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와 반두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주의와 반두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어려워도 간결하게 설명이 잘되있는것 같습니다 ㅎㅎ...
반두라는 전통적 행동주의 관점에서 인지적 접근을 추가하여 형성되었다. 반두라의 행동이 단지 내적 힘이나 환경적 영향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는 행동이 내적 과정과 환경적 영향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발생된다고 믿었다.
그의 학습모델에 따르면 , 내적 과정은 개인의 이전 경험에 근거한 것으로서 측정할 수 있고, 조작될 수 있는 내현적 사건이다. 이러한 중재적 사건(인지적 과정)은 외적자극에 의해 통제되며, 외현적 반응을 결정한다. 스키너와 달리 이처럼 반두라는 행동의 실제적 원인으로서 인지적 역할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하였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의 모델링 원리를 적용한 많은 연구들은 대중매체에서 보여 주는 폭력적인 공격성을 청소년들이 대리적 학습을 통해 모방한다는 것을 입증해왔다. 하지만 그는 인간의 인지를 통한 관찰학습에서 학습과 수행간의 차이를 구별하였다.
반두라는 세 가지 용어 수반성(자극-행동-결과)에 근거한 스키너의 급진적 행동주의가 인간을 수동적 수용자로 본다는 점에서 비판적이다. 그는 인간이 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동물이 음식을 먹기 위해 지렛대를 누르는 방식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급진적 행동주의자들이 인간행동의 가장 중요한 원인 및 인간성격의 원천을 간과한 것으로 본다. 이러한 간과된 원인이 정보의 사고 및 상징적 과정이라고 보았다. 최근에 반두라는 원래는 사회적 학습이론이라고 불렀던 자신의 접근방식을 사회적 인지이론이라고 수정하였다.
...(생략...)
출처 : 성격심리학 , 학지사 , 노안영 .강영신 공저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