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교통 발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 교통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돛이 함께 사용되기도 했다. 그 후 그리스, 로마인들은 폭이 넓고 갑판이 타원형으로 생긴 갤리선을 만들어내게 된다. 8C 에 이르러 북유럽의 노르만인들은 앞과 뒤가 뾰족하며 가늘고 긴 바이킹선을 만들어 냈고 이 두 가지 배를 기본 모델로 삼아 여러 가지 형태의 배가 만들어졌다. 19C에는 배의 재료가 나무에서 철로 바뀌고, 배의 동력으로 증기기관이 사용되기 시작해서 요즈음 우리가 볼 수 있는 배의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20C에 들어와서는 배의 엔진이 증기기관에서 터빈이나 디젤 기관으로 변하여 배의 속력도 한층 더 빨라지게 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특히 원자력을 동력으로 이용한 원자력선도 나타나게 되었으며 그 크기에 있어서 축구장의 몇 배에 이르는 거대한 배가 만들어지고 있다.
4. 참고
(1) 범선과 기선
비교적 큰 돛배를 범선이라고 한다. 돛에는 횡범과 종범이 있으며 횡범은 대개 커다란 사각형이고 종범은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반면에 기선은 기계의 힘을 이용하는 모든 배를 말한다.
(2) 배의 속력
선박 비행기 바람 등의 속력은 '노트'라는 단위로 쓰며, 1노트는 1시간에 1해리(1,852 m)를 가는 속력에 해당한다. '노트'라는 이름은 16세기경 삼각형의 나무 조각을 일정한 간격으로 매듭(knot)을 만든 끈에 매달아 배의 꼬리부분에서 흘려 보내면서 28초 동안 풀려나간 끈의 매듭을 세어 배의 속력을 재었던 데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3) 배의 크기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데는 '톤'을 쓴다. 예를 들면 '타이타닉'호는 46,000톤, 미국의 항공모함인 '엔터프라이즈'호는 85,000톤이다. 배의 크기는 배의 종류에 따라 표시 방법이 서로 다르며 다음의 용어들이 쓰인다.
① 총톤수 : 선박 내부의 전체 부피를 표시하는 톤수로서, 전체부피를 2.83(100)으로 나눈 값이다.
@ 우리나라의 배
한선(韓船)이란 배밑이 평평한 구조의 배로서 수심이 비교적 낮은 우리 해안의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배가 안전한 항해와 정박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 선조들의 지혜라 할 수 있다.
● 멍텅구리배는 우리나라 서해안 지역에서 수백년 동안 쓰여온 전통 새우잡이 어선이다. '멍텅구리배' 라는 이름은 최근에 와서 붙여진 이름으로, 자체적으로 움직일 수 없어 다른 배가 끌어다 주어야 하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 가거도배는 전남 신안군 가거도 지역에서 450여년 전부터 멸치잡이에 쓰여왔던 전통 어선이다. 현지에서는 '목선'이라 부르며 어로작업 이외에 인근해 교통수단과 화물선으로도 쓰였다.
@ 인류가 배를 만들어 사용한 것은 아주 오래 전부터의 일일 테지만, 구체적인 역사는 알지 못하고 있다. 선사인들은 처음엔 쉽게 구할 수 있는 통나무에 올라타고 손으로 물을 젓거나, 뼈나 나무로 노를 만들어 물을 저었을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여러 개의 통나무를 엮어 뗏목을 만들어 타기도 했다. 차츰 더 편리하고 안전하며, 쓰임새 있는 배를 갈망하여 온 결과 교통, 화물 운반, 고기잡이, 먼 항해, 전쟁 등 쓰임새에 맞는 갖가지 배로 발전하게 되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