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필요성 및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멀티미디어 필요성 및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험기(simulator), 화상회의(video conference), 키오스크(kiosk), 전자출판(desktop publishing) 분야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주문형 비디오(VOD : Video On Demand), 주문형 뉴스(NOD : News On Demand), 멀티미디어 신문, 쌍방향 홈쇼핑, 원격의료, 원격학습, 가상 비지니스(virtual business), 전자도서관(electronic library), 인터넷(Internet)을 통한 멀티미디어 활용 등의 분야에서 매우 활발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화사회에서 멀티미디어의 역할
현대사회와 21세기 사회를 묘사하는 여러 가지 단어들이 있다. 일찍이 다니엘 벨(Daniel Bell)은 탈공업화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엘빈 토플러(Alvin Toffler)는 제 3의 물결이라는 말로,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은 지구촌(global village)으로 묘사하였다. 이외에도 정보혁명, 국경 없는 사회라는 말로 정보화사회를 기술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고속정보통신망과 멀티미디어라는 용어가 언론매체를 통하여 거의 매일 우리에게 다가온다. 이러한 정보화사회는 컴퓨터와 통신이라는 두 가지 기술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었고 우리사회를 혁명적(revolutionary)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사회에서는 지금까지 피라미드형의 조직사회를 벗어나 개인과 조직의 개성과 유연성이 중요시되고 통신망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확보하는 개인이나 기업이 경쟁의 우위를 차지하게 된다.
지식의 양은 과거에는 10년에 2배로 증가하였으나 지금은 3∼5년에 2배로 증가하고 있다. 지식의 증가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고, 우리 주변에는 우리가 일생을 노력해도 도저히 다 흡수할 수 없을 만큼의 지식과 정보가 산재해 있다. 생산이 자동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20세기의 제조업 경제가 21세기에는 정보 경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정보가 국가나 사회의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우리 주위에는 너무나 많은 양의 정보가 산재해 있어서 미국의 경우 전체정보의 5%만 실제 활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식위주의 사회에서는 우리가 지금 얼마나 많은 지식이나 정보를 갖고 있느냐 보다는 어떻게 양질의 정보를 남보다 먼저 확보하느냐가 더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사실을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은 "Not only what you know today, but what you are capable of learning tomorrow"라는 말로 설명하고 있다.
정보화사회에서의 정보란 텍스트 정보나 숫자 정보뿐만 아니라 이미지, 그래픽, 소리, 음악, 애니메이션,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사회의 특징을 간파한 미국에서는 1993년 멀티미디어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 NII(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에 의하면 2015년까지 미국의 전역을 초고속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하여 멀티미디어 정보가 매우 빠른 속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림 1-11> 멀티미디어를 위한 저장매체와 전송채널의 신호처리 대역
우선 1단계 목표는 2000년까지 전 미국 연구교육망(NREN)을 구축하여 미국의 모든 대학교와 연구소를 고속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하여 현재보다 100배나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지원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가 완성되면 미국의 각 대학교와 연구소는 모든 전자도서관의 자료를 실시간에 상호교환할 수 있고 실시간 원격교육이 가능하게 될 것이고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구/교육에 필요한 모든 멀티미디어 정보의 공유가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하는 데는 세 가지 접근방법이 가능하다. 첫째 방법은 기존의 전화회선을 광섬유케이블(fiber-optic cable)로 교체하는 것이고, 둘째는 케이블 TV에서 이용하는 동축케이블을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미국과 같이 일찍이 고급 통신망이 구축된 국가에서는 세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초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일본에서는 광섬유케이블을 이용하여 B-ISDN을 구축할 계획이다.
미국에서 시작한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계획은 즉시 일본, 유럽은 물론 우리 나라에까지 영향을 미쳐 각국은 2010년 또는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이와 같은 통신망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경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통신망이 구축되면 실질적인 멀티미디어 사회가 가능하게 될 것이고, 우리 사회에 더 큰 변화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미국에서는 이미 몇 지역에서 초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하고 세기말 멀티미디어 정보화 실험을 하고 있다. 플로리다주 올랜도시에서는 1994년 12월부터 45Mbps전송속도의 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하고 주문형 비디오, 대화형 홈 쇼핑, 대화형 게임, TV 화상회의, 원격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에서는 1993년 7월부터 일부지역에서 원격회의, 원격의료, 스마트스쿨, 가상대학 등을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하고 있고, 아이오와주에서는 1993년 대학, 고등학교, 도서관, 병원 및 주 행정기관을 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원격회의, 원격의료, 화상회의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 나라도 1994년 5월 정보통신부 주관하에 초고속 정보통신망 계획을 수립하고 2015년까지 이 사업에 약 44조 6천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 계획에 의하면 오늘 2015년까지 4단계로 나누어 개발이 진행되며 1단계인 97년까지는 우선순위가 높은 원천기술의 확보와 시범서비스를 구현하고 2단계인 2002년까지는 분야별 핵심 기반기술의 개발과 서비스의 전국 주요도시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3단계인 2007년까지 기술개발 측면에서 선진 소프트웨어 기술권에 진입하는 한편 최종단계인 2008년 이후에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안정화하고 국가간 서비스 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