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일상생활 관련 활동(예: 산책하기, 가게 가기 등)이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계획하고 있다. (예: 잘 걷는 영유아의 경우 1주에 3회 이상 실외로 나가기, 못 걷는 어린 영아의 경우 매일 외부 햇볕 쬐기 등)
( ) 실외활동이나 일상생활 관련 활동이 계획되어 있으나 충분하지 않다.
( ) 실외활동이나 일상생활 관련 활동이 거의 계획되어 있지 않다.
4. 지역사회 시설을 이용한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 ) 지역사회 시설(예: 공원, 박물관, 도서관, 소방서, 야외농장 등)을 이용한 활동이 일년에 6회 이상 계획되어 있다.
( ) 이상의 활동이 일년에 3~5회 계획되어 있다.
( ) 이상의 활동이 일년에 2회 이하이다.
5. 영유아의 개별적인 가정 배경과 행동 특성을 보육활동 계획에 반영한다.
( ) 영유아에게 민감하게 반응하기 위해, 개별 영유아의 가정상황 및 행동 특성을 보육활동의 계획에 반영한다.
( ) 영유아의 가정 상황 및 행동 특성을 이해하고는 있으나, 보육활동 계획에 반영하지 않는다.
( ) 개별 영유아의 배경과 행동 특성에 대한 배려가 없다.
6. 영유아 집단의 연령 차이를 고려하여 대안적 활동을 계획한다.
( ) 대체로 영유아가 선택할 수 있는 활동을 연령별로 다르게 몇 가지 계획한다.
( ) 가끔 연령 차이를 고려하여 활동을 계획한다.
( ) 개별 영유아의 연령차를 고려한 활동을 거의 계획하지 못한다.
[보육활동과 자료]
7. 영아들이 좋아하는 놀이감은 동일한 것으로 여러 개 준비한다.
( ) 영아들이 좋아하는 놀이감은 똑같은 것으로 여러 개 있다.
( ) 같은 놀이감이 여러 개 있기는 하나, 색깔이나 크기가 달라서 동일하지 못하다.
( ) 같은 놀이감이 거의 없다.
8. 감각활동과 조작을 위한 영아용 놀이감이 충분하다.
( ) 눈과 손의 협응을 위한 조작 및 감각 놀이감이 영아 수에 맞게 충분히 있다.
(예: 감각놀이대, 촉감판, 밀가루 반죽, 누르면 튀어나오는 까꿍 놀이감,
조각이 큰 그림 맞추기 등)
( ) 조작 및 감각 놀이감이 영아 수에 비해 충분하지 않다.
( ) 조작 및 감각 놀이감이 거의 없다.
9. 대소근육 활동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이를 촉진하는 활동을 한다.
( ) 대소근육 활동 자료(예: 다양한 크기의 공/ 영아의 경우 붕붕카, 오름틀과 미
끄럼틀, 밀기 장난감/끼우기, 퍼즐 등)가 다양하게 충분히 준비되어 있으며, 이
를 사용한 활동을 매일 한다.
( ) 대소근육 활동 자료가 다양하지 않고 영유아의 수에 비해 충분하지 않으며, 이를 사용한 활동을 일주일에 3-4회 한다.
( ) 대소근육 활동 자료가 거의 없으며, 이러한 활동의 기회도 거의 없다.
10. 언어활동을 위한 다양한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언어활동이 다양하게 진행된다.
( ) 언어활동 자료(예: 연령에 적합한 그림책, 헝겊책/ 종이, 굵은 연필, 색연필 등)가 언제나 사용할 수 있도록 비치되어 있고, 언어활동이 다양하게 진행된다.
( ) 언어활동 자료가 비치되어 있으나, 자료가 연령에 적합하지 않고, 수가 충분하지 않으며, 언어활동 중 어느 한 영역에 활동이 치중되어 있다.
( ) 언어활동 자료가 한 두 가지로 제한적이며, 언어활동은 학습지를 이용하여 주로 읽기, 쓰기 연습을 한다.
11. 탐구활동을 위한 다양한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자료를 활용하여 탐구력, 사고력을 촉진하는 활동을 한다.
( ) 수조작과학활동을 위한 실물 자료가 다양하며, 이러한 자료를 활용한 활동이 자주 진행된다. (예: 수세기 실물 자료/ 작은 블록류/ 자연물 등)
( ) 수조작과학활동을 위한 자료의 종류가 적으며, 평면자료(예: 수 카드)를 활용한 활동이 주로 이루어진다.
( ) 수조작과학활동을 위한 자료가 거의 없고, 수과학 활동도 거의 하지 않거나, 가끔 평면자료를 이용한 활동을 한다.
12. 표현활동을 위한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다양한 표현 활동이 이루어진다.
