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과 헝가리와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페인과 헝가리와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마주엘라(Mazuela)라고 불림
4. 그라시아노 (Graciano)
- 생산성이 낮은 품종으로 다른 품종과 블랜딩으로 사용됨
- 어린 그라시아노 와인은 타틱하고 거칠며 자극적(Tart)이지만 숙성되면 잘 발달됨
5. 모나스트렐 (Monastrell)
- 프랑스에서 무르베드르 (또는 마타로 Mataro)로 불리는 품종
- 당도가 높고 생산성이 좋은 적포도 품종으로 짙은 색의 알코올이 높은 와인을 생산함
- Alicante, Almansa, Costers del Segre, Jumilla, Penedes, Valencia, Yecla의 주 품종
6. 보발 (Bobal)
- 껍질 색이 짙은 적포도 품종으로
- Valencia, Cuenca, Albacete 등 스페인 남동부 지역의 주요 품종임 (벌크와인 용)

※ Rioja 블랜딩 - 리오하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블랜딩 방법
- 70%의 뗌쁘라니오 => 신선미와 과일 풍미
- 20%의 가르나차 => 무게감과 알코올을 부여
- 10%의 까리네나와 => 색감과 따뜻함 (Warmth) 보완
그라시아노 => Finesse (완성도?)를 더함

[청포도 품종]
1.아이렌 (Airen)
- 가뭄에 강한 청포도 품종으로 중부 스페인에서 다른 품종보다 2배 이상 많이 재배됨
- 전통적으로 브랜디나 고알코올의 화이트 와인 생산에 기본 품종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개선된 양조방식 등으로 단순하고 산뜻한 드라이 화이트 와인 생산에도 사용됨
- La Mancha, Valdepenas 지역에서의 주된 품종임
2. 마카베오 (Macabeo)
- 비우라 (Viura) 라고도 불리며 북부 스페인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청포도 품종
- 생산되는 와인은 꽃향기와 상대적으로 낮은 산도에 산화에 강한 특징을 가짐
3. 팔로미노 (Palomino)
- 헤레즈 지역에서 쉐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화이트 품종
- 안달루시아 지방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헤레즈, 루에다, 갈리시아 등지에서 재배됨
4. 페드로 지메네스 (Pedro Ximenex)
- 당도가 높은 청포도 품종. 쉐리 외에 중성적인 향의 드라이 테이블 와인 생산에도 쓰임
- Andalucia, Valencia, Extremadura, malaga 등에서 많이 재배됨

[참고자료]
ㅇ http://www.winesfromspain.com
ㅇ http://www.who.int
ㅇ http://www.oiv.org/
ㅇhttp://blog.naver.com/bb5399/120011009768 (써니님 자료)
헝가리와인 와인study
http://blog.naver.com/ran734/40014861718
헝가리와인
1. 특징
1) 1893년 이미 원산지 통제제도를 확립한 오랜 역사의 전통적인 와인생산국가
2) 공산화 이후 별 특징이 없는 와인이 생산되었으나 공산주의 붕괴 후, 외자도입 및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품질관리에 힘쓰고 있음.
2. 헝가리와인법
1) 아쓰탈리 보르 (Asztali Bor) : 테이블와인. 수출 시에는 상표에 표시되지 않음
2) 미뇌세기 보르 (Minosegi Bor) : 품질와인
3) 스페살 퀄리티와인 (Special-Quality wine) : 노블 롯 포도로 만들며 국가와인 인장 새겨짐
3. 주요 품종
1) 유럽종 : 샤르도네, 까베르네 쇼비뇽, 메를로, 피노 누아, 리슬링 등
2) 토착 품종
① white : 푸르민트, 하르쉬레베류, 오랄츠(올라쏘)리슬링, 뮈스카 루넬 등
② red : 케크프랑코쉬, 오포르토, 카다르카, 에제르요 등
4. 주요 생산지역
1) 대평원
① 다뉴브강 동쪽에 취한 곳으로 헝가리 국토의 절반 차지
② 전체 와인의 50%를 생산하나 주로 테이블 와인이 차지
2) 발라톤호수 주변
① 북부 다뉴브 : 발라톤호수 북쪽 지역으로 바라초니산기슭에 위치하며 white wine 와인 생산
② 남부 다뉴브 : 주로 부르고뉴 타입의 red wine 생산
3) 북부 헝가리
① 에게르 : 부타페스트 북동쪽 슬로베키아 국경지역에 위치. 유명한 와인으로 Bull's Blood가
있음
② 토까이 헤겔랴 : 헝가리의 대표적 와인 명소. 화산지대의 특이한 토양으로 형성
티사강과 보드그로강의 합류지점으로 귀부포도 형성이 용이.
토까이가 유명함.
5. 유명와인
1) 에그리 비카베르 : 일명 황소의 피(Bull's Blood) 라 불림. 그 유래는 터기군과의 전쟁에서
헝가리군이 red wine을 마시는 장면을 목격한 터키군이 황소피를 마신다는
보고를 한 것에서 유래
2) 토까이 :
① 헝가리 와인을 연상할 때 제일 먼저 떠 오르는 이름으로 루이 15세의 "와인의 왕이며 왕들의
와인" 이란 말로 유명함
② 프랑스의 쏘테른, 독일의 트로켄베렌 아우스레제와 함께 세계 3대귀부와인으로 불림
③ 프랑스보다 200년, 독일보다 150여 년 앞서 귀부와인 생산
④ 종류
ㄱ. 싸모르드니 : 노블 롯 포도던 아니던 상관없이 그 지역에서 수확한 포도로 만들어짐.
따라서 노블 롯 비율에 따라 dry 혹은 sweet 한 타입으로 생산
=> Aszu(아쑤) : 보크리티스 시네리아의 영향을 받은 포도의 헝가리 말. 노블 롯 상태의
포도를 25L 용기(putton)에 으깨 넣고 일주일 정도 두면 바닥에 주스가
고인다. 이 주스가 순수한 에센시아임
ㄴ. 토까이 아쑤 : 에센시아 추출 후의 나머지 포도를 죽 상태로 만든 다음 140L들이 통에 채운
뒤, dry와인과 섞는다. 이것을 통에 가득 채우지 않고 두면 와인의 표면에 효
모의 막이 생기면서 산화되어 독특한 토까이의 향을 나타낸다. 이때 첨가하
는 아쑤의 푸톤수가 많을수록 더 달고 산도도 높으며 강한 맛이 난다.
5 ~7년 정도 오크통 숙성을 하는데 푸톤수에 2을 더한 것이 숙성기간이다.
ㄷ. 토까이 아수 에센시아 : 순수한 아쑤만으로 만든 와인. 보통 아쑤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
지나 가장 수확이 좋은 해에 최고의 포도원에서 산출된 것만을
사용한다. 오크통에서 10년 이상 숙성시켜 맛이 진하고 오래 발효
시켜도 알콜함량은 낮으며, 맛의 변화가 거의 없어 100년 이상
숙성도 가능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