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시라크 리더십의 개인적 측면
1 . 약력
2 . 정치입문 전 기간 - 학습기
3 . 정치 입문과 성장
Ⅲ. 시라크 리더십의 환경적 측면
1 . 정부체제와 리더십 요소
2 . 정당체제와 리더십 요소
3 . 여타권력간 리더십 요소
4 . 리더십 형성의 사회적 요소 - 프랑스 민족 문제
Ⅳ. 정책 리더십
1 . 정치 정책
2 . 경제와 사회 정책
3 . 외교 정책
Ⅴ. 시라크 리더십 분석
Ⅵ. 결 론
Ⅱ. 시라크 리더십의 개인적 측면
1 . 약력
2 . 정치입문 전 기간 - 학습기
3 . 정치 입문과 성장
Ⅲ. 시라크 리더십의 환경적 측면
1 . 정부체제와 리더십 요소
2 . 정당체제와 리더십 요소
3 . 여타권력간 리더십 요소
4 . 리더십 형성의 사회적 요소 - 프랑스 민족 문제
Ⅳ. 정책 리더십
1 . 정치 정책
2 . 경제와 사회 정책
3 . 외교 정책
Ⅴ. 시라크 리더십 분석
Ⅵ. 결 론
본문내용
강한 프랑스 국민들은 국가의 위신을 높여줄 대통령을 필요로 했는데 그는 국민들의 기대에 걸맞는 이미지를 찾아냈고 이것을 굳히기 위해 외교적으로 강한 이미지를 만든 것이다.
(1) EU에 관한 시라크의 입장 : 강한 프랑스 ‘신드골주의자’ 시라크의 노력
유럽을 분리하고 프랑스를 악화시킨 두 번의 세계대전을 거울 삼아, 유럽지역의 안보와 번영을 위해 독일과의 공동보조 하에 EU통합을 강력히 추진한다. ‘유럽안보의 유럽화’를 위해 서구동맹(WED)을 강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이를 EU 제도 내로 편입을 추진한다. EU의 ‘공동외교정책’하 EU 외교대표제를 도입을 추진한다. EU가 단순한 경제 협력체를 넘어서 국제무대에서 진정한 정치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EU 자체 방위안보 능력 배양을 위해 노력한다. 또한 테러, WMD 확산문제등 새로운 안보위협과 발칸, 아프가니스탄, 아프리카의 평화유지 활동 등에 대해서 유럽의 공동대응능력 재고를 추진한다. EU와 지중해 연안국과 협력 확대를 추진하고, 2004.5월 EU확대를 통해 유럽의 평화와 안정 뿐 아니라 시장확대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기대한다.
Ⅴ . 시라크 리더쉽 분석-가드너(Gadner)의 견해에 의한 분석
1) 목표의 비전화 : 집단의 공유 목표를 기초로 조직이 나아갈 방향을 설정해 줌에 있어서 시라크는 ‘강력한 프랑스’를 기치로 내걸고 프랑스를 EU연합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에 서도록 노력하며, 미국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대등한 위치에 서려고 함
2) 가치의 확립 : 사회 구성원의 공유 신념과 가치를 활성화 시켜 사회해체를 막으려 한다는 면에서 시라크는 민족주의와 부국 강병책의 결합한 드골주의를 정책으로 확립했다.
3) 관리 : 인사관리의 측면에서 2004년에 있었던 지방선거의 패배를 살펴보면 분위기 쇄신을 위해 인사의 개각을 단행했다. 특히 라파랭 총리 유임은 공공분야 개혁에 대한 시라크 대통령의 의지를 드러냈다. 라파랭 총리의 유임은 인기 없는 개혁정책을 지속할 ‘방탄 총리’의 필요성 때문이었다. 이보다 더 절묘한 것은 사르코지 장관의 경제 총수 임명인데, 10%에 달하는 실업률에 더해 프랑스 경제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 가운데 긴축정책은 인기를 얻기 어려운데, 자신의 경쟁자라고 할 수 있는 사르코지를 경제에 임명한 것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사실이라 할 수 있다.
