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 yet은 부정문에서는「아직」의 뜻이고, 의문문에서는「이미, 벌써」라는 뜻.
I have not read the story book yet . ( 나는 아직 그 동화책을 읽지 못했다.)
Have you read the newspaper yet? ( 벌써 그 신문을 다 읽었니? )
(3) still은 긍정문에서는「아직도, 여전히」라는 계속의 의미.
She still loves me. ( 그녀는 아직도 나를 사랑하고 있다.)
5. just, now, 그리고 just now
(1) just는「이제 방금, 막」이라는 뜻으로 현재와 현재 완료형과 함께 쓰인다.
I have just finished it. ( 나는 방금 그것을 끝냈다.)
I just finished it. ( 나는 방금 그것을 끝냈다.)
(2) now는「이제, 지금」의 뜻으로서 현재형이나 현재진행형과 쓰인다.
It is now over. ( 이제는 끝났다.)
It is now snowing. ( 지금 눈이 오고 있다.)
(3) just now는「방금, 바로 전에」의 뜻으로서 과거형에 쓰인다.
They went out just now. ( 그들은 방금 나갔다. )
6. so 와 neither
(1) so 는 " 역시 ~ 하다 " 로 긍정문에 쓰인다.
She loves oranges. So do I . ( = I love oranges, too.) ( 그녀는 오렌지를 좋아한다. 나도 역시 그렇다. )
(2) neither 는 " 역시 ~ 하다. " 로 부정문에 쓰인다.
He doesn't like coke. Neither do I. ( = I don't like coke, either. )( 그는 콜라를 좋아하지 않는다. 나도 역시 그래. )
7. there 와 here
(1) There is / are ~ "~ 가 있다. "
There is a book. ( 책이 있다. )
(2) Here is / are ~ " 여기에 ~ 가 있다. "
Here is a book. ( 여기에 책이 있다. )
8. 형용사와 부사의 형태가 같은 것
(1) hard
This book is hard to read. ( 이 책은 읽기가 어렵다.) --> hard는 형용사
He studied hard . ( 그는 열심히 공부했다.) --> hard는 부사
(2) fast
He is a fast runner. ( 그는 빨리 뛰는 주자다.) --> fast는 형용사
He runs fast. ( 그는 빨리 달린다.) --> fast는 부사
(3) long
This is a long bridge. ( 이것은 긴 다리이다.) --> long은 형용사
My parents lived long. ( 나의 부모님은 오래 사셨다.) --> long은 부사
(4) late
We had a late dinner. ( 우리는 저녁을 늦게 먹었다.) --> late는 형용사
They arrived there late. ( 그들은 거기에 늦게 도착했다.) --> late는 부사
9. 형용사에 - ly를 붙여 다른 뜻의 부사가 되는 경우
high ( 높은 ) ---> highly ( 매우 )
near ( 가까운 ) ---> nearly ( 거의 )
hard ( 어려운, 열심히 ) ---> hardly ( 거의 ~가 아니다. )
late ( 늦은, 늦게 ) ---> lately ( 최근에 )
“ 도치법 ”
1. 장소의 도치 : 자동사일 경우에만 가능함
(형태) : 장소부사 + vi.(자동사) + S
tip) 장소부사, 자동사의 예
*장소부사 - in, on, behind, among, across, deep in, close to, 방향(east...)
*자동사 - grow(자라다), exist(존재하다),lie(펼쳐져있다), stand(위치하다),
be located, be found, be situated
└→ 위치하다 : 수동태 - 자동사 취급
2. 방향/출처의 도치 : 자동사일 경우에만 가능함
(형태) : 방향/출처 전치사구 + vi. + S
tip) 방향/출처 전치사와 자동사의 예
*방향/출처 전치사 : from, out of, toward 등
*자동사 : go, come, move, flow, evolve(진화하다), project(튀어나오다)
3. 부정어 도치
*부정어의 예
-not until + 시간
+ 부사절 (S+V+O)
-not only
-never
-seldom
-hardly
-scarecly
-at no time(=never)
-by no means(=never)
-nowhere
-nor/neither
**동사의 형태에 따른 형태 변화
ⅰ) 수동태의 경우 : 부정어 + be + S + p.p
ⅱ) 조동사가 있을 경우 : 부정어 + 조동사 + S + VR
ⅲ) 완료시제 : 부정어 + have/had + S + p.p
ⅳ) 진행형이 있을 경우 : 부정어 +be + S + ~ing
ⅴ) 일반 동사일 경우 : 부정어 + do/does/did + S + VR
☆Not/No + N이 문장 앞에 나갈 때는 도치가 불가능함
4. Only 도치(부정어 도치의 ⅰ~ⅴ와 같음)
-only 전치사구┐
부사구 │ + V + S
부사절 ┘
☆부사절 내의 S, V 도치가 아님
5. 가정법 도치
①가정법 과거(~이 없다면)
(형태) : If it were not for = were it not for + N
= but for + N
= without + N
②가정법 과거 완료(~이 없었다면)
(형태) : If it had not been for + N = Had it not been for + N
= but for + N
= without + N
**①,②에서 but for, without은 종속절로만은 시제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주절을 통해 구분한다.
① : But for/Without + would/should/could/might + VR
② : But for/Without + would/should/could/might + have p.p
I have not read the story book yet . ( 나는 아직 그 동화책을 읽지 못했다.)