( ) 음악, 미술 및 극놀이를 위한 자료가 영유아 수에 맞게 충분하게 구비되어 있고, 개별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활동이 자주 진행된다. (예: 그리기, 만들기, 입체꾸미기 등/ 영아의 경우, 긁적거리기, 간단한 가위질, 굵은 붓으로 그리기, 신문지 찢기 등)
( ) 음악, 미술 및 극놀이를 위한 자료가 있으나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며, 창의적인 활동보다는 모두 똑같이 만드는 모방활동이 많다. (예: 교사가 만든 견본작품 따라하기)
( ) 음악, 미술 및 극놀이를 위한 자료가 거의 없고, 한 두 가지의 제한된 활동을 따라한다. (예: 색종이 한 장 주어 접기 활동하기, 그리기, 한가지 폐품을 이용하여 만들기)
13. 역할놀이 및 쌓기 놀이를 위한 다양한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이를 사용하여 놀이를 한다.
( ) 역할 및 쌓기 놀이감의 내용이 다양하고, 영유아 수에 맞게 충분하며, 다양한 역할놀이 및 쌓기놀이가 진행된다. (예: 옷, 그릇, 음식모형/ 종이블록, 다양한 블록들 등)
( ) 역할 및 쌓기 놀이감의 종류가 제한적이고, 수가 충분하지 않거나, 역할놀이 및 구성놀이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한다.
( ) 역할 및 쌓기 놀이감이 거의 없고 이러한 놀이 기회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다.
14. 나누기, 협동하기, 도와주기 등 친사회적 활동을 한다.
( ) 친사회적 활동 기회를 제공하며, 일상적 상황을 자연스럽게 활용한다.
(예: 놀이감 나누기/ 공동 작업, 게임에서 협동하기/ 간식돕기 등)
( ) 영유아에게 친사회적 활동 기회를 제공하지만, 보육교사의 일방적 지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 ) 친사회적 활동의 기회가 거의 없다.
15. 예절과 질서 등의 기본 생활 습관에 관련된 활동을 한다.
( ) 예절과 질서 등의 기본 생활 습관에 관련된 활동이 자연스럽게 보육과정에서 경험된다. (예: 점심식사시 질서 지키기, 견학시 차례 지키기, 공공질서 지키기 등)
( ) 예절과 질서 등의 기본 생활 습관에 관련된 활동을 가끔 한다.
( ) 기본 생활 습관을 보육활동으로 거의 다루지 않는다.
제비꽃(raba5757)
( ) 실외활동이나 일상생활 관련 활동이 계획되어 있으나 충분하지 않다.
( ) 실외활동이나 일상생활 관련 활동이 거의 계획되어 있지 않다.
4. 지역사회 시설을 이용한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 ) 지역사회 시설(예: 공원, 박물관, 도서관, 소방서, 야외농장 등)을 이용한 활동이 일년에 6회 이상 계획되어 있다.
( ) 이상의 활동이 일년에 3~5회 계획되어 있다.
( ) 이상의 활동이 일년에 2회 이하이다.
5. 영유아의 개별적인 가정 배경과 행동 특성을 보육활동 계획에 반영한다.
( ) 영유아에게 민감하게 반응하기 위해, 개별 영유아의 가정상황 및 행동 특성을 보육활동의 계획에 반영한다.
( ) 영유아의 가정 상황 및 행동 특성을 이해하고는 있으나, 보육활동 계획에 반영하지 않는다.
( ) 개별 영유아의 배경과 행동 특성에 대한 배려가 없다.
6. 영유아 집단의 연령 차이를 고려하여 대안적 활동을 계획한다.
( ) 대체로 영유아가 선택할 수 있는 활동을 연령별로 다르게 몇 가지 계획한다.
( ) 가끔 연령 차이를 고려하여 활동을 계획한다.
( ) 개별 영유아의 연령차를 고려한 활동을 거의 계획하지 못한다.
[보육활동과 자료]
7. 영아들이 좋아하는 놀이감은 동일한 것으로 여러 개 준비한다.
( ) 영아들이 좋아하는 놀이감은 똑같은 것으로 여러 개 있다.
( ) 같은 놀이감이 여러 개 있기는 하나, 색깔이나 크기가 달라서 동일하지 못하다.
( ) 같은 놀이감이 거의 없다.
8. 감각활동과 조작을 위한 영아용 놀이감이 충분하다.
( ) 눈과 손의 협응을 위한 조작 및 감각 놀이감이 영아 수에 맞게 충분히 있다.
(예: 감각놀이대, 촉감판, 밀가루 반죽, 누르면 튀어나오는 까꿍 놀이감,
조각이 큰 그림 맞추기 등)
( ) 조작 및 감각 놀이감이 영아 수에 비해 충분하지 않다.
( ) 조작 및 감각 놀이감이 거의 없다.
9. 대소근육 활동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이를 촉진하는 활동을 한다.
( ) 대소근육 활동 자료(예: 다양한 크기의 공/ 영아의 경우 붕붕카, 오름틀과 미
끄럼틀, 밀기 장난감/끼우기, 퍼즐 등)가 다양하게 충분히 준비되어 있으며, 이
를 사용한 활동을 매일 한다.