4) 효과적 통합의 달성 : 다당제 체제의 정부 구조에서 다른 당과의 통합은 효과적 정국운영에 필수적이다. 시라크는 여러 분파로 갈라져 있던 우파를 UMP라는 대선다수연합의 형태로 결합시키고 내각 구성에서 다양한 우파 세력을 적절히 분배하여 자신의 정국운영에 대한 갈등을 최소하 시켰다.
5) 집단의 대표 : 신드골주의자로서 프랑스를 국제무대에서 꾸준히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EU연합에서 프랑스와 자신이 연합을 이끄는 주도 세력임을 나타내고 있다.
Ⅵ . 결 론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본문은 현재 프랑스의 대통령인 시라크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의 리더십 행태를 조사하였다. 시라크는 현재 대통령으로서 그에 대한 인지도가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같은 나라의 사람이 아닌 먼 나라 프랑스의 대통령이기에 자료의 기준 시점이 뚜렷이 제시되지 못하고 연구를 진행한 부분에 대하여 양해를 바라는 바이다.
기본적으로 드골의 이념을 기조로 하여 대내 대외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인물이 시라크이다. 대내적으로 프랑스 소요 사태와 같은 사건이 야기 되었지만, 이전의 사회당 정부의 큰정부 중심의 정책을 작은 정부로 전환하는 획기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대외적으로 강한 프랑스를 이어나가는 그의 리더십은 높이 평가 되어야 한다.
시라크의 임기는 2007년 까지 이어질 것이다. 재선에 대한 제한이 없는 프랑스에서 어쩌면 3선 대통령의 영광의 가능성을 갖은 사람이 라크이다. 비록 현재 대통령 재선으로 지지도가 하락하는 추세이기는 하나 프랑스 내에서 그의 인지도는 쉽게 사그러 들지는 않을 것이다. 시라크 연구를 기점으로 앞으로 삶에 있어서 프랑스라는 이전에는 관심 없었던 먼 나라가 조금은 더 가까운 나라가 될 것 같다 .
◇ 참고 자료 ◇
http://www.ambafrance-kr.org/
http://en.wikipedia.org/wiki/Jacques_Chirac
http://www.iraqinews.com/people_chirac.shtml
http://www.archontology.org/nations/france/france_state4/chirac.php
WWW.econopia.com
www. cafe. daum. net / Go720
로저 프라이스. 김경근 역,「혁명과 반동의 프랑스사」,(도서출판 개마고원 , 2001)
이정숙 ,「능력보다 더 인정받기」 , (한국능률협회, 2004)
네카즈 라시드 ,「새 천년, 세계는 어디로 가는가?」(끌리오, 1999)
이명남 ,「정치리더십의 주체적 해명」, (전남대 출판사 , 2002)
서울대 정치학교수 공저,「정치학의 이해」 (박영사 , 2004)
김정기, “프랑스 정당체제에 관한 연구”,「한국동북아논총」Vol. 12, (한국동북아학회, 1999)
홍태영, “일반의지의 실현으로서 국가 그리고 그 거울로서 정당; 프랑스 정당정치와 정당 민주주의”,「사회과학연구」, Vol. 11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외교 통상부,「프랑스 개황」, 2004
박재정, 심창학, “프랑스 공기업의 민영화와 국가역할”,「국제정치논총」Vol. 40 (2002)
레포트 월드 , " 신보수주의 외교전통과 부시행정부의 외교 정책” , 2004
권재현, “우리는 미국을 바로 보고 있는가”, 동아일보 (2004.3.8)
김정화 역,“프랑스 총선과 향후 정국의 변화” ( www. nanet. org , 1997)
이코노미스트 국제면 , 2004년 10월 26일
한겨레 신문 , 2005년 5월 31일, 2005년 7월 5일, 2005년 7월 7일
동아일보 , 2004년 3월 8 일 , 2005년 11월 10일
조선일보 , 2005년 11월 26 일
매일경제 , 2005년 11년 8일
아사히 신문 , 2005년 3월 23일
(1) EU에 관한 시라크의 입장 : 강한 프랑스 ‘신드골주의자’ 시라크의 노력
