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발전국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발전국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변호사, 기술자, 공무원, 교육자, 중견관리자 등)이 원하는 수준까지 높이며, 사회의 모든 계층이 하나의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복지체제에 통합된다. 이러한 유형에서는 시장의 복지기능은 최소화되며, 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급여를 받고, 국가에 의존하고, 모든 사람이 지불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 사민주주의적 복지국가의 또 하나의 주요한 특징은 복지와 일을 적절히 배합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모형의 성공여부는 완전고용 정책의 성공여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국가에서의 완전고용 정책은 일할 권리와 사회복지에의 권리를 밀접히 연결시키고 있다(김태성성경륭, 2000: 179-281).
<표 3-5> 애스핑앤더슨의 세 가지 복지체제의 특성
복지체제
Esping-Andersen의 유형화
자유주의 체제
보수적-조합주의적 체제
사회민주주의 체제
지리적 위치
앵글로색슨
유럽대륙
스칸디나비아
가족의 역할
주변적
중심적
주변적
시장의 역할
중심적
주변적
주변적
국가의 역할
주변적
보조적
중심적
연대의 근거
시장
가족
국가
탈상품화 정도
매우 낮음
높음(가구주의 경우)
매우 높음
목적
빈곤과 실업의 퇴치
노동자들의 수입보장
소득보장과 공평한 재분배
운영 원리
선별성
기여성
보편성
배분의 규칙
필요, 빈곤
지위, 고용
시민권, 거주
급부의 성격
소득조건
비율적
총괄적
재원조달방식
조세
사회적 기여금
조세
관리방식
중앙정부
사회파트너
분권화된 정부
자료 : Esping-Andersen, (1999: 85), Palier & Daniel, (2001:35-38) 재구성.
참고문헌
곽효문 (2001), 복지정책론, 서울: 제일법규.
김기태, 박병현, 최송식 (2002), 사회복지의 이해, 서울: 박영사.
김상규 (1994), 사회복지론, 서울: 형설출판사.
김영화, 이옥희 (역) (1999), 복지와 이데올로기, George Vic & Wilding Paul, (1994), Welfare and Ideology, 서울: 한울아카데미.
김영화 외 (역) (2000), 욕구, 복지와 이데올로기, Hewitt, M., (1992), Welfare, Ideology and Need-Developing Perspectives on the Welfare State, 서울: 한울아카데미.
김태성성경륭 (2000),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출판.
남찬섭 (역) (1994), 이데올로기와 사회복지, George Vic & Wilding Paul, (1985), Ideoligy and Social Welfare, 서울: 한울아카데미.
남찬섭 (역) (1996), 복지국가의 사상과 이론, Mishra, R., (1981), Society and Social Policy-Theories and Practice of Welfare, 서울: 한울아카데미.
남찬섭 (2002), “한국 복지체제의 성격에 대한 경험적 연구-애스핑앤더슨의 기준을 중심으로,” 김연명 (편),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 서울: 인간과 복지.
박광준 (1990), 페비안 사회주의와 복지국가의 형성, 대학출판사.
Barry, N. P. (1979), Hayek's Social and Economic Philosophy, Macmillan.
Batifoulier, P. and Touze, V. (2000), La protection sociale, Paris: Dunod.
Briggs, A., (1961), Social Thought and Social Action: A Study of the Work of Seebohm Rowntree 1871-1954, Longman.
Esping-Andersen, G. (1990),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ambridge: Polity Press.
Esping-Andersen, G. (1999),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Gilmour, I. (1978), Inside Right, Quartet.
Gilmour, I. (1983), Britain Can Work, Martin Robertson.
Ginsburg, N. (1979), Class, Capital and Social Policy, London: Macmillan.
Lee , P. & Raban, C. (1983), "Welfare and Ideology" M. Loney, D. Boswell and J. Clarde(eds.), in Social Policy and Social Welfare,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Palier, Bruno & Daniel, Christine(eds.). (2001). La protection sociale en Europe: Le temps des reformes, Paris: Documentation francaise.
Rustin, M. (1980), "The New Left and the Crisis," New Left Review, no. 121, May-June, pp.63-89.
Taylor-Gooby, P. (1997), "European Welfare Futures: The Views of Key Influentials in Six European Countries on Likely Developments in Social Policy,"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31, No.1.
Tawney, R. H. (1931), Equality, Allen & Unwin.
Tilly, C., (1990). Coercion, Capital, and European States, AD 990-1990, Cambridge, MA: Basil Blackwell Inc.
Wicks, M. (1987), A future for all: Do we need a welfare state?, London: Penguin.
조용택(social860515)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