( ) 대소근육 활동 자료가 다양하지 않고 영유아의 수에 비해 충분하지 않으며, 이를 사용한 활동을 일주일에 3-4회 한다.
( ) 대소근육 활동 자료가 거의 없으며, 이러한 활동의 기회도 거의 없다.
10. 언어활동을 위한 다양한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언어활동이 다양하게 진행된다.
( ) 언어활동 자료(예: 연령에 적합한 그림책, 헝겊책/ 종이, 굵은 연필, 색연필 등)가 언제나 사용할 수 있도록 비치되어 있고, 언어활동이 다양하게 진행된다.
( ) 언어활동 자료가 비치되어 있으나, 자료가 연령에 적합하지 않고, 수가 충분하지 않으며, 언어활동 중 어느 한 영역에 활동이 치중되어 있다.
( ) 언어활동 자료가 한 두 가지로 제한적이며, 언어활동은 학습지를 이용하여 주로 읽기, 쓰기 연습을 한다.
11. 탐구활동을 위한 다양한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자료를 활용하여 탐구력, 사고력을 촉진하는 활동을 한다.
( ) 수조작과학활동을 위한 실물 자료가 다양하며, 이러한 자료를 활용한 활동이 자주 진행된다. (예: 수세기 실물 자료/ 작은 블록류/ 자연물 등)
( ) 수조작과학활동을 위한 자료의 종류가 적으며, 평면자료(예: 수 카드)를 활용한 활동이 주로 이루어진다.
( ) 수조작과학활동을 위한 자료가 거의 없고, 수과학 활동도 거의 하지 않거나, 가끔 평면자료를 이용한 활동을 한다.
12. 표현활동을 위한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다양한 표현 활동이 이루어진다.
( ) 음악, 미술 및 극놀이를 위한 자료가 영유아 수에 맞게 충분하게 구비되어 있고, 개별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활동이 자주 진행된다. (예: 그리기, 만들기, 입체꾸미기 등/ 영아의 경우, 긁적거리기, 간단한 가위질, 굵은 붓으로 그리기, 신문지 찢기 등)
( ) 음악, 미술 및 극놀이를 위한 자료가 있으나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며, 창의적인 활동보다는 모두 똑같이 만드는 모방활동이 많다. (예: 교사가 만든 견본작품 따라하기)
( ) 음악, 미술 및 극놀이를 위한 자료가 거의 없고, 한 두 가지의 제한된 활동을 따라한다. (예: 색종이 한 장 주어 접기 활동하기, 그리기, 한가지 폐품을 이용하여 만들기)
13. 역할놀이 및 쌓기 놀이를 위한 다양한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이를 사용하여 놀이를 한다.
( ) 역할 및 쌓기 놀이감의 내용이 다양하고, 영유아 수에 맞게 충분하며, 다양한 역할놀이 및 쌓기놀이가 진행된다. (예: 옷, 그릇, 음식모형/ 종이블록, 다양한 블록들 등)
( ) 역할 및 쌓기 놀이감의 종류가 제한적이고, 수가 충분하지 않거나, 역할놀이 및 구성놀이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한다.
( ) 역할 및 쌓기 놀이감이 거의 없고 이러한 놀이 기회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다.
14. 나누기, 협동하기, 도와주기 등 친사회적 활동을 한다.
( ) 친사회적 활동 기회를 제공하며, 일상적 상황을 자연스럽게 활용한다.
(예: 놀이감 나누기/ 공동 작업, 게임에서 협동하기/ 간식돕기 등)
( ) 영유아에게 친사회적 활동 기회를 제공하지만, 보육교사의 일방적 지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 ) 친사회적 활동의 기회가 거의 없다.
15. 예절과 질서 등의 기본 생활 습관에 관련된 활동을 한다.
( ) 예절과 질서 등의 기본 생활 습관에 관련된 활동이 자연스럽게 보육과정에서 경험된다. (예: 점심식사시 질서 지키기, 견학시 차례 지키기, 공공질서 지키기 등)
( ) 예절과 질서 등의 기본 생활 습관에 관련된 활동을 가끔 한다.
( ) 기본 생활 습관을 보육활동으로 거의 다루지 않는다.
제비꽃(raba5757)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운영]보육기관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환경, 운영관리, 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필...
평가인증제영역 중 보육환경, 운영관리, 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필요성과 평가주안점, 기준, ...
보육기관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환경, 운영관리,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필요성과 평가 주안점,...
(유아교육기관운영A형)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 평가인증 영역 ...
[유아교육기관운영A]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기관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의 평가인증 영...
보육기관의 평가인증영역 중 보육환경, 운영관리, 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필요성과 평가 주안...
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기관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환경, 운...
영유아 발달에 따른 보육기관 평가인증영역 중 보육환경, 운영관리, 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필...
보육기관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환경, 운영관리, 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필요성과 평가 주안점...
소개글