Have you read the newspaper yet? ( 벌써 그 신문을 다 읽었니? )
(3) still은 긍정문에서는「아직도, 여전히」라는 계속의 의미.
She still loves me. ( 그녀는 아직도 나를 사랑하고 있다.)
5. just, now, 그리고 just now
(1) just는「이제 방금, 막」이라는 뜻으로 현재와 현재 완료형과 함께 쓰인다.
I have just finished it. ( 나는 방금 그것을 끝냈다.)
I just finished it. ( 나는 방금 그것을 끝냈다.)
(2) now는「이제, 지금」의 뜻으로서 현재형이나 현재진행형과 쓰인다.
It is now over. ( 이제는 끝났다.)
It is now snowing. ( 지금 눈이 오고 있다.)
(3) just now는「방금, 바로 전에」의 뜻으로서 과거형에 쓰인다.
They went out just now. ( 그들은 방금 나갔다. )
6. so 와 neither
(1) so 는 " 역시 ~ 하다 " 로 긍정문에 쓰인다.
She loves oranges. So do I . ( = I love oranges, too.) ( 그녀는 오렌지를 좋아한다. 나도 역시 그렇다. )
(2) neither 는 " 역시 ~ 하다. " 로 부정문에 쓰인다.
He doesn't like coke. Neither do I. ( = I don't like coke, either. )( 그는 콜라를 좋아하지 않는다. 나도 역시 그래. )
7. there 와 here
(1) There is / are ~ "~ 가 있다. "
There is a book. ( 책이 있다. )
(2) Here is / are ~ " 여기에 ~ 가 있다. "
Here is a book. ( 여기에 책이 있다. )
8. 형용사와 부사의 형태가 같은 것
(1) hard
This book is hard to read. ( 이 책은 읽기가 어렵다.) --> hard는 형용사
He studied hard . ( 그는 열심히 공부했다.) --> hard는 부사
(2) fast
He is a fast runner. ( 그는 빨리 뛰는 주자다.) --> fast는 형용사
He runs fast. ( 그는 빨리 달린다.) --> fast는 부사
(3) long
This is a long bridge. ( 이것은 긴 다리이다.) --> long은 형용사
My parents lived long. ( 나의 부모님은 오래 사셨다.) --> long은 부사
(4) late
We had a late dinner. ( 우리는 저녁을 늦게 먹었다.) --> late는 형용사
They arrived there late. ( 그들은 거기에 늦게 도착했다.) --> late는 부사
9. 형용사에 - ly를 붙여 다른 뜻의 부사가 되는 경우
high ( 높은 ) ---> highly ( 매우 )
near ( 가까운 ) ---> nearly ( 거의 )
hard ( 어려운, 열심히 ) ---> hardly ( 거의 ~가 아니다. )
late ( 늦은, 늦게 ) ---> lately ( 최근에 )
“ 도치법 ”
1. 장소의 도치 : 자동사일 경우에만 가능함
(형태) : 장소부사 + vi.(자동사) + S
tip) 장소부사, 자동사의 예
*장소부사 - in, on, behind, among, across, deep in, close to, 방향(east...)
*자동사 - grow(자라다), exist(존재하다),lie(펼쳐져있다), stand(위치하다),
be located, be found, be situated
└→ 위치하다 : 수동태 - 자동사 취급
2. 방향/출처의 도치 : 자동사일 경우에만 가능함
(형태) : 방향/출처 전치사구 + vi. + S
tip) 방향/출처 전치사와 자동사의 예
*방향/출처 전치사 : from, out of, toward 등
*자동사 : go, come, move, flow, evolve(진화하다), project(튀어나오다)
3. 부정어 도치
*부정어의 예
-not until + 시간
+ 부사절 (S+V+O)
-not only
-never
-seldom
-hardly
-scarecly
-at no time(=never)
-by no means(=never)
-nowhere
-nor/neither
**동사의 형태에 따른 형태 변화
ⅰ) 수동태의 경우 : 부정어 + be + S + p.p
ⅱ) 조동사가 있을 경우 : 부정어 + 조동사 + S + VR
ⅲ) 완료시제 : 부정어 + have/had + S + p.p
ⅳ) 진행형이 있을 경우 : 부정어 +be + S + ~ing
ⅴ) 일반 동사일 경우 : 부정어 + do/does/did + S + VR
☆Not/No + N이 문장 앞에 나갈 때는 도치가 불가능함
4. Only 도치(부정어 도치의 ⅰ~ⅴ와 같음)
-only 전치사구┐
부사구 │ + V + S
부사절 ┘
☆부사절 내의 S, V 도치가 아님
5. 가정법 도치
①가정법 과거(~이 없다면)
(형태) : If it were not for = were it not for + N
= but for + N
= without + N
②가정법 과거 완료(~이 없었다면)
(형태) : If it had not been for + N = Had it not been for + N
= but for + N
= without + N
**①,②에서 but for, without은 종속절로만은 시제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주절을 통해 구분한다.
① : But for/Without + would/should/could/might + VR
② : But for/Without + would/should/could/might + have p.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