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멀티미디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멀티미디어의 활용

1.1 멀티미디어의 개념

1. 2 멀티미디어의 특징

1. 3 멀티미디어의 구성요소

1. 4 멀티미디어의 종류

1. 5 멀티미디어의 장점

1. 6 멀티미디어의 설계

2.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 - 원격교육을 중심으로

2. 1 원격교육이란 무엇인가?

2. 2 원격 교육의 형태

2. 3 원격 교육 매체의 개발

2. 4 원격 교육의 구현 방안

2. 5 가상학습 시스템이란

본문내용

사운드 이미지, 에니메이션, 동화상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 형태가 가능하며 다양한 매체의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컴퓨터에서 제시되는 내용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대신 적극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선정하고, 자기에게 필요한 주제와 내용을 탐색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힐 수 있다.
인터넷
‘컴퓨터에 의해 다수의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된 글로벌 네트워크’를 인터넷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 그리고 시스템의 집합이라고 하는 물리적 의미보다는 실용적이고 가치있는 거대한 정보기반이며, 상호작용이 보장된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 수많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원활히 운영되어 상호 접속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교류하는 가상 공간(Cyber Space)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현재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정보 교류는 여러 가지가 있다. 편지의 교환, 뉴스의 조회, 대학, 기업 또는 연구소의 문헌 정보 입수, 상업적인 광고 및 홍보, 학자들과 연계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 진행, 취미 또는 전문영역에 대한 정보 교환,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다운 로드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정보가 교류되고 있다.
WWW(World Wide Web)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태의 문서, 그림, 음성, 오디오,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형식의 화상 등 각종 데이타를 하이퍼미디어 형태로 제공해 준다. WWW 검색 프로그램(WWW Navigator)는 접속을 간편하게 할 뿐 아니라 거의 모든 화면이 그림과 아이콘, 그리고 하이퍼텍스트로 구성되어 있고, 사이트 이동시에는 마우스로 클릭하면 된다. 참고로 WWW 프로그램으로는 모자이크, 넷스케이프, 익스플로러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WWW은 선택한 문서를 보여주고 이 문서 속에서 또 다른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그 단어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er)에서 문서를 보내 주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꼬리를 물고 계속 이어진다. URL이란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나 서비스에 대한 접근 방법, 존재하는 위치, 자료의 이름 및 접속할 포트의 번호를 하이퍼링크(hyperlink)의 형태로 지정할 수 있게 하며, 사용할 프로토콜과 접속할 호스트 이름, 화일이 있는 디렉토리의 위치, 그리고 화일의 이름으로 구성된다.
HTML은 하이퍼미디어를 만드는 수단이며, 사용자에게 보여줄 문서의 표현 형식을 문서 내부에 지정할 수 있는 문서의 구조를 기술하는 언어이다. HTML은 문서를 보기 좋게 구성하는데 제약이 따르나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HTML 문서는 그 양이 작고, 전송을 받아서 화면을 보여주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폰트나 형태 정보는 담지 않아도 되므로 전송 속도가 빠르다.
HTML 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적당한 웹 부라우저(Web browser)만 있으면 되고, 폰트나 해상도 등은 부라우저(browser)가 스스로 결정하므로 사용하는 컴퓨터에 비의존적이다.
부라우저(browser)는 문서를 가져와서 보여주고 URL의 지정에 따라 특정 단어에 대한 링크를 통해 다른 문서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 문서는 하이퍼미디어 형태로 되어 있고, 이 문서에는 특정 단어에 대하 관련된 문서를 지정하는 포인터가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더 자세한 정보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WWW의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HTML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로서 gopher, ftp, nntp, telnet 등의 기존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게이트웨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상학습 시스템이란
가상학습(virtual learning)은 원격 교육의 일종으로 컴퓨터 통신을 이용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쌍방향으로 대화할 수 있는 첨단 교육환경이다. 가상학습은 학교뿐만아니라 기업의 인력 재교육 등 교육이 필요한 모든 분야애 적용될 수 있어 차세대 교육 방식으로 벌써부터 각광을 받고 있다.
컴퓨터 통신은 가상학습의 절대적인 요건이다.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개인용 컴퓨터는 단순한 계산 작업이나 프로그래밍에 쓰이는 ‘고급 계산기’에 불과했다. 그러나 개인용 컴퓨터들이 컴퓨터 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거대한 사이버스페이스(가상 공간)가 형성된 것이다. 이 사이버스페이스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전자 교실’이란 새로운 교육의 장을 제공하게 됐다.
유럽에서는 가상학습을 본격적인 교육체계로 발전시키기 위한 논의가 수년 전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지난 88년부터 독일과 영국의 주도로 추진돼 온 ‘델타 프로젝트’는 범유럽 사회재교육 체제의 구축을 목적으로 진행된 멀티미디어 ‘텔레스쿨(teleschool)’ 개발 계획이다. 텔레스쿨은 교사가 방송국에 나가 원격지의 PC 앞에 앉은 학생과 멀티미디어 방식으로 대화를 나누면서 강의를 진행하는 독특한 수업 방식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PC 통신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2015년을 목표로 초고속 정보 고속도로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는 등 가상학습을 위한 사회적 여견이 크게 개선되는 추세이다.
특히, 정부는 1996년을 목표로 국가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다가 최근에 첨단학술정보센터와 통합하여 운영되고 있다. 통합된 이후에도 이 센터에서는 ‘에듀넷’이라는 이름으로 원격 교육 교재 개발, 멀티미디어형 교수-학습 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지속적인 구축, 교수-학습용 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즉, 활용 가능한 모든 학습 자료를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로 개발하여 전자교과서 형태로 제공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탈피하여 누구에게나 서비스되는 열린 교육 체제의 기반을 구축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학생, 직장인 등 일반인은 물론 지리적, 신체적으로 소외된 계층까지도 가정, 학교, 직장 등 원하는 장소에서 초고속 정보 고속도로를 통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 교육 정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음으로써 원격 교육, 재택 학습 등을 구현하게 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7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