유럽을 분리하고 프랑스를 악화시킨 두 번의 세계대전을 거울 삼아, 유럽지역의 안보와 번영을 위해 독일과의 공동보조 하에 EU통합을 강력히 추진한다. ‘유럽안보의 유럽화’를 위해 서구동맹(WED)을 강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이를 EU 제도 내로 편입을 추진한다. EU의 ‘공동외교정책’하 EU 외교대표제를 도입을 추진한다. EU가 단순한 경제 협력체를 넘어서 국제무대에서 진정한 정치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EU 자체 방위안보 능력 배양을 위해 노력한다. 또한 테러, WMD 확산문제등 새로운 안보위협과 발칸, 아프가니스탄, 아프리카의 평화유지 활동 등에 대해서 유럽의 공동대응능력 재고를 추진한다. EU와 지중해 연안국과 협력 확대를 추진하고, 2004.5월 EU확대를 통해 유럽의 평화와 안정 뿐 아니라 시장확대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기대한다.
Ⅴ . 시라크 리더쉽 분석-가드너(Gadner)의 견해에 의한 분석
1) 목표의 비전화 : 집단의 공유 목표를 기초로 조직이 나아갈 방향을 설정해 줌에 있어서 시라크는 ‘강력한 프랑스’를 기치로 내걸고 프랑스를 EU연합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에 서도록 노력하며, 미국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대등한 위치에 서려고 함
2) 가치의 확립 : 사회 구성원의 공유 신념과 가치를 활성화 시켜 사회해체를 막으려 한다는 면에서 시라크는 민족주의와 부국 강병책의 결합한 드골주의를 정책으로 확립했다.
3) 관리 : 인사관리의 측면에서 2004년에 있었던 지방선거의 패배를 살펴보면 분위기 쇄신을 위해 인사의 개각을 단행했다. 특히 라파랭 총리 유임은 공공분야 개혁에 대한 시라크 대통령의 의지를 드러냈다. 라파랭 총리의 유임은 인기 없는 개혁정책을 지속할 ‘방탄 총리’의 필요성 때문이었다. 이보다 더 절묘한 것은 사르코지 장관의 경제 총수 임명인데, 10%에 달하는 실업률에 더해 프랑스 경제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 가운데 긴축정책은 인기를 얻기 어려운데, 자신의 경쟁자라고 할 수 있는 사르코지를 경제에 임명한 것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사실이라 할 수 있다.
4) 효과적 통합의 달성 : 다당제 체제의 정부 구조에서 다른 당과의 통합은 효과적 정국운영에 필수적이다. 시라크는 여러 분파로 갈라져 있던 우파를 UMP라는 대선다수연합의 형태로 결합시키고 내각 구성에서 다양한 우파 세력을 적절히 분배하여 자신의 정국운영에 대한 갈등을 최소하 시켰다.
5) 집단의 대표 : 신드골주의자로서 프랑스를 국제무대에서 꾸준히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EU연합에서 프랑스와 자신이 연합을 이끄는 주도 세력임을 나타내고 있다.
Ⅵ . 결 론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본문은 현재 프랑스의 대통령인 시라크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의 리더십 행태를 조사하였다. 시라크는 현재 대통령으로서 그에 대한 인지도가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같은 나라의 사람이 아닌 먼 나라 프랑스의 대통령이기에 자료의 기준 시점이 뚜렷이 제시되지 못하고 연구를 진행한 부분에 대하여 양해를 바라는 바이다.
기본적으로 드골의 이념을 기조로 하여 대내 대외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인물이 시라크이다. 대내적으로 프랑스 소요 사태와 같은 사건이 야기 되었지만, 이전의 사회당 정부의 큰정부 중심의 정책을 작은 정부로 전환하는 획기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대외적으로 강한 프랑스를 이어나가는 그의 리더십은 높이 평가 되어야 한다.
