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과영국의 사회복지정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일과영국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ommsen, W.J, 「비스마르크」, 이태영(譯)(1975), 삼성문화재단.
이해영·한승수(198O), 「영국의 사회복지」,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혜경(1982), "비교사회복지학의 이론적 모델연구, "「한국사회사업학회지」, 제 4집(한국사회사업학회).
이혜경(1983), "근대화와 사회복지정책," 「세계문학」겨울.
임채원(1982), 「독일근대사연구」, 일조각.
장인협(1981), 「사회복지개론」, 한국사회개발연구원,
최종태(1981), 「서독의 사회복지와 노사관계」, 서울대학출판부.
한국사회과학연구소(편)(1983), 「복지국가의 형성」, 민음사.
Drek Fraser (1973), The Evolution of the British Welfare State, The Macmillan Press, London.
Hugh Heclo (1974), Modern Social Politics in Britain and Sweden: from Relief to Income Maintenance,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Karl de Schweintz (1975), The Great Transformation, Beacon Press, Becan Hill Boston.
Karl Polanyi (1964), The Emergence of the Welfare State in Britain & Germany, London: German Historical Institute.
Mommsen, W.J(ed) (1981), The Emergence of the Welfare State in Britain & Germany, London: German Historical Institute.
OECD (1976), Public Expenditureon Income Maintenance Programmes, OECD, Paris.
Ramesh Mishra (1977), Society and Social Policy, The Macmillan Press, London.
Rimlinger, G.V (1971), Welfare Policy and Industrialization In Europe, America and Russia, N.Y.: John Wiley & Sons Inc.
Rostow, W.W(1962), The Stages of Economic Growth: A non-Commuist Manifest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William Beveridge (1942),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 London: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Wilensky, H & Charles Lebeaux(1965), Industrial Society and Social Welfare, New York: Free Press.
--------------------------------------------------------------------------------
각 주
1 이혜경(1983), "근대화와 사회복지정책," 「세계문학」겨울, pp.34-35.
2 William Beveridge(1942),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London: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3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1977), 「구미각국의 사회보장제도」, 국회도서관, p.12.
4 이혜경(1982), "비교사회복지학의 이론적 모델연구," 「한국사회사업학회지」, (제 4집(한국사회사업학회), p.14.
5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1977), pp.14-15.
6 OECD(1916), Public Expenditure on Income Maintenance Programmes(OECD, Paris), p.15.
7 이글을 草하는테 주로 의거했던 참고문헌을 열거하면, 한국사회과학연구소(편)(1983), 「복지국가의 형성」, 민음사, 1장, 5장, G.V. Rimlinger(1971), Welfare Policy and Industrialization in Europe, America and Russia (N.Y.: John Wiley & Sons Inc.), Chapters 4,5에 의거했고 이인애(1984), "Bismark 사회보장제도에 관한연구," 이대석사논문을 참조하였다.
8 Rostow, W.W(1962), The Stages of Economic Growth: A non-Commuist Manifesto, 2nd, Rev.,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참조.
9 T.H. Marshall의 사회봉사개념으로서의 시민권(공민권, 정치권, 사회권)은 영국사회복지발달을 설명하는데 유효하다. T.H. Marshall (1963), Sociology ac the Crossroads and Other Essays, London: Heinemann.
10 장인협(1981), 「사회복지개론」, 한국사회개발연구원, p.43.
11 G.V. Rimlinger (1971), pp.148-154.
12 이해영·한승수(1980), 「영국의 사회복지」, 서울대학교출판부, pp.13-14.
13 분류에서의 용어정의는 앞서 기술한 독일의 분류내용참조. 주내용은 Beveridge의 6원칙을 근거로 이루어진다. Beveridge William(1942), p.9.
14 1949년, National Insurance Act. Industrial Injuries Act.
1948년, National Assistance Act.
1945년, Family Allowances Act.가 각각 통과되었다.
--------------------------------------------------------------------------------
이력사항
양심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이혜경
추천교수
  • 가격3,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