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효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플레이션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eflator의 차이?
오늘의 사과와 내일의 사과 가격?
실질금리와 명목금리의 차이는?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CPI)?
- 전형적인 도시가구가 소비(구입)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 묶음(바구니: ‘basket’)의 가격
* 이 품목구성은 소비자 소비패턴의 변화를 반영하여 정기적으로 수정한다.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CPI)는?
- 2000년 현재 우리나라의 CPI는 516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각 품목은 가중치를 가지고 있다.(5년 마다 조정)
- 기준년도의 소비자물가지수를 100으로 한다.
식료품: 180품목 (외식 35품목)
주거비: 15품목
광열수도: 8품목
가구집기 및 가사: 57품목
피목 및 신발류: 43품목
보건의료: 42품목
교육: 33품목
교양오락: 58품목
교통, 통신: 44품목
기타잡비: 36품목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516품목은
CPI와 물가상승률의 계산
CPI에 포함되는 품목과 수량을 결정: ‘쇼핑 바구니’를 결정
각 품목의 현재와 과거의 가격을 조사
그 ‘쇼핑바구니’를 ‘계산대’에서 계산: 현재와 과거의 생활비 계산
기준년도(Base Year)를 설정하고 그 해의 바구니 가격(CPI)을 100으로
각 연도의 CPI의 변화율이 물가상승률(Inflation rate)
연습
기준년도: 1995
1995년의 ‘쇼핑바구니’ 비용 = $1,200
같은 ‘쇼핑바구니’가 1996년에는 = $1,236
CPI = ($1,236 / $1,200) X 100 = 103
따라서, 1995년과 1996년 사이의 물가상승률은 3%
소비자물가지수 및 인플레이션율 계산의 예
Copyright2004 South-Western
소비자물가지수 및 인플레이션율 계산의 예
Copyright2004 South-Western
소비자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율 계산의 예
Copyright2004 South-Western
다른 물가지수들
특정한 목표를 위해 계산되는 물가지수들
지역물가지수
신선식품지수
생산자물가지수
도매물가지수
물가지수 측정상의 문제
소비자 물가지수의 변화가 과연 생활비의 변화와 물가수준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까?
세 가지 한계
대체효과에 의한 왜곡(Substitution Bias)
신상품의 등장(Introduction of new goods)
품질의 변화(Unmeasured quality change)
체감 물가지수와 공식 지수의 괴리
물가지수는 가상적인 가계에만 해당
가계마다 소비 지출 항목이 다름
소비지출 증가와 물가상승과의 착각
자동차나 TV 교체
소비자가 생각하는 소비자 물가지수
자신들이 구입하는 물건의 평균 가격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
부동산 가격, 주가 상승
CPI와 GDP 디플레이터의 비교
CPI
오직 소비재만을 포함
수입품의 가격변화도 반영
고정된 ‘쇼핑바구니’의 가격
GDP 디플레이터(Deflator)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 포함
수입품의 가격변화 반영 못함
‘쇼핑바구니’가 매년 다름
두 가지 물가지수의 상승률 : 1971~2003
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효과의 조정
인플레이션
물가지수의 상승률을 말함
근원적 인플레이션 (core inflation): 식료품 또는 에너지 가격 등의 예상치 못한 일시적 상승의 효과를 배제한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효과의 조정
물가지수를 사용하여 다른 시점의 재화 가치를 실질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역대 최고 연봉?)
어떤 가격이 물가상승률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장치를 ‘물가연동제’라고 한다.
1939
1977
1965
1982
1997
1956
1975
1965
1967
1937
개봉년도
$1,002
866
695
687
640
639
625
591
519
518
미국 내 흥행수입
(‘01 물가기준 100만 달러)
1.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2. 스타워즈
3. 사운드 오브 뮤직
4. ET
5.타이타닉
6. 십계
7. 죠스
8. 닥터 지바고
9. 정글북
10. 백설공주와 일곱 난장이
제목
미국의 역대 10대 흥행 영화 (불변 금액 기준)
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효과의 조정
1931년 베이브 르수의 연봉은 $80,000일 때 높은가 낮은가?
-1931년 물가지수는 15.2, 2001년은 177
2001년 연봉=1931년 연봉 X 물가 상승률
=$931,579
*2001년 배리 본즈 연봉=$1,800만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이자는 금전거래에 대한 미래의 보상, 문제는 화폐의 가치가 시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는 점
명목이자율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지 않은 이자율
실질이자율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이자율
실질이자율 = 명목이자율 - 물가상승률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당신이 1,000만 원을 1년 동안 빌렸다.
명목이자율은 연 15%
1년간 물가는 10% 상승
실질이자율은?
15% - 10% = 5%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1971~2003
KEY QUESTIONS
CPI는?
- 경제의 전반적인 물가수준
- CPI의 % 변화가 인플레이션
CPI는 완벽한가? NO
- 소비재의 대체
- 새로운 재화의 출현
- 재화의 서비스의 질적 향상
KEY QUESTIONS
CPI와 GDP Deflator의 차이?
- CPI: 소비재의 평균 가격
- GDP: 전반적인 재화/서비스 가격
■ 오늘의 사과와 어제의 사과 가격?
- 어제의 사과 가격은 오늘의 가격으로 평가
KEY QUESTIONS
실질금리 v.s. 명목금리
- 빌려주면 얼마
- (빌려주면 얼마)-(인플레이션)
http://209.85.175.104/search?q=cache:Kw7Ew7qoelEJ:hompi.sogang.ac.kr/cschung/class/undergraduate/eco2/chap24-05.ppt+%EC%9D%B8%ED%94%8C%EB%A0%88%EC%9D%B4%EC%85%98+%ED%9A%A8%EA%B3%BC&hl=ko&ct=clnk&cd=3&gl=kr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