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도의 종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척도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재생계수가 90% 이상이면 척도로서 적절한 것으로 받아들인다(재생계수 90%란 응답자의 등위만 알면 90%의 정확성을 갖고 각 응답자가 각 문항에 대하여 어떤 응답 범주에 체크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⑤ 따라서 위의 척도를 그대로 척도로 사용.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태도에 대한 점수는 클라이언트 20명 각각의 평점을 구한 후 그 각각의 평점을 평균하여 구한다.
5. 서스톤 척도화(Thurstone Scaling), 혹은 유사동간법(Method of Equal-appearing intervals)
1) 서스톤 스케일이란?
- 사회현상은 엄밀한 등간척도를 구성하기가 어렵지만, 통계처리를 위해서는 등간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그 속성의 특성과 상관없이 척도 구성의 기술적인 차원에서 등간척도를 만드는 절차를 거쳐서라도 척도의 등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런 목적에서 구성되는 것이 서스톤의 척도구성이다.
- 서스톤 척도는 절대적 기준에 의해 평가하는 평정척도와 달리 여러 개의 문항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평가하는 평위척도(ranking scale)이며, 척도의 간격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유사동간법이라고 부른다.
- 리커트 척도에서의 문항들이 서스톤 척도에서는 그대로 하나의 응답 범주들이 된다. 리커트 척도에서는 하나의 문항이 있으면 그 문항에 대해 5점 척도일 경우 5개의 응답지가 주어지지만, 서스톤 척도에서는 각 문항 자체가 고유한 척도값을 갖는 응답 범주가 된다는 것이다.
2) 어떻게 구성하는가?
① 연구주제와 관련된 문항 또는 진술들을 광범하게 수집, 또는 만든다. 가장 우호적인 것부터 비우호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특히 리커트 척도와 달리 중간적인 성향을 가진 내용도 포함시켜야 한다.
ex) 사회복지기관의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진술)들
1. 사회복지기관으로부터 항상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 사회복지기관은 전문적인 일만 하고 있다.
3. 사회복지기관은 필요로 하는 것을 얻는 데 전문적인 도움을 준다.
4. 사회복지기관은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한 도움을 준다.
5. 사회복지기관 업무의 상당한 부분은 전문적인 것이다.
6. 사회복지기관의 업무는 전문적인 것과 비전분적인 것이 절반씩 혼합해 있다.
7. 사회복지기관의 업무는 일반 행정기관의 업무와 전문성에 있어 별 차이가 없다.
8. 사회복지기관 업무의 상당한 부분은 비전문적인 것이다.
9. 사회복지기관은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한 도움을 주지 못한다.
10. 사회복지기관은 별로 전문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
11. 전문 사회복지기관인지 일반 행정기관인지 구분하지 못할 정도이다.
12. 사회복지기관은 일반 행정기관보다도 전문성이 부족하다.
② 수집한 문항들을 다수의 판단자들에게 주어 비교 평가하도록 한다. 판단자는 50명 이상으로 반드시 전문가가 아니어도 객관적인 평가를 해줄 수 있는 사람이면 된다.
- 예를 들어 수집한 문항이 33개이면 판단자들로 하여금 가장 우호적인 문항에서 가장 비우호적인 문항에 이르는 전체 문항들을 3개의 문항씩 11개 집단으로 배열하도록 한다.
③ 매 문항이 각 집단에 속하게 된 빈도를 계산하여 그 분포를 알아내고 그 분포에서 중위수와 사분위수를 구한다. 중위수와 사분위수를 구하기 위해서 누적빈도 및 누적백분율을 이용한다.
ex) 판단자 100명에게 위의 3번째 문항(사회복지기관은 필요로 하는 것을 얻는 데 도움을 준다.)을 평가하도록 한 결과
<표 7-5> 3번 문항에대한 100명의 평가 결과
<그림 7-2> 3번 문항에 대한 100명의 평가 결과 그래프
- 3번 문항의 중위수(50% 위치)는 3이고, 제1사분위수는 2(25% 위치), 제3사분위수는 4(75% 위치), 그러므로 사분편차는 2(4 -2 =2)이다. 여기서 각 문항의 중위수는 그 문항이 태도연속선상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의미(즉 그 문항의 척도값을 의미)하며, 제3사분위수에서 제1사분위수를 뺀 사분편차는 그 문항의 모호성 내지 착오의 정도를 의미한다.
- 사분편차가 크다는 것은 판단자들 중 어떤 사람은 그 문항에 높은 점수를 주고, 어떤 판단자는 그 문항에 낮은 점수를 주어 판단자마다 그 문항을 다르게 평가하고 있다는 뜻이다. 결국 이렇게 사분편차가 큰 문항은 애매한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것으로 척도에 포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항이라는 것이다. 반면 사분편차가 작다는 것은 모든 판단자들이 이 문항을 거의 같게 평가한다는 의미로서 이 문항의 뜻이 애매하지 않고 명확하므로 척도에 포함하기에 적합하다는 뜻이다.
④ 사분편차가 작고 척도 전체에 균등하게 배열된 중위수(척도값, 척도치)를 가지고 있는 문항들을 골라 척도를 구성한다.
- 중위수가 1정도 되면서 사분편차가 적은 문항을 1개 선택하고, 중위수가 2정도 되면서 사분편차가 적은 문항을 1개 선택하며...... 중위수가 11정도 되면서 사분편차가 작은 문항을 1개 선택한다. 이렇게 의미가 애매하지 않으면서 11점 척도 전체에 골고루 분포된 11개의 문항을 선택하여 척도를 구성한다.
⑤ 척도 구성에 적합한 11개의 문항들을 선정하였으면, 그 문항들의 중위수를 각 문항의 척도값(scale value)으로 삼는다.
⑥ 척도구성에 선정된 문항들은 척도값의 순서대로 배열하지 않고 무작위로 순서를 섞어서 조사대상자에게 사용한다.
- 피조사자가 자신의 의견과 일치되는 문항에 표시를 하면 그 문항들의 척도치를 합하여 평균을 계산한 값이 그 피조사자의 평점이 된다.
ex) 자기 의견과 일치되는 3개의 문구를 선택하게 했을 경우, 응답자가 2번 문항, 3번 문항, 4번 문항을 선택했다면 그 사람의 평점은 2+3+4/3 = 3점이 된다.
- 피조사자들의 평점을 평균한 것이 그 집단의 평균점수가 된다.
3) 서스톤 척도의 장단점은?
● 장점
① 척도의 타당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한다.
● 단점
① 조사대상자 외에 별도의 판단자(평가자)를 두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② 판단자에 따라 문항에 대한 평가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③ 각 문항의 중위수를 척도치로 삼고 등간격성을 가정하지만 엄격하게 등간격성이 보장되는지는 의문이다.
출처-열사대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7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