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발달 특성과 상담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기 발달 특성과 상담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자기가 갈 길을 선택하고 결정할 때 가장 잘 적응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때때로 부모들이 자신의 신념 세계나 또는 자녀들에게 자신의 소망과 기대를 대화를 통해서 알려준다면 자녀들이 가치관을 형성해 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비록 부모가 자녀의 교육 수준보다 낮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자녀들이 그들의 미래를 위한 선택과 결정을 할 때 필요한 지혜와 정보, 기술 등을 제공한 다면 현재 청소년들이 적응하는데 중요한 몫을 할 것이다. 전문적인 도움이 요구될 때에는 학교 교사, 교회 목사, 심리학자 등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지혜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부모의 역할 중 또 다른 하나는 청소년 자녀들과 항상 가까운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그들의 자아 정체감의 위기에서 쉽게 회복되는데 필요할 때면 언제고 부모들은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형제 자매나 친구들과의 따뜻한 인간 관계를 유지할 때 청소년들은 심리적인 안정을 찾게 되고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부모들은 언제나 그들의 자녀들이 어느 곳에서 누구와 무슨 행동을 하며 어떤 생각과 느낌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부모의 적극적 관심은 청소년 자녀가 도움이 필요할 때를 미리 예견할 수 있으며, 행동이 정상 범위를 넘어섰을 때 제재를 가하여 극단적인 일탈 행동으로 발전하지 못하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위기란 의미는 희랍어로는 선택이라는 뜻을 가지며, 청소년기 자아 정체감의 위기를 극복한다는 것은 올바른 선택을 해 나아간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결국 우리의 청소년 자녀들이 그들의 잠재력을 개발하며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부모는 사랑과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출처 : [기타] "http://user.chollian.net/%7Ej1434/value.htm"에서 발췌
---------------------------------------
가정 문제
부모님이 친구전화를 바꿔 주시지 않아요.
저는 중3 여학생입니다. 부모님과 대화가 통하지 않아 짜증나고 답답할 때가 많아요. 친구 사귀는 것도 일일이 간섭하시고 친구들과 전화하는 것도 싫어하세요. 요사이는 친구들한테 전화가 와도 제가 집에 없다고 하며 바꿔 주시지 않고 엄마 마음대로 끊어버리세요. 왜 그러시는지 정말 이해할 수 없고 집에 있기가 싫어져요.
<상담>
대개 중학생쯤 되면 가족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의 인격체로 대우받고 싶어지게 되죠. 그런데 어머니께서 친구 사귀는 것에 관해 제재를 많이 하고 친구에게 온 전화까지 바꿔주지 않았다고 하니 기분이 몹시 상했겠어요. 그리고 친구들에게 학생의 입장도 난처했으리라 봅니다. 이제는 자신의 의사를 존중받으며 부모님과 대화하고 싶은데 "이래라,저래라" 하시는 부모님의 말씀을 들으면 하려고 했던 일조차 하기 싫어지고 불만만 쌓이게 되죠. 그런데 부모님께서 사소한 일까지도 관여하고 금지사항을 많이 만드는 것은 아직도 자녀의 판단과 행동이 물가에 아이를 세워 둔 것처럼 미덥지가 않으시기 때문일 겁니다. 학생의 부모님께서는 지금 학생과 가까이 지내는 친구 중에 어떤 이유로 마음에 들지 않는 친구가 있나 봅니다. 부모님께서 어떤 이유로 그러시는지 귀를 기울여 보세요. 오랜 경험에서 얻은 부모님들의 판단이 옳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먼 미래를 두고 볼 때 우리에게 유익한 경우가 많이 있거든요. 그리고 하루에 친구들과 통화하는 횟수와 통화시간은 어느 정도인지 생각해 보세요. 친구들과 전화하다 보면 시간가는 줄 모르고 1시간 내지 2시간 정도까지 통화하는 학생들이 있어 부모님들께서 못마땅해하는 것을 종종 봤습니다. 아무튼 부모님과의 갈등이 한 번에 해결되기란 어렵겠지만 부모님의 입장을 먼저 이해하려고 노력해보고 혼자의 힘으로는 어렵다는 생각이 든 다면 청소년전문 상담기관에 어머니와 함께 방문 해보세요. 끝으로 청소년기에 부모님과의 적당한 갈등은 홀로 서기에 도움이 될 수도 있으므로 너무 심각하게만 생각하지 말라고 당부하고 싶습니다.
-------------------------
tyler(1969)가 지적했듯이 상담(counseling) 이라는 용어는 누구나 이해하는 듯하지만 사람마다 각기 다르게 이해하고 있어 정의도 다양하게 내려지고 있으며 몇몇 대표적인 학자들의 정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 상담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williamson과 foley 는 "상담이란 훈련과 기술, 신용으로써 상담자가 내담자의 적응 문제를 해결하는 면 대 면의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c. rogers는 "상담이란 치료자와의 안전한 관계에서 자아의 구조가 이완되어 과거에는 부정했던 경험을 자각해서 새로운 자아로 통합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여 상담의 과정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즉 안전한 치료의 분위기와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행동과 태도를 학습하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정원식과 박성수(1978)는 "상담이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 사이의 개별적인 관계를 통하여 새로운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이장호(1995)도 "상담이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내담자)이,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상담자)과의 대면관계에서, 생활 과제의 해결과 사고, 행동 및 감정 측면의 인간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학습 과정" 이라고 정의하고, 이재창(1988)도 "상담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상담자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에게 자신과 주위 환경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킴으로써 적응과 발달을 위한 행동의 변화 즉 개인의 성장을 가져오게 하는 상호 작용의 학습 과정"이라고 정의하여 상담의 학습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상담의 정의는 다양하나 대체로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담은 내담자로 하여금 선택해서 행동하도록 조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학습이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또 학습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상담은 학습 과정을 다룬다.
셋째, 성격 발달의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하지만 상담에서 성격 발달이 다루어진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