ℓ 및 16㎍/ℓ까지 조사되었다고 보고하였다.
- USGS NAWQA(U.S. Geological Survey's National Water Quality Assessment Program) 의 1993.7∼1995.9 동안 Conneticut, Housatonic 및 Thames강 유역의 우물정에 대한 조사에 의하면 조사지점의 46%에서 25종류의 VOCs가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중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은 휘발유 첨가제인 MTBE(methyl tertbutyl ether)로서 조사대상 우물정의 25%에서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Chloroform으로서 23%가 검출되었다. 지하수에서의 VOCs 검출은 도시지역의 토지이용과 관련이 있으며 VOCs 검출빈도 및 총농도는 인구밀도에 따라 비례하고 있었다. 검출된 것 중의 5개 종류의 VOCs가 US EPA가 정한 최대 허용농도를 초과하고 있고 대부분의 VOC(64%)는 아주 낮은 농도(1.0ug/l 이하)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것은 비점오염원으로부터 기인된 것으로 보여진다.
■ VOCs의 수중소멸과정
하천, 호소 및 해역 등과 같은 자연수역에 배출된 VOCs는 휘발, 생분해, 흡착, 광분해 등과 같은 물리·화학 및 생물학적 작용에 의하여 소멸되거나 감소된다.
(1) 휘발 : 휘발은 지표수에서 VOCs가 제거되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이 과정은 물-공기 계면에서의 유체상태는 물론 각 개별 화합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물에 대한 용해도, 증기압 및 헨리상수 등이 VOCs의 휘발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호소에서는 풍속 및 수면 교란상태 등에 의해서, 하천에서는 하천수와 하상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2) 생분해 : 미생물은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VOCs의 생분해에 대한 연구, 특히 할로겐화 VOCs 중에서 염소화탄소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3) 흡착 : VOCs는 그 종류에 따라 하상이나 퇴적물층에 흡착되어 제거되기도 하는데 석유계 탄화수소는 하구언에서 퇴적층과의 흡착이 매우 중요한 제거기작으로 작용하여 상당한 양이 흡착된 것으로 나타난 바가 있으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알킬벤젠류의 경우에는 그다지 큰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착은 휘발이나 생분해와 같은 다른 제거과정에 비해 그다지 크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4) 광분해 : 수중에서 VOCs의 광분해에 대한 작용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나 광산화는 자연수역의 VOCs 제거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과정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 VOCs의 영향
VOCs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각 개별 화합물질에 따라 독성의 크기 및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나 인체 및 수중생태계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인체에 대한 영향
① 다량 섭취시 급만성 중독현상이 나타난다.
② 눈 및 피부에 자극적이며, 접촉시 피부염을 일으키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다.
③ 변이원성 물질로서 생체내 유전물질의 변형을 일으킬수 있다.
④ 발암성 물질로서 암을 유발할 수 있다.
(2) 수중생태계에 대한 영향
① 수중에서 서식하고 있는 생물에 독성을 나타낸다.
② 치어나 알에 독성이 비교적 크며 자어나 성어에도 어느 정도 독성을 나타낸다.
③ 수계에 유입되면 주로 빠르게 증발되거나 산소 존재시에는 생분해가 일어나서 감소되며 어류나 수생생물에 대한 생체농축은 일어나지 않는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7.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7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