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를 거치며 김창용과 특무부대는 무소불위 권능을 발휘하는 조직으로 성장한다. 이승만의 총애라는 요인과 더불어 군장교들이 부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객관적 상황은 김창용의 위세를 더욱 높이는 요인이었다. 73) 김창용은 3대장 사이에 알력과 갈등을 조장하기 위해 선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 3대장 정립구도의 작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74) 김창용의 위세는 55년 소장 진급과 함께 더욱 높아져 이승만 이외의 누구도 김창용 세력을 억제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일부 군장성은 이승만 보다 김창용의 눈치를 보는 형편이었다고 한다. 75) 이와 같은 구도하에서 적어도 표면적으로 볼 때 군에 대한 이승만의 지배와 장악은 의심할 바 없이 효율적인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또 다른 차원에서 이 구도는 군내에 심각한 균열과 갈등 구조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이 균열과 갈등 구조는 끝내 김창용 암살사건의 배경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주목할 것은 군내의 갈등과 균열구조는 3대장 사이의 대립관계에서도 배태되는 것이었지만 가장 핵심적 요인은 한계 없이 커진 김창용의 위상과 권혁행사였다는 점이다.
주)
56. 선우종원. 위의 책; 유원식, 6.15비록-혁명은 어디로 갔나 (서울 :일본연구소, 1987)
57. 이한빈, 사회변동과 행정 (서울 :박영사, 1968)
58. 일반적으로 전쟁은 군부의 위신을 상승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59. 종전이 군부의 정치개입을 자극 할 수 있는 간과할 수 없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또 현실화 되었다는 지적은 다음을 참조 : 한국군사혁명사, 편찬위원회, 한국군사혁명사 (제1립, 1963) p. 192 강인섭, 4.19 군정계 미국의 장막 (서울 : 동아일보사, 1984) p. 128.
60. 자유당이 군을 50년대 후반 일종의 표밭으로 그리고 정치자금 조달처로 얼마나 중요시 했는가는 이형근, 군번1번의 외길인생 (서울 : 중앙일보사, 1994) , p.58
61. 조영중, 앞의 책, pp.211-242.
62. 즉 김종평 정보국장은 제주도 훈련소부소장, 이용문 작전국장 주장은 서남지구 전투사령관, 심언봉 헌병사령관은 논산훈련소 부소장으로 전출된다.
63. 이경재, 실록육군참모총장, p.202
64. 이형근, 앞의 책, p.58
65. 백선엽은 정일권이 이에 대한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고 한다. 백선엽, 길고 긴 여른말, 1950년 6월 25일(서울 : 지구촌, 1999) pp. 254-256
66. 이경재, 실록윤군참모총장 p.203
67. 그들 사이에 존재했던 긴장관ㄱ메 그것에서 비록되는 상호견제 현상에 대해서는 3대장 정립체제의 한 축을 구상했던 이형근의 회고록에 실감나게 묘사된다. 이형근, 앞의 책, pp.133-144
68.
69. 조병옥, 나의 회고록
70. 유지난은 당시 국회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이었다.
71. 다음은 불온문서투입을 정당화한 것으로 변호하는 성명서의 일부이다. "…마치 국회에서 헌병총사령관 원중장을 불러다가 질문하는 마당에 헌병총사련관이 공개로 말하기를 이것은 자기기 시켜서 전한 엇인데 그 목적은 이 국회의원들의 내용이 어떤 것을 알아보려고 보낸 것이라 하였다. 이 사실은 누구나 다 알 것이며 헌병총사련관부에서는 이런 것을 아는 것이 직책인 것이다.…이 사실은 내가 아는 대로 공포하는 것이니 이에 대해서는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이다." '불온문서건에 관해서' (4288.3.33) 대통령 이승만 박사 담화집 제2집 공보실, (4289) , p.124
72. 공국진, 앞의 책, p.259
72.
74. 이경남, 실록육군참모총장, p.203
75. 공국진, 앞의 책, pp.311-312.
알리미(rochex)
주)
56. 선우종원. 위의 책; 유원식, 6.15비록-혁명은 어디로 갔나 (서울 :일본연구소, 1987)
57. 이한빈, 사회변동과 행정 (서울 :박영사, 1968)
58. 일반적으로 전쟁은 군부의 위신을 상승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59. 종전이 군부의 정치개입을 자극 할 수 있는 간과할 수 없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또 현실화 되었다는 지적은 다음을 참조 : 한국군사혁명사, 편찬위원회, 한국군사혁명사 (제1립, 1963) p. 192 강인섭, 4.19 군정계 미국의 장막 (서울 : 동아일보사, 1984) p. 128.
60. 자유당이 군을 50년대 후반 일종의 표밭으로 그리고 정치자금 조달처로 얼마나 중요시 했는가는 이형근, 군번1번의 외길인생 (서울 : 중앙일보사, 1994) , p.58
61. 조영중, 앞의 책, pp.211-242.
62. 즉 김종평 정보국장은 제주도 훈련소부소장, 이용문 작전국장 주장은 서남지구 전투사령관, 심언봉 헌병사령관은 논산훈련소 부소장으로 전출된다.
63. 이경재, 실록육군참모총장, p.202
64. 이형근, 앞의 책, p.58
65. 백선엽은 정일권이 이에 대한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고 한다. 백선엽, 길고 긴 여른말, 1950년 6월 25일(서울 : 지구촌, 1999) pp. 254-256
66. 이경재, 실록윤군참모총장 p.203
67. 그들 사이에 존재했던 긴장관ㄱ메 그것에서 비록되는 상호견제 현상에 대해서는 3대장 정립체제의 한 축을 구상했던 이형근의 회고록에 실감나게 묘사된다. 이형근, 앞의 책, pp.133-144
68.
69. 조병옥, 나의 회고록
70. 유지난은 당시 국회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이었다.
71. 다음은 불온문서투입을 정당화한 것으로 변호하는 성명서의 일부이다. "…마치 국회에서 헌병총사령관 원중장을 불러다가 질문하는 마당에 헌병총사련관이 공개로 말하기를 이것은 자기기 시켜서 전한 엇인데 그 목적은 이 국회의원들의 내용이 어떤 것을 알아보려고 보낸 것이라 하였다. 이 사실은 누구나 다 알 것이며 헌병총사련관부에서는 이런 것을 아는 것이 직책인 것이다.…이 사실은 내가 아는 대로 공포하는 것이니 이에 대해서는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이다." '불온문서건에 관해서' (4288.3.33) 대통령 이승만 박사 담화집 제2집 공보실, (4289) , p.124
72. 공국진, 앞의 책, p.259
72.
74. 이경남, 실록육군참모총장, p.203
75. 공국진, 앞의 책, pp.311-312.
알리미(rochex)
추천자료
조직관리계층에 역할과 자질 (ceo형대통령)
CEO의 자질과 덕목
국내외 기업의 CEO(최고경영자) 양성사례 및 성공요인
[경영자][기업가][경영인][리더십]경영자(기업가) 정의, 경영자(기업가) 종류, 경영자(기업가...
[기업가][경영자][기업경영][최고경영자][CEO][리더십][리더쉽]기업가(경영자)의 정의와 기업...
기업가(경영인)의 자질론 고찰과 기업가(경영인)의 개념, 역할 및 기업가(경영인)가 가져야할...
[CEO][최고경영자][경영인][기업경영][경영자]CEO(최고경영자)의 의무, CEO(최고경영자)의 위...
CEO의 본질(개념, 기능, 역할) 및 CEO 자질과 조건,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