시라크의 임기는 2007년 까지 이어질 것이다. 재선에 대한 제한이 없는 프랑스에서 어쩌면 3선 대통령의 영광의 가능성을 갖은 사람이 라크이다. 비록 현재 대통령 재선으로 지지도가 하락하는 추세이기는 하나 프랑스 내에서 그의 인지도는 쉽게 사그러 들지는 않을 것이다. 시라크 연구를 기점으로 앞으로 삶에 있어서 프랑스라는 이전에는 관심 없었던 먼 나라가 조금은 더 가까운 나라가 될 것 같다 .
◇ 참고 자료 ◇
http://www.ambafrance-kr.org/
http://en.wikipedia.org/wiki/Jacques_Chirac
http://www.iraqinews.com/people_chirac.shtml
http://www.archontology.org/nations/france/france_state4/chirac.php
WWW.econopia.com
www. cafe. daum. net / Go720
로저 프라이스. 김경근 역,「혁명과 반동의 프랑스사」,(도서출판 개마고원 , 2001)
이정숙 ,「능력보다 더 인정받기」 , (한국능률협회, 2004)
네카즈 라시드 ,「새 천년, 세계는 어디로 가는가?」(끌리오, 1999)
이명남 ,「정치리더십의 주체적 해명」, (전남대 출판사 , 2002)
서울대 정치학교수 공저,「정치학의 이해」 (박영사 , 2004)
김정기, “프랑스 정당체제에 관한 연구”,「한국동북아논총」Vol. 12, (한국동북아학회, 1999)
홍태영, “일반의지의 실현으로서 국가 그리고 그 거울로서 정당; 프랑스 정당정치와 정당 민주주의”,「사회과학연구」, Vol. 11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외교 통상부,「프랑스 개황」, 2004
박재정, 심창학, “프랑스 공기업의 민영화와 국가역할”,「국제정치논총」Vol. 40 (2002)
레포트 월드 , " 신보수주의 외교전통과 부시행정부의 외교 정책” , 2004
권재현, “우리는 미국을 바로 보고 있는가”, 동아일보 (2004.3.8)
김정화 역,“프랑스 총선과 향후 정국의 변화” ( www. nanet. org , 1997)
이코노미스트 국제면 , 2004년 10월 26일
한겨레 신문 , 2005년 5월 31일, 2005년 7월 5일, 2005년 7월 7일
동아일보 , 2004년 3월 8 일 , 2005년 11월 10일
조선일보 , 2005년 11월 26 일
매일경제 , 2005년 11년 8일
아사히 신문 , 2005년 3월 23일
키워드
추천자료
박정희 대통령의 리더쉽(통치철학)에 관한 고찰
리더십의 본질과 이론 최고경영자(CEO)의 리더십 전략적 리더십 개발
[리더십이론] 리더십이론에 대한 고찰-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슈퍼 리더십-
분점정부를 경험하였던 미국 역대 대통령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정부형태와 대통령 거부권 ...
[대통령]이승만(이승만정권), 윤보선(윤보선정권), 박정희(박정희정권), 전두환(전두환정권),...
[대통령][전대통령]이승만대통령(이승만정권), 윤보선대통령(윤보선정권), 박정희(박정희정권...
역대 대통령의 특징
이명박 대통령 후보님께
노무현 대통령께 편지 글
[독후감/서평/요약/줄거리] KBS스페셜 행복의 리더십 _ 이재혁 저 ! - 나를 춤추게 하는 리더...
경영 리더십(경영자 리더쉽)의 종류, 의의, 경영 리더십(경영자 리더쉽)의 이론, 경영 리더십...
리더십 - 성공한 리더십 VS 실패한 리더십(세종대왕 리더십과 장면 총리 리더십)
대통령실 조직 비교 연구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리더십_권위적 리더십,민주적 리더십,방임적 리더십에 대하여 설명하고, 자신이 경험하였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