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를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를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의미로 사용되었다. 채색(彩色)은 색을 입힌다는 뜻이다. 꾸밀 조(彫) 혹은 새길 조(彫)자는 뜻을 나타내는 터럭 삼()자와 [두루 주(周)→조]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여기에서는 터럭 삼()자가 \"털로 색을 칠해 꾸민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조각(彫刻)은 나무나 흙 등을 새기거나 빚어서 만든다는 의미이다.형상 형(形)자는 뜻을 나타내는 터럭 삼()자와 [우물 정(井)→형]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여기에서는 터럭 삼()자가 \"형상(形狀)을 그린다\"라는 의미이다.빛난다는 의미의 글자에도 사용된다.닦을 수(修)자는 매를 맞아가며(), 땀을 흘려 가면서(ㅣ) 열심히 수련하는 사람(人)의 모습이다. 나중에 열심히 수련함으로서 \"빛나게 한다\"는 의미로 삼()자가 추가 되었다. 수련(修鍊)은 학문이나 기술을 닦아서 단련한다는 뜻이다.그림자 영(影)자는 뜻을 나타내는 날 일(日)자와 빛날 삼()자와 [서울 경(京)→영]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그림자는 해(日)가 빛날() 때 생기는 것이다. 무영탑 (無影塔)은 경주 불국사의 석가탑(釋迦塔)으로, 백제의 공인(工人) 아사달과 그를 찾아온 부인 아사녀의 전설에서 그림자(影)가 없는(無) 탑(塔)이란 뜻이다.소리가 퍼지는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로도 사용된다.힘있을 팽(彭)자는 북 주()자와 터럭 삼()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받침대 위에 올려 놓은 북()에서 힘차게 소리가 나오는 모습()이다. 팽창(膨脹)은 부피가 늘어난다는 뜻이다.석 삼(參)자는 사람(人)의 머리 위에 있는 3개의 별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3이란 뜻으로 사용되면서 [터럭 삼()]자가 추가되었다. 삼()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이다. 삼(參)자는 간여할 참(參)자로도 사용됨에 유의하자. 참여(參與)는 참가하여 간여한다는 뜻이다. [석 삼(參)]자에 풀 초()자가 붙으면 인삼 삼(蔘)자가 되고, [간여할 참(參)]자에 마음 심()자가 붙으면 참혹할 참(慘)자가 된다.선비 언(彦)자는 글월 문(文)의 변형자, 빛날 삼()자, [기슭 엄()→언]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산기슭()에서 문신(文)을 그리기 위한 색상()을 얻어내기 위한 광물성 안료라는 의미이었으나, 이러한 안료를 사용할 만한 미청년이나 선비를 일컫는 말로 전주되었다.▶ 髮 : 터럭 발, 긴 장(長)의 간략형 + 터럭 삼() + [달아날 발()] / 백발(白髮)☞ 拔 : 뺄 발, 손 수() + 달아날 발() / 발본색원(拔本塞源)▶ 彩 : 채색 채, 터럭 삼() + [캘 채(采)] / 채색(彩色)▶ 彫 : 새길 조, 꾸밀 조, 터럭 삼() + [두루 주(周)→조] / 조각(彫刻)▶ 形 : 형상 형, 터럭 삼() + [우물 정(井)→형] / 형상(形狀) ▶ 影 : 그림자 영, 날 일(日) + 빛날 삼() + [서울 경(京)→영] / 무영탑 (無影塔)▶ 彦 : 선비 언, 글월 문(文) + 빛날 삼() + [기슭 엄()→언]
http://hkpark.netholdings.co.kr/web/manual/default/manual_view.asp?menu_id=98603&id=885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