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 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허용
59.1
20.7
34.6
주택관련 분양 알선 및 가산점 부여
18.6
0.4
2.3
4. 장애인복지의 과제
장애인복지의 목적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함께 살 수 있는 복지공동체의 구축에 있다.
재가장애인이 사회나 국가에 대해 요구하는 사항은 생계보장 30.3%, 의료혜택 확대(25.6%), 주택보장(7.4%) 등으로, 기본적 욕구충족에 머물러 있다.
장애인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 꼭 실현시켜야 할 과제.
1.장애인의 인권을 보장하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장애를 이유로 차별하지 않은 사회를 지향한다.
자립능력이 낮고 보호를 필요로 하는 중증장애인, 여성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더 크다는 점을 직시, 복지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2.장애인의 발생을 적극 예방하고, 장애인의 잔존능력을 최대한 보전하는 의료서비스와 특수교육을 보편화시킨다.
재활의학과 특수교육을 발전시켜서 장애의 유형과 수준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3.모든 장애인의 기초생활을 보장해야 한다. 소득이 낮은 장애인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권자로 선정, 장애수당을 장애유형과 등급에 맞게 현실화시켜야 한다.
4.장애인이 자신의 신체적/정신적 여건에 맞고 개성과 기호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고, 평생 평등노동을 할 수 있도록 고용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특히, 중증장애 취업이 어려운데 적합한 취업훈련, 취업알선, 사후관리로 일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5.장애인이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에 편의증진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장애인의 활동을 억제하는 지역사회의 모든 장벽을 철폐한다.
6.장애인이 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장애인을 위한 전문가를 양성, 배치해야 한다.
장애인을 위한 복지에서 장애인에 의한 복지로 나아갈 수 있도록, 장애인 관련 정책형성, 집행, 평가 과정에 장애인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또한, 재활전문의, 사회복지사, 재활간호사, 수화통역사 등 장애인 전문가를 양성하고 국립재활종합병원, 수화방송국, 국립중앙점자도서관,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연구원 등 장애인을 위한 국공립기관 설립이 필요함.
<자기평가와 과제>
1. 수강생은 가족과 친척 혹은 친구/친지 중에서 가장 가깝게 지내는 장애인을 한 명 선택해서 그 사람이 장애인이 된 원인을 알아보고, 장애인으로 살아가면서 가장 큰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2. 수강생이 가장 가깝게 지내는 장애인이 받은 의료적, 교육적, 직업적, 사회적 서비스에는 어떤 것이 있고, 그것이 해당 장애인의 재활과 정상화에 얼마나 유익했으며,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3. 장애를 극복하고 훌륭한 업적을 남긴 사람에 관한 책을 읽거나, 기록물/영화를 보고 그 극복과정에서 사회복지사, 교사, 의사 등 관련 전문인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본다
4. 선진 외국의 장애인복지에서 한국의 장애인복지의 발전을 위해서 도입할 만한 제도나 프로그램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단원정리>
이번 강좌에서는 장애인복지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았다.
우리 사회는 산업화, 도시화, 고령화와 함께 장애인 수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유전적 요인이나 출산전후나 아동기의 영양결핍, 질병, 부적절한 양육 등에 의해서 장애인이 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질병과 노령으로 장애인이 많이 생기고 있다.
근래까지 우리 나라는 눈에 쉽게 띄는 신체장애인에게 관심을 가졌는데, 최근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되어서 장애인 범주에 정신장애인과 내부기관 장애인이 포함되었다.
모든 장애인의 잔존 능력을 보전하고 개발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치료를 하고, 특수교육, 직업훈련, 각종 사회복지 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 동안 한국 사회는 장애인을 차별하는 나쁜 풍습이 있었는데, 이를 극복하고 장애인에게 장벽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다른 나라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이번 강좌에서는 장애인의 생활실태와 장애인복지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장애인의 생활과 복지를 소득, 의료, 교육, 고용, 편의시설, 장애인복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 장애인의 생활은 아직 열악하고 복지수준은 크게 미흡했다. 예컨대, 장애인 가주주나 장애인이 있는 가구의 월 평균소득은 도시근로자가구의 46.4%에 불과하고, 정부가 가난한 중증장애인에게 주는 장애인수당은 월 45천원으로 소액에 그쳤다. 최근 재가장애인의 자립을 위해서 장애인의 고용, 편의시설의 설치, 여성장애인의 결혼 등에 관심을 갖는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장애인복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목표설정과 가시적인 성과도 중요하지만, 모든 장애인의 잔존 능력을 키우고 장애인에게 장벽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장기적인 방향설정과 꾸준한 실천이 병행되어야 한다. 장애인이 행복하게 사는 복지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다음 강좌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복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사이트>
한국복지교육원 www.welfare.pe.kr
국립특수교육원 kise.or.kr
보건복지부 www.mohw.go.kr 초기화면에서 분야별정보-- 사회복지--장애인복지 를 클릭하여 정책자료를 볼 수 있게 한다. ***
복지인마을 maeul.welfare.net
사회복지정보원 www.welfare.or.kr
일본 후생성 www.mhlw.go.jp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www.kepad.or.kr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hanjc.ksrd.or.kr
한국맹인복지연합회 www.kbuwel.or.kr
한국정신지체인애호협회 www.city21th.co.kr/kamr
한국장애인재활협회 www.ksrd.or.kr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kawid.ksrd.or.kr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www.cowalk.or.kr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 www.kadi.or.kr
한국산재노동자협회 www.kapiw.or.kr
부산장애인총연합회 www.pjy.or.kr
한국치료레크레이션협회 ktra.com
KBS인터넷 사랑의 광장 www.kbs.co.kr/lovevoice
정은나눔(agnes309)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7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